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숭세의 튜닝스쿨

[박숭세의 튜닝스쿨]드리프트를 위한 튜닝 (3부)

[박숭세의 튜닝스쿨]드리프트를 위한 튜닝 (3부)

이번 주 시간에는 본격적으로 하체를 다루는 시간을 가지도록 한다. 지금 부터는 조금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어쨌든 어느 정도 심화된 내용은 필요하고 자동차 전문 웹진 탑라이더의 컬럼란에 연재되고 있는 을 추후에라도 찾아서 읽게 되면 지금은 이해하지 못하고 넘어간 부분들을 이해할 수 있게 되는 날이 반드시 올 것이다. 하지만 들어가기 전에 마인드 교육 먼저 들어가자. 지난 10년을 돌아보면, 내 차의 메인터넌스를 담당하던 맴버들이 두

박숭세의 튜닝스쿨
[박숭세의 튜닝스쿨]드리프트를 위한 튜닝 (2부)

[박숭세의 튜닝스쿨]드리프트를 위한 튜닝 (2부)

이번 주부터는 실전이다. 지난 주에 “차종을 선택하는 기준”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았는데, 많이 부족할 것 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차종 선택이라는 한 가지 주제만 놓고도 끝없이 이야기가 진행될 수 있으니 본 칼럼의 취지에 맞게 실제로 튜닝을 하는 과정을 소개하면서 자연스럽게 알아가는 방향을 선택했다. 오늘은 토요타 마크2라는 차량을 드리프트 튜닝 한 최성현 선수의 차량을 놓고 이야기를 하려고 한다. 어쩌면 제네시스 쿠페가 가

박숭세의 튜닝스쿨
[박숭세의 튜닝스쿨] 드리프트를 위한 튜닝 (1부)

[박숭세의 튜닝스쿨] 드리프트를 위한 튜닝 (1부)

드리프트. 유일하게 한국사람이 전세계 챔피언이 될 수 있는 모터스포츠 종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메이저 리그가 형성되기까지 시간이 나름 오래 걸린 이유는 모터스포츠 시장이 작았기 때문일 수 도 있었겠지만, 무엇보다 드리프트를 할 수 있는 차종이 제한적이었던 것이 가장 큰 걸림돌이었다. 드리프트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후륜 구동이어야 하고 수동 기어여야만 한다. (더 정확하게는 클러치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한국인이 접하

박숭세의 튜닝스쿨
[박숭세의 튜닝스쿨] 엑센트컵 레이스카 (2부)

[박숭세의 튜닝스쿨] 엑센트컵 레이스카 (2부)

지난 시간에 엑센트 디젤차량을 레이스카로 튜닝 한 ‘엑센트컵 레이스카’의 기본적인 튜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오늘은 엑센트컵 레이스의 기본 규정 이외에 추가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부분을 알아보고 왜 필요한 것인지, 그리고 무엇이 올바른 선택의 기준인지 알아보자. 지난 주에 이야기한 것처럼, 모든 레이스에는 규정이 있고 엑센트컵레이스는 모두가 똑같은 차량으로 오직 운전자의 실력으로만 승부를 내는 대회라고 이야기했었다.

박숭세의 튜닝스쿨
[박숭세의 튜닝스쿨] 엑센트컵 레이스카 (1부)

[박숭세의 튜닝스쿨] 엑센트컵 레이스카 (1부)

오늘 소개할 차량은 지금 시점에서 시판되고 있는 엑센트 디젤을 튜닝 한 차량이다. 자고로 최소한 5년 동안은 디젤의 시대가 될 것이다. 이 튜닝카는 아주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바로 국내에서, 아니 전세계에서 가장 저렴한 카레이스라고 생각되는 ‘엑센트컵 레이스’에 참가할 수 있는 튜닝카이기 때문이다.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엑센트컵을 참가하기 위해서는 총 250만원의 튜닝킷과 50만원의 장착 공임을 지불하면 바로 참가할 수 있는

박숭세의 튜닝스쿨
[박숭세의 튜닝스쿨] M퍼포먼스팀 E92 M3

[박숭세의 튜닝스쿨] M퍼포먼스팀 E92 M3

모터스포츠 인으로 10년 이상 살아오며 그간 수 많은 글을 써왔다. 처음 이 칼럼 기고 제안이 들어왔을 때는 거절했으나, 탑라이더 측에서 두 번이나 부탁을 해왔다. 이유인 즉 슨, 현실을 반영할 수 있는 튜닝 관련 콘텐츠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는데, 대중들의 관심이 없는 만큼, 튜닝 전문가 역시 많이 부족하기 때문이었다. 사실 전문가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단어와 문장들이 일반인들에게는 너무 어려운 것이 발전을 저

박숭세의 튜닝스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