국내 자동차 제조사들의 내수모델과 수출모델의 안전 기능에 근본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국내 충돌 시험의 기준이 북미나 유럽에 비해 빈약하기 때문이다.

게시물은 현대차 미국 홈페이지와 한국 홈페이지에서 나타난 아반떼 뒷문 절개도를 캡쳐해 비교한 것이다. 미국 현대차 홈페이지에는 아반떼의 뒷문에 들어가는 안전빔(사이드 임팩트 빔)이 2개인 것으로 나타나 있었지만, 국내 홈페이지에는 1개 뿐인 것으로 나타나 있었다.
글을 게재한 네티즌은 "홈페이지를 통해 보이는 부분에서도 이렇게 차이가 발생하면, 보이지 않는 부분은 얼마나 다를 것이냐"면서 불만을 드러냈다.
한국 오토모티브컬리지 최우진 교수는 "사이드임팩트빔은 측면 충돌시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로 안전빔의 갯수와 강도는 승객의 생사 여부를 결정할 정도로 중요한 안전 요소"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또, "수출 모델의 경우는 해당 국가의 높은 테스트 규정에 만족시킬 수 있도록 강화된 안전장비를 채용하고 있는 것"이라면서 "우리도 안전 법규와 기준을 강화해야만 이같은 지역적 불균형이 깨질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대차 측은 이에 대해 "사이드임팩트빔 1개로도 아반떼의 측면 충돌 시험 결과는 충분히 만족스러운 수준"이라면서 "북미 모델의 경우 미국의 IIHS의 측면 충돌 장비가 세로 기둥이 아니라 대각선으로 만들어져 있어 이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기아차는 그동안 수출형 모델에는 6개의 스마트 에어백, VDC, ABS등 안전장비를 기본 장착하면서도 국내 차종에는 2개의 에어백을 기본장착하는데 그쳐 소비자들을 원성을 받아왔다. 최근 신차들을 중심으로 6에어백과 VDC, ABS등을 기본 장착해왔지만, 여전히 수출용에 사용되는 스마트 에어백 대신 디파워드 에어백을 장착하는 등 국내 차종에는 수출형에 비해 한단계 낮은 안전장비를 장착하고 있다.
김한용 기자 whynot@top-rider.com <보이는 자동차 미디어, 탑라이더(www.top-rid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