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가 미국에서 190만대 리콜에 들어간다. 국내 해당 차량도 16만대에 달한다.
현대기아차는 3일(현지시간), 미국에서 판매된 약 190만대의 차량에 제동등 점등 지연 및 불량, 에어백 결함 등이 발견돼 리콜 조치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현대기아차가 실시한 역대 리콜 중 가장 큰 규모로, 현대기아차가 작년 한 해 동안 미국에서 판매한 차(123만대)보다 1.5배가량 많은 숫자다.

결함이 발견된 차량은 2007년부터 2011년에 판매된 현대차 제네시스 쿠페, 싼타페, 쏘나타, 투싼, 베라크루즈 등 현대차 5차종 105만9824대와 기아차 옵티마, 론도, 세도나, 쏘렌토, 쏘울, 스포티지 등 6개 모델 62만3658대다.
국내 해당 차량은 현대차 구형 아반떼(2009년7월~2010년3월)와 싼타페(2010년6월~2011년6월), 베라크루즈(2008년9월~11월) 등 11만여대, 기아차 카렌스(2010년6월~7월), 쏘렌토(2010년10월~2011년4월), 쏘울(2010년6월~2011년6월) 등 5만여대다.
미국 고속도로 교통안전국(NHTSA)은 해당 모델에 운전자가 페달을 밟아도 브레이크등이 켜지지 않거나 제동장치를 밟아도 정속주행장치(크루즈 콘트롤)가 해제되지 않는 등의 결함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또,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생산된 현대차 엘란트라(아반떼)도 커튼 에어백 전개 시 천장부 내 지지대가 이탈해 탑승자들에게 부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발견돼 이번 리콜에 함께 포함됐다. 대상 차량은 18만6254대다.
NHTSA는 작년 4월, 미국에서 엘란트라 운전자가 충돌사고 시 전개된 에어백 때문에 얼굴과 귀가 찢어지는 사고가 발생해 에어백 결함 여부에 관해 조사를 착수한 바 있다.
현대기아차 측은 “미 당국에 결함이 접수됐고, 당사가 신속히 조사에 들어가 자발적으로 리콜을 하게 된 것"이라며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작동 불량에 해당하는 국내 대상 차종에 대해서 미국과 동일하게 리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