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2 MEET 2023 개최, 세계 최대 규모 수소산업 전시회

H2 MEET 2023 개최, 세계 최대 규모 수소산업 전시회

발행일 2023-09-11 12:16:08 김한솔 기자

세계 최대 규모의 수소산업 전문 전시회 'H2 MEET 2023'이 역대 최대 규모로 9월 13일(수)부터 9월 15일(금), 총 3일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본 전시회는 H2 MEET 조직위원회*(조직위원장 강남훈 겸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회장, 이하 조직위)가 주최하고 조직위, KOTRA, KINTEX가 주관하며,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양컨벤션뷰로가 후원한다. 메인 스폰서는 쉐브론, TUV 라인란드, BP, 한국수력원자력, 포비아,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이 맡았다.

H2 MEET 2023은 ▲수소 생산(H2 Production)* ▲수소 저장·운송(H2 Storage·Distribution)** ▲수소 활용(H2 Utilization)*** 등 총 3개 부문에서 전 세계 18개국 303개 기업·기관이 참가하며, 규모면에서는 전년 행사 대비 약 26% 증가했다.

주요 참가 기업으로 국내에는 ▲현대자동차그룹 ▲포스코그룹 ▲한화그룹 ▲고려아연 ▲코오롱그룹 ▲효성그룹  ▲세아그룹 ▲두산그룹 등이 전시 부스를 꾸리며, 해외에서는 ▲알더블유리뉴어블즈(독일) ▲에어프로덕츠(미국) ▲브롱호스트(네덜란드) ▲크래프트파워콘(스웨덴) ▲아파브(프랑스) 등이 참가를 결정했다.

이외에도 ▲충남테크노파크 ▲DSC(대전·세종·충남) 지역혁신플랫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가스안전공사 ▲주한 네덜란드·영국·호주·캐나다·콜롬비아 대사관 등 국내외 정부 기관 및 공사 등이 다수 참가한다.

H2 MEET 2023에서는 총 303개 기업 및 기관이 소개하는 수소산업 관련 첨단 기술, 제품 전시와 함께 글로벌 수소산업의 동향을 상호 공유하고, 최신 기술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는 ‘H2 MEET Conference 2023’을 개최한다.

특히 올해 컨퍼런스의 경우, 전시 기간 내내 글로벌 수소업계 리더, 정책 입안자, 전문가 등 국내외 연사 180여 명이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되며 세션별 특성을 반영한 ‘리더스 서밋(Leaders Summit)’, ‘컨트리 데이(Country Day)’, ‘테크 토크(Tech Talk)’ 3가지 세션으로 구성된다.

먼저, 리더스 서밋은 9월 14일(목)과 15일(금) 양일간 글로벌 리더들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비전을 공유하고 국가별 수소 정책, 전망 등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될 예정이다. 9월 14일(목)에는 글로벌 기업 수소 책임자들의 기조연설을 시작으로 ‘최첨단 기술을 통한 수소 경제 활성화(Ramping Up Hydrogen Economy with Cutting-Edge Technology)’를 주제로 한 패널토론이 진행되며, GHIAA(세계수소산업연합회)* 회원국인 네덜란드, 호주, 아르헨티나 등 8개국이 참가하는 GHIAA 총회와 포럼도 함께 열린다.

또한, 9월 15일(금)에는 ▲청정 수소를 위한 첨단 기술 ▲수소 활용 가속화 두 가지 주제로 수소 글로벌 기업들이 발표를 진행한다. 조직위와 한국자동차전문기자협회(회장 강희수, AWAK)가 공동 주관하는 특별 패널 세션도 이날 함께 운영된다.

지난해 처음 도입, 세계 각국의 장·차관급 고위 인사들이 다수 참여하며 각국의 수소 정책 공조와 협력의 장으로 뜨거운 호응을 얻은 컨트리 데이도 전시 기간 내내 진행된다. 올해는 네덜란드, 스웨덴, 캐나다, 호주 등 6개국이 참여해 각국의 수소 정책과 대표기업들의 수소산업 계획에 대해 발표한다. 9월 13일(수)에는 ▲네덜란드(오후 1시 30분~3시 30분) ▲호주(오후 1시 30분~5시), 9월 14일(목)에는 ▲스웨덴(오전 10시~오후 4시) ▲캐나다(오전 10시~오후12시) ▲콜롬비아(오후 2시~5시 45분), 9월 15일(금)은 ▲독일(오후 1시 30분~2시 30분)의 컨트리 데이가 진행되며, 각 세션에는 해당 국가의 정부 및 기업·기관 관계자가 다수 참가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테크 토크에서는 수소 산업 밸류체인의 최신 기술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9월 13일(수)부터 15일(금)까지 행사 기간 내내 진행된다. 9월 13일(수)에는 ‘테크 인사이트(Tech insight)'를 주제로 ‘리스타드 에너지(Rystad Energy)’, ‘인투코어테크놀로지(EN2CORE Technology)’ 등이 발표를 맡았으며, 9월 14일(목)에는 ‘수소 생산과 연료전지’를 주제로 ‘에이피 그린(AP Green)’, ‘액트코(ACTCO)’, ‘카본넷 프로젝트(CarbonNet Project)’ 등이 참여하는 테크 토크가, 9월 15일(금)에는 ‘CSIRO(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zation)’, ‘호리바(HORIBA)’, ‘안머터리얼즈’ 등의 기업이 ‘수소 저장과 운송’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조직위는 수소산업의 대중화와 발전은 기술혁신에서 시작된다는 목표 의식을 기반으로 수소산업 전반에 걸친 국내·외 혁신 기술 보유기업을 발굴하고, 업계의 기술 교류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에 이어 ‘H2 이노베이션 어워드’와 ‘베스트 프로덕트 미디어 어워드’, ‘글로벌 미디어 픽’을 운영한다. 

먼저, H2 이노베이션 어워드는 수소 관련 기술을 보유한 대·중·소기업,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①수소 생산 ②수소 저장·운송 ③ 수소 활용 3개 부문의 우수기업을 선정하여 시상식을 진행한다. 현재 11개사가 본선 진출에 이름을 올렸으며, 본선 진출 기업 중 최종 8곳*의 우수기업을 선정하여 9월 13일(수) 시상식을 통해 발표한다. 우수기업들은 13일과 14일 양일에 Tech Talk 기술발표회를 통해 자사의 혁신 기술을 소개하는 자리를 마련한다.
* 대상 1개사, 최우수상 3개사(부문별 1개사), 우수상 4개사(부문구분없이)

또한 조직위는 지난해 처음 도입되어 큰 호응을 얻었던 ‘베스트 프로덕트 미디어 어워드(Best Product Media Award)'를 올해는 한국자동차기자협회(회장 최대열, KAJA)와 공동 주관해 공신력을 높였다. 본 어워드는 전시 참가기업을 취재한 언론인들이 관객호응도·시장잠재력·기술혁신성 등을 고려해 수상기업*을 선정하며, 결과는 전시회 종료 이후 발표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미디어 픽(Global Media Pick)’은 해외기자단이 ‘올해 주목해야 할 Best of H2 MEET 2023’제품을 선정하며, 해외 미디어들에게 자사의 제품을 홍보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각 미디어별 우수기술을 선정하여 전시회 종료 이후 발표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조직위는 수소 생산, 저장·운송, 활용까지 이어지는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미래의 청사진을 제시하기 위해 협력기관과 공동으로 ▲제1차 청정수소 정책포럼(9월 13일) ▲H2 CDC 2023(9월 13일~14일) ▲H2 MEET 산업발전 포럼(9월 14일) ▲분산에너지활성화특별법 세미나(9월 14일) ▲수소 산업 생태계 조성 및 글로벌 선도국가 도약을 위한 청정수소 탄소 검증 방법론 및 수소산업 밸류체인 분석 세미나(9월 15일) 등 다양한 포럼 및 세미나를 운영할 계획이다.

더불어 ‘수소전문기업’의 비즈니스 활성화와 글로벌 수출 확대를 위해 전시장내에 KOTRA와 조직위가 주관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수출 상담회’가 행사 기간 내내 개최되며, H2KOREA와 함께 국내외 방문객 대상으로 한국 수소산업 홍보관을 운영하여 국내 수소 정책 및 비전을 공개할 예정이다.

한편, H2 MEET 관람 시간은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며, 입장료는 일반인 1만 5천 원, 대학생·군인·경로자·장애인·유공자는 5천 원, 고등학생 이하는 무료로 진행된다. 동기간 이차전지 소재·부품 및 장비전(K- BATTERY SHOW 2023)이 H2 MEET와 함께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된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GMC 아카디아 드날리 공개, 럭셔리한 준대형 SUV

GMC 아카디아 드날리 공개, 럭셔리한 준대형 SUV

GMC는 아카디아 드날리 얼티밋(Denali Ultimate)을 18일 공개했다. 아카디아 드날리 얼티밋은 신형 아카디아의 최상위 트림으로 22인치 휠, 최고급 마호가니 가죽 시트, 우드 트림 등 고급감이 강조된 것이 특징이다. 아카디아 드날리 얼티밋의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아카디아 드날리 얼티밋은 3세대 아카디아에 도입된 신규 트림이다. 드날리 얼티밋은 GMC의 대표 럭셔리 트림으로 GMC 풀사이즈 픽업트럭 등 플래그십 모델에만 제공됐는데, 이번에 GMC 유니보디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스바루 언차티드 공개, 매끈한 쿠페형 전기 SUV

스바루 언차티드 공개, 매끈한 쿠페형 전기 SUV

스바루는 언차티드(Uncharted)를 18일 공개했다. 언차티드는 쿠페형 소형 전기 SUV로 1회 완충시 최대 482km를 주행할 수 있다. 특히 최상위 모델은 듀얼 모터를 탑재해 총 출력 338마력을 발휘하며, 전용 주행모드 X-모드를 지원한다. 내년에 판매가 시작된다. 스바루는 언차티드의 판매를 2026년 초부터 시작할 계획이다. 가격은 추후에 공개된다. 언차티드는 솔테라, 트레일시커에 이은 스바루의 세 번째 전기차이자 쿠페형 소형 SUV다. 언차티드는 토요타 C-HR과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BYD 씰 AWD, 가성비 모델3..퍼포먼스는 앞선다

[시승기] BYD 씰 AWD, 가성비 모델3..퍼포먼스는 앞선다

BYD 씰(SEAL) 다이내믹 AWD를 시승했다. 용인 스피드웨이 서킷에서 씰은 전고 1460mm의 낮고 견고한 차체와 썸머 타이어를 통해 민첩한 움직임을 보여준 것이 인상적이다. 직접 경쟁차는 테슬라 모델3 하이랜드 RWD, 사륜구동과 대용량 배터리팩, 빠른 가속력을 지니고도 저렴하다. 씰은 BYD가 올해 선보일 전기차 3종 중 유일한 세단형 모델로, 셀투보디(CTB) 플랫폼을 통한 낮은 무게중심의 세단형 디자인이 특징이다. 배터리를 바닥에 위치시키는 전기차 특성

수입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토요타 크라운 스포츠 스페셜 에디션 공개, 투톤으로 존재감 '업'

토요타 크라운 스포츠 스페셜 에디션 공개, 투톤으로 존재감 '업'

토요타가 크라운 스포츠(Crown Sport) 스페셜 에디션을 공개했다. 크라운 스포츠는 신형 크라운의 SUV 버전으로 크라운 시리즈의 70주년을 기념하는 스페셜 모델은 투톤 외관 컬러와 무광 블랙 21인치 휠 등이 적용됐다. 가격은 597만엔(약 5500만원)이다. 크라운 스포츠는 16세대 크라운의 SUV 버전이다. 16세대 크라운은 고객의 다양한 니즈에 맞춰 크로스오버, 스포츠, 세단, 에스테이트 등 다양한 라인업으로 출시됐는데, 국내에는 크로스오버가 출시됐다. 참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포드 브롱코 스포츠 전기차 공개, 650km 주행..팰리세이드급

포드 브롱코 스포츠 전기차 공개, 650km 주행..팰리세이드급

포드는 브롱코 뉴 에너지(New Energy)를 17일 공개했다. 브롱코 뉴 에너지는 중국 시장을 위한 새로운 브롱코 스포츠로 글로벌 사양과 비교해 차체 크기가 대폭 커졌으며, 1.5리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전기차 주행거리는 최대 650km다. 브롱코 뉴 에너지는 중국 시장을 위한 새로운 브롱코 스포츠로 한국과 미국 등 글로벌에는 출시되지 않는다. 브롱코 뉴 에너지 차체 크기는 전장 5025mm, 전폭 1960mm, 전고 1815mm, 휠베이스 2950mm로 글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테슬라 모델Y 롱보디 선공개, 6인승으로 업그레이드

테슬라 모델Y 롱보디 선공개, 6인승으로 업그레이드

테슬라 모델Y L이 선공개됐다. 중국 특허청을 통해 공개된 모델Y L은 전장과 휠베이스를 늘린 롱보디 모델로 일반 모델과 다르게 최대 6명이 탑승할 수 있다. 모델Y L은 듀얼 모터 구성으로 총 출력은 456마력이다. 하반기에 공식 공개되는데,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모델Y L은 모델Y 주니퍼에 도입된 신규 모델이다. 모델Y L은 롱보디 모델로 차체 크기는 전장 4976mm, 전폭 1920mm, 전고 1668mm, 휠베이스는 3040mm다. 일반 모델과 비교해 전장은 179mm, 휠베이스는 50mm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레인지로버 전기차 프렁크 없다, 자동차에서 가장 '더러운' 부분

레인지로버 전기차 프렁크 없다, 자동차에서 가장 '더러운' 부분

랜드로버는 16일(영국시간)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의 사양 일부를 공개했다.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은 MLA 플랫폼을 기반으로 117kWh 용량의 차세대 배터리를 탑재했으며, 내연기관과 같은 트렁크 용량을 제공한다. 프렁크 공간은 없다. 올해 말 공식 공개를 앞뒀다.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은 5세대 레인지로버 기반 전기차다. 랜드로버는 올해 말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의 월드프리미어를 진행할 계획이다.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은 2026년 글로벌 판매가 시작되는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폭스바겐 ID.3 GTX 파이어 아이스 공개, 보그너와 협업

폭스바겐 ID.3 GTX 파이어 아이스 공개, 보그너와 협업

폭스바겐은 ID.3 GTX 파이어 아이스(Fire+Ice)를 공개했다. ID.3 GTX 파이어 아이스는 1990년대 폭스바겐 2세대 골프 아이스 파이어에서 영감을 얻은 스페셜 모델로 보그너(BOGNER)의 스포츠웨어 브랜드 아이스 파이어와 협업해 개발됐다. 단 1990대만 한정 생산된다. ID.3 GTX 파이어 아이스는 지난해 폭스바겐이 공개한 ID.3 콘셉트카의 양산형 버전이다. ID.3 GTX 파이어 아이스는 1990년 2세대 골프의 파이어 아이스 스페셜 에디션에서 영감을 얻었으며, 오레지널 모델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현대차 ST1 2026년형 출시, 가격은 5655~7253만원

현대차 ST1 2026년형 출시, 가격은 5655~7253만원

현대차는 2026년형 ST1을 출시한다고 16일 밝혔다. 2026년형 ST1은 고객 의견을 반영해 트림에 따라 기본 옵션이 강화됐으며, 카고 모델에는 구매 부담을 낮추기 위한 경제형 트림인 스타일이 새롭게 도입됐다. 주행거리는 최대 317km다. 가격은 5655만원부터다. 2026년형 ST1 가격은 카고 스타일 5874만원, 스마트 6040만원, 프리미엄 6418만원, 카고 냉동 스마트 6875만원, 프리미엄 7253만원, 샤시캡 스마트 5655만원, 하이탑 스마트 5800만원이다. 2026년형 ST1 출시를 기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