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차 뉴 K7, 그랜저·알페온·SM7과 비교해보니…'가격이 똑똑해'

기아차 뉴 K7, 그랜저·알페온·SM7과 비교해보니…'가격이 똑똑해'

발행일 2012-11-13 14:27:33 전승용 기자

기아차가 13일 신형 K7이 출시함에 따라 국산 준대형차 시장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다. 이미 한국GM과 르노삼성은 K7 출시에 앞서 각각 상품성을 개선한 2013년형 알페온과 SM7을 선보였으며, 현대차도 2013년형 그랜저 판매를 준비하고 있다. 

국산 준대형 시장에서 그랜저의 존재감은 엄청나다. 올해 10월까지 판매된 국산 준대형차는 총 10만7906대 중 그랜저는 7만2754대로 76.3%에 달한다. 반면 기아차 구형 K7은 1만2388대(13.0%), 한국GM 알페온은 5741대(6.0%), 르노삼성 SM7은 4428대(4.7%)에 불과하다. 

신형 K7이 이 구도를 얼마만큼 바꿀 수 있을지 업계의 이목이 쏠렸다. 

▲ 기아차 신형 K7

◆ 신형 K7, 똑똑한 가격…2.4·3.0 모델은 더 저렴하게

신형 K7는 가격부터 다분히 전략적으로 책정됐다. 신형 K7의 가격은 2.4 모델 3040~3160만원, 3.0 GDI 3450~3710만원, 3.3 GDI 4,220만원으로 그랜저와 비슷한 수준이다. 그러나 2013년형 그랜저의 가격 상승폭을 염두에 둔 듯 하위 트림은 높게 결정했다.  

또, 기아차는 신형 K7 2.4와 3.0 모델은 경쟁 모델인 알페온과 SM7보다 저렴하게, 3.3 모델은 비싸게 책정했다. 저배기량 모델은 가격 경쟁력으로, 고배기량 모델은 상품성으로 승부한다는 전략으로 보인다. 

2013년형 알페온의 가격은 2.4 모델 3131~3515만원, 3.0 모델 3607~3864만원이다. e어시스트는 EL240 디럭스 3694만원, EL240 프리미엄 3912만원이다.

2013년형 SM7의 가격은 2.5 모델 3010~3449 만원, 3.5 모델 3372~3832만원이다.

▲ 기아차 신형 K7의 헤드램프

◆ 신형 K7, 세련된 '신사의 품격'…압도적인 존재감은 부족해

신형 K7의 전면은 준중형 K3와 비슷한 인상을 주지만 플래그십 모델인 K9의 중후함도 적용돼 고급스러우면서도 스포티한 인상을 준다. 그랜저의 '압도적인 존재감'은 조금 부족하지만 세련된 '신사의 품격'이 강조된 스타일이다. 

기아차 특유의 '호랑이코' 그릴은 더욱 커졌으며, 반광 크롬이 적용된 프로젝션 헤드램프가 장착됐다. 헤드램프에는 기존과 달리 LED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대신 주간주행등에 사용했다. 수입 고급세단을 연상시키는 긴 후드와 짧은 오버행, 쿠페 스타일의 C필러 디자인은 전체적으로 매끈한 바디라인을 완성시켰다. 후면부에는 면발광 LED 램프가 사용됐으며, 타원형 듀얼 머플러가 적용됐다.  

▲ 기아차 신형 K7의 테일램프

신형 K7의 크기는 4970×1850×1475mm(전장×전폭×전고)로, 그랜저·알페온·SM7에 비해 조금 작다. 그러나 실내 공간을 좌우하는 휠베이스(축거)는 2845mm로, SM7(2810mm)와 알페온(2837mm)보다 크고 그랜저와 동일하다.

센터페시아는 K9에 적용되는 아날로그 시계가 장착됐으며 실내 곳곳에 가죽과 크롬 소재가 사용돼 고급서러운 느낌을 준다. 여기에 전∙후석 열선 시트, 뒷좌석 센터 헤드레스트, 뒷좌석 다기능 암레스트 등이 전 모델에 기존으로 적용됐으며, 최고급 나파(NAPPA) 가죽 시트와 운전자세 메모리 시스템도 선택 가능하다. 

◆ 경쟁 모델 능가하는 동력 성능

신형 K7은 그랜저와 마찬가지로 2.4, 3.0, 3.3 등 세 가지 엔진이 장착된다. 각 모델들이 최고성능을 발휘하는 회전수가 다르지만, 제원상 동력성능은 신형 K7이 비슷한 배기량의 알페온·SM7에 비해 뛰어나다. 

신형 K7에 탑재된 2.4 GDi 엔진의 경우 최고출력 201마력, 최대토크 25.5kg·m의 동력 성능을 발휘한다. 185마력, 24.0kg·m를 발휘하는 알페온 2.4에 비해 뛰어날 뿐 아니라 SM7 2.5(190마력, 24.8kg·m) 보다도 우수하다. 

▲ 기아차 신형 K7의 엔진룸

3.0 GDi 엔진의 경우도 최고출력 270마력, 최대토크 31.6kg·m로, 알페온 3.0(263마력, 29.6kg·m) 보다 강력하다. 

3.3 GDi 역시, 294마력의 최고출력과 35.3kg·m의 동력 성능을 발휘해 배기량이 높은 SM7 3.5(258마력, 33.7kg·m)보다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 가벼운 차체…연비도 우수해 

연비도 신형 K7이 알페온·SM7에 비해 조금 우수하다. 신형 K7 2.4 모델의 공인 연비는 11.3km/l로, 알페온 2.4(10.8km/l)와 SM7 2.5(11.0km/l)에 비해 효율성이 높다(신연비 기준).

3.0 모델의 연비는 10.4km/k로 같은 배기량의 알페온 3.0(9.4km/l) 보다 8.5% 가량 높으며, 3.3 모델(10.0km/l)도 SM7 3.5(9.6km/l)보다 우수했다.

이 같은 차이는 파워트레인 차이 보다는 공차 중량 차이 때문으로 분석된다. 신형 K7 2.4 모델의 무게는 1535kg으로, 알페온 2.4(1695kg)보다 160kg, SM7 2.5(1635kg)보다 100kg이나 가볍다. K7 3.0 모델(1590kg)의 경우도 같은 배기량의 알페온보다 135kg 가볍다.  

▲ 기아차 신형 K7의 실내

◆ 수입차 능가하는 안전·편의사양

신형 K9은 안전·편의사양도 동급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 

어코, 노멀, 스포트 등 주행모드를 조정할 수 있는 주행모드 통합제어 시스템을 비롯해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AVM), 7인치 대형 칼라 TFT LCD를 적용한 슈퍼비전 클러스터, 유보(UVO) 시스템, 카드타입 스마트키, 액튠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12스피커, 외장앰프), 후진연동 자동하향 아웃사이드 미러, 전동식 틸트 & 텔레스코픽 스티어링 휠 등 동급 수입차를 능가하는 편의 사양이 탑재됐다. 

또, 차세저어장치(VDC)와 속도 감응형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이 통합된 VSM, 후측방 경보 시스템, 차선이탈 경보 시스템, 8 에어백, 경사로 밀림 방지장치, 급제동 경보 시스템, 후방충격 저감 시스템,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 등 첨단 안전사양도 대거 적용됐다.

그랜저에는 어드밴스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주차 조향 보조 시스템, 후석 도어 매뉴얼 커튼, 운전석 전동 조절 액티브 시트, 무릎 에어백을 포함한 9개의 에어백 등이 장착됐다. 

2013년형 알페온은 급제동경보시스템과 레인센서를 기본으로 장착해 안전성을 높였으며, 3.0 모델에 '랙 타입 전자식 스티어링 휠(R-EPS)'을 적용해 보다 민감한 핸들 조작을 가능하게 했다. 

2013년형 SM7에는 동급 최초로 사각지대 정보 시스템과 최첨단 멀티미디어 인포테인먼트 스마트 커넥트 시스템이 장착됐다. 또, 고급형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와 자동 각도조절 사이드미러가 적용됐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기아 EV5 제원부터 공개, 주행거리 '460km' 인증

기아 EV5 제원부터 공개, 주행거리 '460km' 인증

기아 EV5 제원 일부가 공개됐다. EV5는 올해 4분기 중 공식 출시를 앞둔 준중형 SUV 모델이자 전용 전기차로 중국 CATL에서 공급하는 81.4kWh NCM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완충시 국내 기준 460km를 주행할 수 있다. 전륜구동 싱글 모터 최고출력은 217마력이다. EV5는 EV6, EV9, EV3, EV4에 이어 기아가 선보이는 다섯번째 전용 전기차다. EV5는 고객 수요가 많은 준중형급에 정통 SUV 보디타입을 적용한 모델이다. EV5는 올해 4분기 공식 출시를 앞뒀는데, 중국 CATL의 배터리를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르노 트라이버 공개, 클리오보다 작은 7인승 미니밴

르노 트라이버 공개, 클리오보다 작은 7인승 미니밴

르노는 신형 트라이버(Triber)를 25일 공개했다. 트라이버는 크로스오버 디자인이 적용된 소형 미니밴으로 부분변경을 통해 외관 디자인이 소폭 변경됐으며, 실내에는 디지털 계기판과 터치 디스플레이, 3열 시트 등이 배치됐다. 트라이버는 인도 전략형 모델이다. 트라이버는 지난 2019년 공개된 인도 전략형 소형 미니밴이다. 트라이버는 7인승 구성으로 현대차 알카자르 등 소형 7인승 모델과 경쟁한다. 신형 트라이버는 부분변경으로 기본형 기준 62만999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현대차 스타게이저 부분변경 공개, 전면에 대형 'H' 램프 탑재

현대차 스타게이저 부분변경 공개, 전면에 대형 'H' 램프 탑재

현대차는 스타게이저 카르텐즈(Cartenz)를 24일 공개했다. 스타게이저 카르텐즈는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시장 전용 모델인 스타게이저의 부분변경으로 전/후면부에 'H' 램프가 탑재됐으며, 실내에는 다양한 디지털 사양이 배치됐다. 국내 도입은 없을 전망이다. 스타게이저는 지난 2022년 공개된 동남아시아 전략형 미니밴이다. 스타게이저 카르텐즈는 스타게이저의 부분변경으로 기존과 마찬가지로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된다. 다만 현대차는 이번 스타게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올-일렉트릭 미니 쿠퍼, 전기차도 미니다운 주행감각

[시승기] 올-일렉트릭 미니 쿠퍼, 전기차도 미니다운 주행감각

미니 올-일렉트릭 미니 쿠퍼 SE 페이버드와 올-일렉트릭 미니 존 쿠퍼 웍스(JCW)를 시승했다. 해당 모델은 미니 쿠퍼 3도어 기반의 소형 전기차로, 기존 미니 일렉트릭 대비 2배 가까이 늘어난 주행거리와 즉각 토크를 더해 운전 재미를 살렸다. 5천만원 미만에서 가장 개성 강한 전기차다. MINI코리아는 2025년 쿠퍼, 에이스맨, 컨트리맨의 전기차 풀 라인업을 완성했다. 전기차 가격대는 올-일렉트릭 미니 쿠퍼 5250~6050만원, 올-일렉트릭 미니 에이스맨 4970~62

수입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아우디 A6 e-트론 국내 출시 임박, 매끈한 디자인..주행거리 469km

아우디 A6 e-트론 국내 출시 임박, 매끈한 디자인..주행거리 469km

아우디 A6 e-트론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A6 e-트론은 이르면 내달 사전예약을 시작으로 9월 공식 출시될 예정이다. A6 e-트론은 아우디 A6급 차세대 준대형 전기 세단으로 국내 기준 469km를 주행할 수 있다. 가격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A6 e-트론은 아우디와 포르쉐가 공동 개발한 전기차 전용 플랫폼 PPE 기반 전기차다. A6 e-트론은 아우디 A6급으로 BMW i5, 벤츠 EQE 세단과 경쟁한다. A6 e-트론은 글로벌 기준 스포트백과 아반트로 운영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현대차 싼타페, 8단 DCT 변속기 버린다..8단 자동변속기 탑재

현대차 싼타페, 8단 DCT 변속기 버린다..8단 자동변속기 탑재

현대차 싼타페 2.5 가솔린 터보 변속기가 교체될 전망이다. 해외 자동차 전문매체 모터트렌드에 따르면 현대차는 싼타페와 싼타크루즈 2.5 가솔린 터보 변속기를 기존 8단 DCT에서 8단 자동변속기로 변경한다. 국내 도입은 미정이며, 기아는 8단 DCT가 유지된다. 현대차 관계자는 모터트렌드와의 인터뷰에서 "싼타페와 싼타크루즈 모두 8단 DCT 변속기를 폐지하고 전통적인 토크 컨버터 8단 자동변속기를 탑재할 것이다. 자동변속기가 개발 과정에서 사용 가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레인지로버 전기차 출시 연기, '테스트 시간이 더 필요하다'

레인지로버 전기차 출시 연기, '테스트 시간이 더 필요하다'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일렉트릭 출시가 연기됐다. 레인지로버 일렉트릭 출시 일정은 올해 하반기에서 2026년으로 랜드로버 공식 홈페이지에 조용히 업데이트됐다.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의 테스트가 더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은 국내에도 투입된다.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은 5세대 레인지로버 기반 전기차로 랜드로버는 올해 말 월드프리미어를 진행하고 글로벌 시장에 출시할 계획이었는데, 공식 공개가 2026년으로 연기됐다. 글로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폭스바겐 타이론 하이브리드 공개, 기름없이 '123km' 주행 가능

폭스바겐 타이론 하이브리드 공개, 기름없이 '123km' 주행 가능

폭스바겐은 타이론 e하이브리드를 23일 공개했다. 타이론 e하이브리드는 1.5 가솔린 엔진 기반 엔트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모델로 총 출력 204마력을 발휘하며, EV 모드로 최대 123km를 주행할 수 있다. 타이론은 티구안 롱보디로 국내 투입은 미정이다. 타이론은 기존 티구안 올스페이스를 대체하는 모델이다. 타이론은 폭스바겐 SUV 라인업 중 티구안과 투아렉 사이에 위치한다. 타이론은 유럽 차명으로 미국에는 신형 티구안으로 최근 판매가 시작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PV5, 스포티지 크기로 카니발급 공간 확보

기아 PV5, 스포티지 크기로 카니발급 공간 확보

기아가 지난 22일 PV5 테크 데이를 개최하고 고객 중심 개발 과정과 핵심 기술을 공개했다. PV5는 전동화 전용 PBV로 전용 플랫폼 E-GMP.S가 적용돼 실내 공간이 극대화됐다. 또한 목적에 따라 바디 최대 16종까지 확장이 가능하다. 내달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PV5는 기아 최초의 전동화 전용 PBV(Platform Beyond Vehicle)다. PV5에 사용된 PBV 전용 플랫폼 E-GMP.S는 개발 체계인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를 기반으로 PBV 잠재 고객의 사용 환경을 고려해 극대화된 실내

오토칼럼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