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전 세계에 판매된 자동차의 76%는 무채색이며, 원색은 16%에 불과하다는 통계가 있다.
특히 '튀지 않는 무난함'을 선호하는 한국 소비자들의 취향을 대변하듯, 출퇴근길 도로 위는 대부분 무채색 자동차로 가득 차 있다.
이처럼 무채색 자동차를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는 바로 '튀는 색 자동차는 되팔기 어렵다'는 중고시장의 법칙 때문.
그렇다면 이러한 법칙은 정말로 존재할까? 중고차 사이트 카즈(http://www.carz.co.kr)에서 같은 모델에 같은 연식, 비슷한 주행거리를 가진 자동차를 대상으로 '색상에 따른 시세 차이'를 조사했다.

먼저 중고차 시장에서 가장 매물이 많은 2011년식 매물 중 올 여름 인기가 높았던 SUV 스포티지R의 경우, 무채색 4종과 원색계열 4종에 대한 시세 차이가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흰색 1,830만원 ▲은색 1,650만원 ▲검정 1,620만원 ▲쥐색 1,700만원으로 무채색 계열의 평균 시세는 1,700만원. 원색 계열의 경우 ▲빨강 1,920만원 ▲노랑 1,699만원 ▲주황 1,480만원 ▲금색 1,630만원으로 평균가는 1,676만원으로 나타나, 무채색과 원색의 평균 시세 차이는 24만원에 그쳤다.
다양한 색상의 모델을 보유하고 있는 2007년식 현대 뉴 클릭의 경우 ▲검정 399만원 ▲흰색 390만원 ▲은색 500만원으로 평균 시세는 429만원 가량이었고, 원색의 경우 ▲하늘색 각각 420만원과 560만원 ▲빨강 700 ▲연두 530만원으로 평균가는 552만원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원색차량의 평균시세가 높은 것이다.
그렇다면 국산차에 비해 다양한 색의 모델이 많은 수입차는 어떨까?
2012년식 폭스바겐 골프의 경우, ▲검정 2,180 ▲은색 2,100 ▲흰색 2,290 ▲쥐색 2,400만원대 시세로 평균가 2,242만원 가량이었고, ▲빨강(4대 차량 평균) 2,249만원 ▲파랑(3대 차량 평균) 2,476만원으로 평균시세는 2,362만원이었다. 마찬가지로 원색의 시세가 더 높은 것이다.
보통 무채색 차량에 비해 원색 차량의 시세가 더 떨어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는 매우 특이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조사한 모델의 등록일자는 일주일~한달 내외로 '팔리지 않아 묶여있는 차량'이라 할 수 없고, 색상이 시세에 영향을 주는 딜러 판매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이유는 무엇일까?
카즈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신차시장에서도 비교적 다양한 색상이 판매되는 모델이기 때문에 나타났다고 보이며, 빨강이나 노랑색이 거의 없는 중형, 대형차량의 경우는 기존 중고차상식대로 감가가 더 심하다”고 밝히며, “이는 항상 무채색이 더 감가가 적은 것이 아니라, 모델의 차종과 해당 모델 수요층의 성향에 따라 원색도 무채색차량보다 중고차시세가 높을 수 있다는 결과로 의미가 깊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