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칼럼

스팅어 드림 에디션, M-LSD의 역할은 무엇인가?

스팅어 드림 에디션, M-LSD의 역할은 무엇인가?

최근 기아차는 스팅어 드림 에디션을 출시하며 기계식 차동제한장치(M-LSD)를 확대 적용했다. 그러나 기아차는 홈페이지에 M-LSD에 대한 작은 사진을 게재했을 뿐 별다른 설명이 없어 소비자들이 드림 에디션을 선택할 이유가 없어 보인다.드림 에디션의 핵심은 M-LSD의 적용이다. M-LSD가 적용될 경우 드리프트 주행에 유리한 것은 사실이나 드리프트 주행을 위해서 적용된 아이템은 아니다. 일상적인 국도 주행에서도 LSD의 적용에 따라 코너링 주행성능은 큰

탑라이더백과사전탑라이더
[포토] BMW, 차세대 Z4의 예고편 '콘셉트 Z4'

[포토] BMW, 차세대 Z4의 예고편 '콘셉트 Z4'

BMW는 17일(현지시간) 페블비치에서 2인승 로드스터 콘셉트 Z4를 공개했다. 콘셉트 Z4는 내년 양산될 차세대 Z4를 기반으로 제작된 모델로 단종된 Z 라인업을 계승한다. BMW 신형 Z4는 토요타가 부활시킬 신형 수프라와 차체와 파워트레인을 함께 쓴다. 파워트레인은 192마력과 252마력의 2.0 터보엔진과 340마력 3.0 6기통 터보엔진이 적용된다.

차vs차 비교해보니탑라이더
미리 살펴본 차세대 수소전기차 'FE'..고급감 '눈길'

미리 살펴본 차세대 수소전기차 'FE'..고급감 '눈길'

현대자동차는 17일 차세대 수소전기차 'FE'를 공개했다. FE는 투싼ix 수소전기차를 대체할 모델로 1회 충전 주행가능 거리가 내연기관차 수준인 580km(국내 기준, 유럽 기준 800km) 이상 확보했다. FE는 내년 1/4분기 출시된다.전면의 공기 흐름은 프론트 범퍼의 에어커튼을 지나 역동적 디자인과 공력효율을 동시에 구현한 2피스 공력 휠을 따라 후면으로 흘러가며, 측면은 사이드 미러를 통과한 공기의 흐름이 D필러 에어터널을 통과하도록 디자인됐다. 또

차vs차 비교해보니탑라이더
유럽에서는 인기, 국산 왜건 5종 살펴보니

유럽에서는 인기, 국산 왜건 5종 살펴보니

여가문화가 발달한 유럽은 세단 보다 왜건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난다. 세단과 왜건은 트렁크 용량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데, 일반적으로 왜건의 적재량은 동급 SUV와 비슷하거나 큰 적재량을 나타낸다. 또한 트렁크 높이가 낮아 짐을 적재하기 쉬운 것도 특징이다. 국내에서 구입할 수 있는 국산 왜건은 현대차 i40가 유일하다. 국내시장에서 왜건에 대한 선호가 낮기 때문인데 왜건보다는 SUV를 선호하는 경향이 짙다. 반면 유럽에서는 다양한 왜건형 모

차vs차 비교해보니탑라이더
포니에서 수소전기차까지, 국산차 기술독립 42년

포니에서 수소전기차까지, 국산차 기술독립 42년

한국은 세계 6위 자동차 생산국이다. 자국내 생산량 기준으로 한국을 앞서는 곳은 중국, 미국, 일본, 독일, 인도 5개 나라에 불과하다. 특히 2000년대에 들어서는 생산량 뿐만 아니라 질적인 성장 부문에서도 눈에 띄는 성과를 이뤘다.이같은 성장은 현대자동차 최초의 고유모델 포니에서 시작된다. 국산화율 90%를 목표로 시작된 포니의 생산은 설계, 부품, 생산시설 등 모든 부분에서 무모함에 가까운 도전이었다. 1976년 1월 포니가 본격 생산에 돌입하며 한

탑라이더백과사전탑라이더
마모된 타이어 제동거리 2배, 연료효율도 나빠져

마모된 타이어 제동거리 2배, 연료효율도 나빠져

한국타이어가 하계 고속도로 안전점검 캠페인 기간에 진행한 타이어 안전관리 현황 조사 결과 운행 차량 2대 중 1대는 타이어 안전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안전관리 현황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운행 차량 총 500대 중 225대는 적정 타이어 공기압보다 부족하거나 과다하게 주입이 되어 있었으며, 135대는 타이어 마모한계선보다 마모가 많이 진행된 타이어로 고속도로를 주행하기에 위험한 상태였다.타이어는 차량과 지면이 닿는 유일한 부품으

탑라이더백과사전탑라이더
견고한 성장세, 일본계 중형세단 3인방 살펴보니

견고한 성장세, 일본계 중형세단 3인방 살펴보니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일본계 중형세단이 조용한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지난 7월 수입차 시장에서는 혼다 어코드 559대. 토요타 캠리 542대, 닛산 알티마는 436대가 판매돼 가솔린 모델과 하이브리드 모델의 판매 상위권을 점령했다.혼다 어코드는 최근 출시된 어코드 하이브리드가 인기를 얻으며 판매량을 끌어올렸다. 7월 어코드 하이브리드는 196대가 판매됐으며, 이를 포함한 어코드의 총 판매량은 559대로 동급 중형세단 중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했

차vs차 비교해보니탑라이더
차를 바꿀 수 없다면, 손쉬운 연비운전 방법 6가지

차를 바꿀 수 없다면, 손쉬운 연비운전 방법 6가지

자동차를 운영하는데 가장 눈에 띄는 지출은 유류비다. 매달 주유소에서 결재된 유류비 영수증을 보면 연비 좋은 하이브리드차나 디젤차로 바꾸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다. 그러나 차량 교체시에는 더 큰 비용이 지출되기 때문에 쉽게 결정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가장 손 쉽게 유류비 지출을 줄이는 방법은 연비운전이다. 같은 차로 동일한 시간과 도로를 운영할 경우에도 개인의 운전습관에 따라 연비는 크게 달라진다. 자동차 제조사들이 말하는 연비

탑라이더백과사전탑라이더
대세가 된 소형 SUV, 원조는 닛산 '쥬크'

대세가 된 소형 SUV, 원조는 닛산 '쥬크'

최근 세계 자동차시장은 소형 SUV 사랑에 빠졌다. 해외에서 서브 콤팩트 SUV 혹은 B-세그먼트 SUV로 불리는 소형 SUV의 원조는 닛산 쥬크다. 지난 2010년 출시된 쥬크는 분리형 헤드램프를 포함한 독특한 디자인과 강력한 동력성능으로 인기를 모았다.닛산 쥬크는 전장 4135mm, 전폭 1765mm, 전고 1570mm, 휠베이스 2530mm의 차체를 갖는다. 보닛을 높이고 A필러를 세운 디자인으로 인해 제원상 수치보다 전고가 높게 보여진다. 펜더를 비롯해 램프류 디자인의 디테일을

차vs차 비교해보니탑라이더
가격대로 살펴본, 코나·스토닉·트랙스·티볼리·QM3

가격대로 살펴본, 코나·스토닉·트랙스·티볼리·QM3

르노삼성자동차가 1일 뉴 QM3를 출시하며 국내 소형 SUV 5개 차종의 치열한 경쟁이 시작됐다. 현대차 코나, 기아차 스토닉, 쉐보레 트랙스, 쌍용차 티볼리, 르노삼성 QM3 5개 모델의 가격대와 간단한 특징을 살펴봤다.(디젤엔진+자동변속기+17인치 휠)1.현대차 코나: 코나는 디젤 모델 기준 2090만~2620만원의 가격대를 갖는다. 1.6 디젤엔진과 7단 DCT 변속기의 조합으로 최고출력 136마력, 최대토크 30.6kgm를 발휘한다. 스포티함을 강조한 외관 디자인이 특징으로 주

차vs차 비교해보니탑라이더
사진으로 미리보는 뉴 4시리즈, 변경된 부분은?

사진으로 미리보는 뉴 4시리즈, 변경된 부분은?

BMW코리아는 28일 페이스리프트 4시리즈를 출시한다. 쿠페와 컨버터블, 그란쿠페, M4, 그리고 M4 컨버터블로 구성된 전체 라인업의 변경으로 새로운 그래픽의 LED 헤드램프와 리어램프, 범퍼 디자인, 전자식 계기판의 적용이 특징이다.페이스리프트 4시리즈에는 새로운 인터페이스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적용됐다. 신형 7시리즈를 통해 선보인 부분으로 직관성을 높였다. 또한 전자식 계기판은 주행모드에 따라 디자인이 변경되는 타입으로 7시리즈와 5시

차vs차 비교해보니탑라이더
직접 살펴본 뉴 QM3

직접 살펴본 뉴 QM3 "고급스러움은 내가 최고"

르노삼성자동차는 26일 NEW QM3를 출시했다. NEW QM3는 페이스리프트 모델로 SM6, QM6를 통해 선보인 패밀리룩이 적용됐으며, 고급 사양을 추가해 상품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NEW QM3는 오는 8월 1일 가격 공개와 함께 공식 판매가 시작된다.NEW QM3에는 C자 모양의 LED 주간주행등과 크롬 라디에이터 그릴을 더해 패밀리룩을 완성했다. 가로로 넓어진 상단 그릴과 그 안의 블록 형상 그릴패턴, 각진 LED 주간주행등과 네모난 전방 안개등은 강인한 이미지를 강조했

차vs차 비교해보니탑라이더
국내 출시 앞둔 '레인지로버 벨라'는 어떤 차?

국내 출시 앞둔 '레인지로버 벨라'는 어떤 차?

랜드로버코리아가 오는 9월 레인지로버 벨라를 국내에 출시한다. 중형 럭셔리 SUV 벨라는 레인지로버, 레인지로버 스포츠, 이보크와 함께 레인지로버 라인업의 볼륨 모델로 자리잡을 예정으로 국내 판매가격은 9850만원~1억2620만원이다.레인지로버 벨라는 미래지향적인 내외관 디자인이 특징이다. 최상급 모델인 레인지로버 수준의 고급스러운 외관은 쿠페형 루프라인과 짧은 프론트 오버행, 긴 휠베이스, 22인치 대형 휠, 날렵한 LED 헤드램프, 비노출형 도

차vs차 비교해보니탑라이더
현대차 i30, N부터 해치백까지 한 눈에 모아보기

현대차 i30, N부터 해치백까지 한 눈에 모아보기

현대자동차는 i30 패스트백과 i30 N의 추가로 i30 해치백, i30 투어러, i30 패스트백, i30 N의 풀 라인업을 완성했다. 현대차는 i30 패밀리를 앞세워 2021년까지 유럽시장 내 아시아 최다 판매 메이커로 도약할 계획이다.i30 해치백은 국내에서도 판매되는 i30 라인업의 기본 모델이다. 전장 4340mm, 전폭 1795mm, 전고 1455mm, 휠베이스 2650mm의 차체를 기반으로 140마력의 1.4 터보, 204마력의 1.6 터보, 136마력의 1.6 디젤로 구성되며, 120마력의 1.0 터보가 추가된다.i30 투어러는

차vs차 비교해보니탑라이더
평범한 직장인이 '펀카'를 소유하는 방법

평범한 직장인이 '펀카'를 소유하는 방법

최근 출시되는 신차들은 어느 때 보다 운전의 즐거움을 강조하고 있다. 유럽차의 전유물로 생각되던 민첩한 핸들링 감각이나 고속에서의 안정감, 뛰어난 가속성능을 이제 국산 패밀리카에서도 강조한다. 운전이 즐거운 차는 어떤 차를 말할까? 5초 이내의 정지가속이나 250km/h를 넘기는 최고속도 등 스포츠카는 태생적으로 운전의 즐거움을 위해 태어난 차다. 그러나 고출력 엔진의 낮은 연비와 타이어를 비롯한 높은 유지비, 불편함 등은 선택을 주저하

기자의 한마디탑라이더
출시 앞둔 '프라이드와 클리오', 국내서도 통할까?

출시 앞둔 '프라이드와 클리오', 국내서도 통할까?

올해 하반기 경쟁력 있는 국산 해치백 2종이 출시된다. 기아차는 풀체인지를 거친 신형 프라이드를 출시하며, 르노삼성은 클리오를 완제품 수입의 형태로 판매한다.신형 프라이드는 1.0 T-GDi 엔진의 적용과 함께 새로운 서스펜션과 스티어링 시스템을 적용해 운전의 즐거움을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전장 4065mm, 전폭 1725mm, 전고 1450mm, 휠베이스 2580mm의 차체와 유럽 스타일의 간결한 외관 디자인을 갖는다.유럽시장에는 최고출력 118마력과 99마력의 1.0 터보,

차vs차 비교해보니탑라이더
스토닉과 니로, 직접 비교해 보니 의외의 결과

스토닉과 니로, 직접 비교해 보니 의외의 결과

기아차는 최근 소형 SUV 스토닉을 출시해 라인업을 강화했다. 하이브리드 SUV 니로와 디젤 SUV 스토닉을 비교하는 소비자들도 확인된다. 두 모델은 유사한 체급에 있지만 파워트레인과 구성 면에서 상당히 다른 모습을 보인다. 스토닉과 니로를 비교했다. 함께 세워둔 스토닉과 니로의 차체 크기는 시각적으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다만 스토닉이 전고와 최저지상고를 높여 수치보다 큰 차체를 연출했다면, 니로는 차체를 낮춰 반대의 효과를 노렸

차vs차 비교해보니탑라이더
양산차 최고 기록만 5가지, 840마력 '챌린저 데몬'

양산차 최고 기록만 5가지, 840마력 '챌린저 데몬'

닷지 브랜드가 2017 뉴욕오토쇼에서 공개한 챌린저 SRT 데몬은 레이스 트랙을 위해 태어났다. 특히 드래그 레이스를 위한 다양한 팩토리 튜닝이 적용돼 막강한 성능을 자랑한다. 데몬은 5가지 부문에서 양산차 세계 최고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1.양산차 최고출력: 데몬의 V8 엔진은 최고출력 840마력을 발휘해 양산차 최고출력을 기록했다. 데몬에는 수퍼차저가 적용된 6.2 헤미 SRT 데몬 V8 엔진이 적용됐다. 이는 707마력의 헬캣 V8 엔진의 피스톤, 수퍼차저 등 2

차vs차 비교해보니탑라이더
신형 쏘렌토, 2.2 디젤 강조한 이유는 '차세대 싼타페'

신형 쏘렌토, 2.2 디젤 강조한 이유는 '차세대 싼타페'

기아자동차는 20일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더 뉴 쏘렌토를 출시했다. 변화의 핵심은 2.2 디젤과 2.0 가솔린 터보에 새롭게 적용된 8단 자동변속기다. 2.0 디젤과 2.2 디젤의 변속기가 차별화되며 2.2 디젤의 연비가 높아진 역전 현상은 주목할 만한 변화다. 신형 쏘렌토에는 당초 예상된 것과 달리 SCR(요소수 환원) 방식의 매연 저감장치를 대신해 기존 LNT 방식이 적용됐다. 대신 2.2 디젤에는 8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돼 2.0 디젤 대비 연비는 물론 이산화탄소 배출

차vs차 비교해보니탑라이더
페이스리프트 쏘렌토, 변경된 주요 부분 모아보기

페이스리프트 쏘렌토, 변경된 주요 부분 모아보기

기아자동차는 20일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더 뉴 쏘렌토를 공개했다. 더 뉴 쏘렌토에는 8단 자동변속기, R-MDPS가 새롭게 적용됐으며, LED 헤드램프, LED 턴 시그널, 차로이탈방지, 퀼팅 가죽시트가 추가돼 고급감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LED 헤드램프, 트윈팁 머플러 적용더 뉴 쏘렌토의 전면부는 핫스탬핑 라디에이터 그릴, 풀 LED 헤드램프, LED 턴 시그널, 아이스큐브 LED 포그램프 적용으로 선명한 이미지를 강조하고 세련됨을 더했다. 후면부는 LED 리어 콤비네이

차vs차 비교해보니탑라이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