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파워트레인 '청사진' 공개…"작고 강한 엔진 목표로"

현대차, 파워트레인 '청사진' 공개…"작고 강한 엔진 목표로"

발행일 2012-10-23 18:00:04 김한용 기자
현대·기아차가 ‘작고 강한 엔진’ 기술로 글로벌 파워트레인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겠다는 청사진을 밝혔다.
 
현대·기아자동차(회장 정몽구)는 23일(화) 남양연구소 및 롤링힐스(이상 경기도 화성 소재)에서 개최된 ‘2012 현대·기아 국제 파워트레인 컨퍼런스(2012 Hyundai-Kia International Powertrain Conference)’에서 파워트레인 기술 설명회를 갖고 부문별 주요 기술 경쟁력과 향후 개발 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이 자리에서 현대·기아차는 가솔린 엔진 부문에서는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엔진 다운사이징 및 터보차저 적용으로 연비와 성능을 향상시킨 ‘터보 직분사(GDI) 엔진’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고 밝혔다.
  
현대ㆍ기아차는 현재 양산 중인 준중형급(1.6ℓ), 중형차급(2.0ℓ) 가솔린 터보 직분사 엔진 기술력을 바탕으로 엔진 배기량을 줄이면서도 힘과 연비를 향상시킨 차를 내놓겠다고 밝혔다. 쏘나타에 1.6리터 터보 직분사 엔진을 장착한 쏘나타 1.6 쇼카도 선보였다.
 
▲ 현대차 차세대 파워트레인의 방향을 설명하는 쏘나타 1.6 GDi 터보 쇼카. DCT 변속기가 장착돼 있다.
 
디젤 엔진 부문에서는 엑센트, i30, i40와 SUV 차종 등에 적용 중인 U엔진, R엔진, S엔진 기술력을 바탕으로, 강력하고 다양한 디젤엔진 라인업을 개발해 다양해진 국내외 소비자들의 수요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변속기 부문에서는 완성차 업체 최초 후륜 8속 자동변속기를 개발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연비 개선, 경량화 등 효율과 성능이 조화된 신개념 변속기 개발, 프리미엄 자동차 시장을 겨냥한 고급 다단화 변속기를 개발에도 주력할 계획이다.
 
아울러 해외 시장별 특화된 파워트레인을 개발해 미국, 중국 등 주요 지역 출시 모델에 가솔린 터보 직분사 엔진 탑재 비중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또 에탄올, LPG 등 지역별 연료 특성을 고려한 연료 병용 사용 엔진을 개발하고, 혹한, 혹서 등의 지역적 기후 특성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하는 엔진 출시 등을 통해 글로벌 판매 확대에 힘을 싣겠다는 계획이다.
 
▲ 현대기아차 인터내셔널 파워트레인 컨퍼런스에서 (왼쪽부터) 김흥철 가솔린엔진설계팀장(이사대우), 김우태 가솔린엔진개발실장(상무), 손진현 서한워너 사장, 문대흥 파워트레인1센터장(전무), 김해진 파워트레인담당 부사장, 박영후 보쉬코리아 사장, 김정준 파워트레인2센터장(전무), 심휴태 자동변속기설계팀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기술 설명회에 이어 롤링힐스에서 진행된 ‘2012 현대기아 국제 파워트레인 컨퍼런스’에서는 저배기량 고성능 엔진인 ‘카파 1.0 터보차저 가솔린 엔진’과 경소형차용 ‘카파 무단변속기(CVT)’를 선보였다.
 
기아차 레이(Ray)에 탑재된 ‘카파 1.0 터보차저 가솔린 엔진’은 최고출력 106마력, 최대토크 14.0 kgf.m으로 동급 최고 수준의 성능을 갖췄다. 
 
‘카파 1.0 터보차저 가솔린 엔진’에는 12밸브 DOHC, 배기일체형 터보차저, 옵셋 크랭크 샤프트 등 연비와 성능을 극대화 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됐으며, 알루미늄 실린더블록 플라스틱 재질의 흡기 매니폴드 헤드커버 등을 적용해 무게를 줄였다. 여기 레더프레임 등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켜주는 기술도 적용됐다.
 
‘카파 무단변속기’는 2단 부변속기를 적용해 변속비 폭을 증대시킨 경소형차용 무단변속기로, 일반적인 무단변속기에 비해 연비 및 동력 성능을 더욱 향상시킨 모델이다.
 
한편, 올해 12회를 맞은 ‘현대·기아차 국제 파워트레인 컨퍼런스’는 국내·외 150여 개 파워트레인 관련 업계 및 학회 관계자들이 참여해 관련 논문 발표, 주제 토론 등을 통해 선진 기술을 교류하고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벤츠 GLC 전기차 공개, 713km 주행..초대형 그릴 탑재

벤츠 GLC 전기차 공개, 713km 주행..초대형 그릴 탑재

벤츠는 GLC 위드 EQ 테크놀로지(with EQ Technology, 이하 전기차)를 8일 공개했다. GLC 전기차는 벤츠의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기반으로 WLTP 기준 713km를 주행할 수 있으며, 새로운 조명 그릴과 에어매틱 서스펜션 등을 탑재했다. 국내 출시가 예상된다. GLC 전기차는 벤츠의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GLC 전기차는 내연기관 GLC 대비 84mm 더 긴 휠베이스를 바탕으로 넓은 1열 및 2열 레그룸과 헤드룸 공간을 제공한다. 트렁크 용량은 570ℓ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BMW 3시리즈 전기차 티저 공개, 테슬라 모델3 정조준

BMW 3시리즈 전기차 티저 공개, 테슬라 모델3 정조준

BMW는 i3 티저를 5일 공개했다. i3는 3시리즈의 전기차 버전으로 BMW의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 노이어 클라쎄를 기반으로 뉴 iX3와 같은 브랜드 최신 패밀리룩이 적용됐다. i3는 6세대 eDrive 기술을 탑재해 640km 이상 주행이 가능하다. 내년에 공개된다. i3는 전기차로 8세대 3시리즈의 첫 번째 모델이다. i3와 신형 3시리즈는 디자인은 공유하지만, 뉴 iX3와 X3처럼 별도의 플랫폼을 사용한다. i3는 BMW의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 노이어 클라쎄(Neue Klasse) 기반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미니 JCW 에이스맨, 코너링이 재밌는 전기차

[시승기] 미니 JCW 에이스맨, 코너링이 재밌는 전기차

미니 JCW 에이스맨을 시승했다. 미니 JCW 에이스맨은 JCW 최초의 전동화 모델로, JCW 고유의 역동적인 주행성능과 함께 부스트 모드를 통해 재미까지 더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고성능 전기차에서 아쉬원던 코너링 성능을 비교적 가벼운 공차중량과 로드홀딩으로 재밌게 풀어냈다. 미니 에이스맨은 신설된 전기차 전용 라인업으로, 몸집이 커진 3세대 컨트리맨과 4세대 미니 쿠퍼 사이를 채운다. 가격 포지셔닝이나 체감상으로는 기존 컨트리맨의 후속 모

수입차 시승기이한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