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협력사, 2013년 해외 납품액 10조원 육박

현대·기아차 협력사, 2013년 해외 납품액 10조원 육박

현대·기아차, 글로벌 경쟁업체와 거래 허용, 해외 동반진출 등 전폭적 지원

발행일 2014-03-03 13:42:13 박태준 기자
현대·기아차 1차 부품 협력사가 지난해 현대·기아차를 제외한 해외 완성차 업체에 납품한 금액이 10조원에 육박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 현대·기아차 1차 부품 협력사 ‘광진상공’ 생산라인 모습. 도어 모듈, 윈도우 레귤레이터 등을 생산·판매하는 ‘광진상공’은 현대·기아차를 제외한 GM, 르노, 폭스바겐 등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에 대한 납품액이 2009년 312억원에서 지난해 2,272억원으로 7배 가량 증가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이사장 : 신달석)에 따르면 300여 현대·기아차 1차 부품 협력사가 작년 한 해 동안GM, 폭스바겐, 포드, 닛산, 크라이슬러 등 현대·기아차와 경쟁 관계에 있는 글로벌 해외 완성차 업체에 납품한 총액이 9조6,600억여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총 납품액은 협력사가 한국에서 해외 완성차 업체에 직접 수출한 ‘국내생산 수출액’과 해외 현지 진출한 공장에서 부품을 생산해 해외 완성차 업체에 판매한 ‘해외생산 판매액’을 합한 수치다.  
 
  이는 2012년 8조7,000억여원보다 9,600억여원 늘었고, 2011년 5조4,000억여원과 비교해서는 79% 가량 급증한 실적이다. 또 달러화로 환산할 경우 약 76.3억달러(2013년 평균환율 달러당 1,266원 기준)로, 지난해 우리나라가 해외에서 들여온 육류 전체 수입액(28.8억달러)의 약 3배에 달하는 금액이다. 
 
  또한 세부적으로 작년 기록한 국내 생산 직수출액 4조2,900억여원과 해외 생산 판매액 5조3,700억여원은 2011년과 비교해 각각 103%, 63% 가량 증가했다. 
 
 
 
  이처럼 현대·기아차 1차 부품 협력사와 글로벌 유수의 자동차 업체들 사이의 거래가 크게 늘어난 것은 우리나라 자동차부품 산업의 글로벌 위상이 그만큼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글로벌 해외 완성차 업체에 대한 부품 공급의 확대는 무엇보다 현대·기아차의 전폭적인 지원이 큰 역할을 했다. 
 
  우선 현대·기아차는 협력사와의 협업을 통해 개발한 부품을 현대·기아차와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치열한 생존 경쟁을 벌이고 있는 해외 완성차 업체와의 거래를 허용하는 과감한 결단을 통해 글로벌 부품업체로 성장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 
 
 
  현대·기아차는 신차 기술 등의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해 협력사와 독점적 거래를 원하는 다른 완성차 업체들과는 달리,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이 완성차 경쟁력의 원천이라는 상생협력 철학을 바탕으로 협력사들의 안정적인 성장 기반 구축에 관심을 기울였던 것이다. 
 
  또한 단순히 거래를 허용하는 수준을 넘어 부품 공급처를 다변화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책도 함께 제공했다.  
 
  2002년부터 협력사들과 함께 미국, 유럽, 일본 등지에서 ‘부품 수출 해외로드쇼’ 개최를 지원하는 등 해외 완성차 업체를 대상으로 홍보를 강화해 협력사의 해외 인지도 제고를 통한 부품 공급 확대에 기여하고 있는 것이 좋은 사례다. 
 
  실제로 도어 모듈, 윈도우 레귤레이터 등을 생산·판매하는 현대·기아차 1차 협력사 ‘광진상공’은 이러한 지원에 힘입어 현대·기아차를 제외한 GM, 르노, 폭스바겐 등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에 대한 납품액을 2009년 312억원에서 지난해 2,272억원으로 7배 가량 늘렸다. 
 
  또한 이러한 현대·기아차의 대승적 결정으로 인해 해외 완성차 업체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협력사들이 KOTRA가 주최하는 ‘Auto-Parts Plaza 사업(직접 해외 완성차 업체를 방문해서 개최하는 전시 상담회)’ 및 각종 수출상담회에도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앞으로 더 큰 수출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현대·기아차의 해외 생산 거점 구축에 따른 해외 동반진출도 해외 완성차 업체들에 대한 부품 공급을 늘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해외 동반진출 확대를 통한 성장 기반 확충, 해외 인지도 향상 등이 납품액 증가의 원동력이 되었던 것이다.  
 
  현대·기아차는 초기 투자 비용 문제, 해외 진출 경험 부족 등 해외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협력사의 해외 진출을 돕기 위해 금형 및 설비에 대한 생산, 운영 자금 조달 지원, 수출입은행과의 업무협약을 통한 금리 우대 대출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중국, 인도, 미국, 체코, 슬로바키아, 브라질 등지에 현대·기아차와 약 240여개 1차 협력사가 동반진출해 있으며, 이들 중 광진상공, 인팩, 성우하이텍, 센트랄, 에스엘 등은 지난해 미국 빅3 업체 중 하나인 GM이 전 세계 우수 협력사에 수여하는 ‘올해의 우수협력업체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 밖에도 현대·기아차의 글로벌 판매 증가는 현대·기아차와 거래하는 협력사를 바라보는 글로벌 자동차 업계 내의 시각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현대·기아차의 강도 높은 품질 경영 방침은 부품 품질 향상을 위한 협력사와의 다양한 기술 교류와 교육 지원 등으로 이어져 협력사들의 글로벌 경쟁력 향상에 밑거름이 되었다. 
 
  협동조합 관계자는 “국내 완성차 업계를 대표하는 현대·기아차의 글로벌 현지 판매 확대, 해외 생산 거점 확보, 다양한 동반성장 프로그램 등이 국내 자동차부품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로 이어져 해외 완성차 업체와의 거래 확대의 토대가 됐다”며 “향후 친환경 미래차 개발을 둘러싼 치열한 시장 선점 경쟁 속에서 국내 자동차 부품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완성차와 부품업계의 더욱 긴밀한 협력 관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포르쉐 911 터보 S 공개, 701마력 하이브리드 탑재..제로백 2.5초

포르쉐 911 터보 S 공개, 701마력 하이브리드 탑재..제로백 2.5초

포르쉐는 신형 911 터보 S를 8일 공개했다. 신형 911 터보 S는 992 부분변경의 초고성능 버전으로 두 개의 e터보 시스템과 전기모터, 1.9kWh 배터리 등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를 탑재해 총 출력 701마력, 제로백 2.5초의 성능을 갖췄다. 국내 가격은 3억4270만원부터다. 신형 911 터보 S는 992 부분변경의 초고성능 버전으로 쿠페와 카브리올레로 운영된다. 신형 911 터보 S는 최상급 핸들링과 퍼포먼스, 일상에서의 실용성이 완벽하게 조화를 이룬 모델로 평가 받는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토요타 프리우스 사륜구동 출시, 가격은 4530만원

토요타 프리우스 사륜구동 출시, 가격은 4530만원

토요타코리아는 프리우스 하이브리드 AWD XLE를 출시한다고 8일 밝혔다. 프리우스 하이브리드 AWD XLE는 후륜 차축에 전기 모터가 추가된 사륜구동 모델로 총 출력 199마력을 발휘하며, 복합연비 20km/ℓ를 확보했다. 주행 안정성도 제공한다. 가격은 4530만원이다. 프리우스 하이브리드 AWD XLE는 E-Four 시스템을 탑재한 사륜구동 모델이다. 이번 프리우스 하이브리드 AWD XLE 출시로 프리우스 하이브리드 라인업은 기존 2개에서 3개로 확대되며, 고객의 다양한 개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아우디 Q5 스포트백 TFSI 콰트로 출시, 가격은 6968만원

아우디 Q5 스포트백 TFSI 콰트로 출시, 가격은 6968만원

아우디코리아는 Q5 스포트백 TFSI 콰트로를 출시한다고 8일 밝혔다. Q5 스포트백 TFSI 콰트로는 가솔린 모델로 트림에 따라 최고출력 204마력/272마력을 발휘한다. 상위 트림은 어댑티브 에어 서스펜션과 다이내믹 인터렉션 라이트 등을 제공한다. 가격은 6968만원부터다. Q5 스포트백 TFSI 콰트로는 가솔린 모델로 40 TFSI 콰트로와 45 TFSI 콰트로로 운영된다. Q5 스포트백 TFSI 콰트로 출시로 디젤 TDI와 함께 Q5 스포트백 풀라인업이 완성됐다. Q5 스포트백 TFSI 콰트로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폭스바겐 ID.크로스 콘셉 공개, 모두를 위한 소형 전기차

폭스바겐 ID.크로스 콘셉 공개, 모두를 위한 소형 전기차

폭스바겐은 ID.크로스 콘셉트를 8일 공개했다. ID.크로스 콘셉트는 차세대 도심형 전기차 라인업의 핵심 모델로 폭스바겐의 새로운 MEB+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WLTP 기준 420km를 주행할 수 있으며, 릴렉스 모드 등을 제공한다. ID.크로스 콘셉트는 향후 양산된다. ID.크로스 콘셉트는 폭스바겐의 네 번째 콤팩트 전기 콘셉트카이자 차세대 도심형 전기차 라인업의 핵심 모델이다. 폭스바겐은 ID.2all의 양산 모델인 ID.폴로(Polo)를 시작으로 ID.폴로 GTI, ID.크로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지프, 9월 출고 고객 특전… 어벤저 연중 최대 혜택

지프, 9월 출고 고객 특전… 어벤저 연중 최대 혜택

모험과 자유의 아이콘 지프(Jeep®)가 9월 30일까지 전국 전시장에서 전 차종 시승행사를 진행하고 출고 고객을 위한 9월 한정 혜택을 제공한다. 9월 내 지프의 대표 모델 랭글러를 출고하는 고객에게는 5년/13만km 연장보증 서비스 또는 오토 파워 사이드 스텝 중 원하는 혜택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전 차종에 블랙박스와 하이패스가 기본 제공된다. 특히 각 지자체별로 올해 전기차 보조금이 소진되기 시작했다는 소식에 구매를 서두르려는 수요가 높아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벤츠 GLC 전기차 공개, 713km 주행..초대형 그릴 탑재

벤츠 GLC 전기차 공개, 713km 주행..초대형 그릴 탑재

벤츠는 GLC 위드 EQ 테크놀로지(with EQ Technology, 이하 전기차)를 8일 공개했다. GLC 전기차는 벤츠의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기반으로 WLTP 기준 713km를 주행할 수 있으며, 새로운 조명 그릴과 에어매틱 서스펜션 등을 탑재했다. 국내 출시가 예상된다. GLC 전기차는 벤츠의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GLC 전기차는 내연기관 GLC 대비 84mm 더 긴 휠베이스를 바탕으로 넓은 1열 및 2열 레그룸과 헤드룸 공간을 제공한다. 트렁크 용량은 570ℓ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BMW 3시리즈 전기차 티저 공개, 테슬라 모델3 정조준

BMW 3시리즈 전기차 티저 공개, 테슬라 모델3 정조준

BMW는 i3 티저를 5일 공개했다. i3는 3시리즈의 전기차 버전으로 BMW의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 노이어 클라쎄를 기반으로 뉴 iX3와 같은 브랜드 최신 패밀리룩이 적용됐다. i3는 6세대 eDrive 기술을 탑재해 640km 이상 주행이 가능하다. 내년에 공개된다. i3는 전기차로 8세대 3시리즈의 첫 번째 모델이다. i3와 신형 3시리즈는 디자인은 공유하지만, 뉴 iX3와 X3처럼 별도의 플랫폼을 사용한다. i3는 BMW의 차세대 전기차 전용 플랫폼 노이어 클라쎄(Neue Klasse) 기반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미니 JCW 에이스맨, 코너링이 재밌는 전기차

[시승기] 미니 JCW 에이스맨, 코너링이 재밌는 전기차

미니 JCW 에이스맨을 시승했다. 미니 JCW 에이스맨은 JCW 최초의 전동화 모델로, JCW 고유의 역동적인 주행성능과 함께 부스트 모드를 통해 재미까지 더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고성능 전기차에서 아쉬원던 코너링 성능을 비교적 가벼운 공차중량과 로드홀딩으로 재밌게 풀어냈다. 미니 에이스맨은 신설된 전기차 전용 라인업으로, 몸집이 커진 3세대 컨트리맨과 4세대 미니 쿠퍼 사이를 채운다. 가격 포지셔닝이나 체감상으로는 기존 컨트리맨의 후속 모

수입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BMW 뉴 iX3 공개, 6세대 eDrive 기술..주행거리 805km

BMW 뉴 iX3 공개, 6세대 eDrive 기술..주행거리 805km

BMW는 5일(현지시간) 차세대 전기차, 뉴 iX3를 공개했다. 노이어 클라쎄(Neue Klasse) 기반의 첫 양산형 모델로, 올 연말부터 생산이 시작된다. 뉴 iX3에는 새로운 디자인 언어의 내외관 디자인을 비롯해 BMW 파노라믹 비전과 BMW OS X가 적용돼 차세대 BMW 신차를 가늠할 수 있다. 뉴 iX3에는 6세대 BMW eDrive 기술이 적용됐다. WLTP 기준 최대 805km의 주행거리, 최대 400kW 충전을 통해 효율성과 장거리 성능을 높였다. 또한 역동적이고 정밀한 핸들링도 강조했다. 2026년

신차소식이한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