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렉서스 ES300h 2026년형, 한국에서 10만대 팔린 이유

[시승기] 렉서스 ES300h 2026년형, 한국에서 10만대 팔린 이유

발행일 2025-08-27 00:59:16 이한승
렉서스 ES 300h 익스클루시브를 시승했다. ES 300h 2026년형은 전면부 그릴에 실버 컬러를 적용하고, 로커패널에 크롬 몰딩을 추가해 고급감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ES 300h는 해당 세그먼트에서 고급감, 승차감, 디자인, 연비 등 고급 세단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를 여전히 만족시킨다.
렉서스 ES는 지난 2024년 6월 누적 판매량 10만대를 돌파했다. 2001년 4세대 렉서스 ES가 한국에 선보인 이후 2022년부터 2년간 수입차 베스트셀링카, 2013~2022년 9년간 하이브리드 수입차 베스트셀링카를 유지했다. 2025년 상반기 렉서스의 국내 판매량 절반은 ES 300h가 차지했다.
국내에서 7천만원 전후의 준대형 럭셔리 세단 시장은 벤츠 E클래스, BMW 5시리즈 등 최근 풀체인지를 거친 모델과 제네시스 G80과도 경쟁하는 시장인데, ES 300h는 여전히 많은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고 있다. 이같은 인기는 중고차 시장으로도 이어져 매각시 좋은 가격을 받고 있다.
렉서스 ES 300h 2026년형은 익스클루시브(7188만원), 럭셔리+(6725만원)의 2가지 트림으로 운영된다. 2021년 선보인 페이스리프트 모델에서 운영했던 럭셔리, F 스포트는 현재 단종된 상태다. 익스클루시브 트림에는 트리플 LED 헤드램프, 세미 아닐린 시트, 선쉐이드 등이 추가된다.
외관 디자인은 중후함과 스포티함을 동시에 연출했다. 출시 초기 과하게 느껴졌던 스핀들 그릴은 현 시점에서는 세련된 분위기로 다가온다. 2026년형에서는 실버 컬러를 더해 그릴부 존재감을 더했다. 측면부는 쿠페형 실루엣으로, 색감이 좋은 고품질 도장면과 함께 고급스러운 분위기다.
실내는 다양한 소재와 패널간의 조합을 통해 고급감을 연출한다. 최근 출시된 경쟁차들이 하이테크 분위기를 강조하며 소재나 구성의 고급감이 퇴보한 것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다양한 물리 버튼을 통해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출시 7년이 지난 시점이라 올드한 면도 있다.
시트 착좌감은 동급에서 가장 우수한 편이다. 세미 아닐린 가죽의 부드러운 촉감과 쿠셔닝이 좋은 구성은 상위 세그먼트가 연상된다. 2열의 착좌감과 시트백 기울기도 이상적이다. 전동 시트의 부드러운 움직임, 윈도우가 열고 닫히는 순간 속도를 줄여주는 설정 등은 렉서스의 강점이다.
ES 300h에는 2.5리터 4기통 D-4S 엔진과 2개의 전기모터가 조합된 풀하이브리드 구성으로 시스템출력 218마력을 발휘한다. 엔진만으로는 최고출력 178마력, 최대토크 22.5kgm다. e-CVT 변속기를 통한 직병렬 방식으로 공차중량 1680kg, 국내 복합연비 17.2km/ℓ(도심 17.3, 고속 17.1)다.
운전석에서의 시트포지션은 낮고 안정적이다. 가슴으로 향하는 스티어링 휠의 각도나 가파르게 기울어진 A필러 등 의외로 스포티한 구성을 보인다. 동급에서는 유일하게 남아있는 기계식 기어 시프트 레버는 시각적으로 오래된 느낌을 지울 수 없는데, 오작동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일상주행에서의 승차감은 부드러운 편이다. 댐퍼의 셋업이 상당히 무른 편인데, TNGA-K 플랫폼 고유의 기본적인 탄탄함이 바탕이 되기 때문에 예전 오피러스 같은 출렁임은 보여주지 않는다. 과속방지턱을 비롯한 요철을 소화하는 능력도 수준급으로, FF 구조지만 2열 승차감도 좋다.
고속주행시에는 낮은 무게중심을 통해 안정적인 주행을 이어간다. 200km/h 이내에서는 주행안정성에 대한 불만이 나오지 않는다. D-4S 엔진을 사용한 이후부터는 엔진음이 중저음의 듣기 좋은 음색으로 변경됐는데, 풀가속 상황에서 엔진이 최고회전에 머물지 않으면 대체로 만족스럽다.
렉서스 하이브리드의 강점 중 하나는 빠른 충전이다. 적극적인 주행을 통해 배터리 충전량을 빠르게 소진해도 전력 소모와 함께 그와 유사한 전력을 충전한다. 1.6kWh 배터리팩을 완전히 바닥내는 것이 쉽지 않다. 때문에 고속주행시에도 200마력을 상회하는 출력을 대부분 유지시켜 준다.
렉서스 ES 300h는 전기차로 향하는 전동화 시대에 다시 주목받고 있다. 숙성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완성도와 신뢰성 높은 차만들기는 편안한 고급차를 원하는 소비자들에게 어필한다. 풀하이브리드 구성이지만 내연기관차 수준의 가격으로, 고급감, 높은 연비는 여전히 대체하기 어렵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시승기] 렉서스 ES300h 2026년형, 한국에서 10만대 팔린 이유

[시승기] 렉서스 ES300h 2026년형, 한국에서 10만대 팔린 이유

렉서스 ES 300h 익스클루시브를 시승했다. ES 300h 2026년형은 전면부 그릴에 실버 컬러를 적용하고, 로커패널에 크롬 몰딩을 추가해 고급감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ES 300h는 해당 세그먼트에서 고급감, 승차감, 디자인, 연비 등 고급 세단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를 여전히 만족시킨다. 렉서스 ES는 지난 2024년 6월 누적 판매량 10만대를 돌파했다. 2001년 4세대 렉서스 ES가 한국에 선보인 이후 2022년부터 2년간 수입차 베스트셀링카, 2013~2022년 9년간 하이브리드

수입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포르쉐 카이맨 GT4 RS 한정판 공개, 화려한 오렌지 컬러 '주목'

포르쉐 카이맨 GT4 RS 한정판 공개, 화려한 오렌지 컬러 '주목'

포르쉐는 카이맨 GT4 RS 한정판을 25일 공개했다. 카이맨 GT4 RS 한정판은 네덜란드에서 '튤립'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만타이 키트가 적용됐으며, 네덜란드의 레이싱 컬러인 파스텔 오렌지로 마감됐다. 출력은 500마력으로 향상됐다. 단 한대만 특별 제작됐다. 카이맨 GT4 RS 한정판은 포르쉐 익스클루시브 매뉴팩처와 존더분쉬, 독일의 모터스포츠 전문 업체인 만타이(Manthey) 레이싱의 협업으로 탄생했다. 카이맨 GT4 RS 한정판은 단 한대만 특별 제작됐으며,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벤츠 S클래스 450 4MATIC 출시, 가격은 1억5960만원

벤츠 S클래스 450 4MATIC 출시, 가격은 1억5960만원

벤츠코리아는 S450 4MATIC을 출시한다고 26일 밝혔다. S450 4MATIC은 S클래스 스탠다드 휠베이스의 신규 트림으로 오너 드리븐에 최적화된 휠베이스 및 스포티한 디테일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파워트레인은 3.0리터 직렬 6기통 엔진이다. 가격은 1억5960만원이다. S450 4MATIC은 S클래스 스탠다드 휠베이스에 도입된 신규 트림이다. 가격은 1억5960만원이다. 벤츠코리아는 가솔린 모델인 S450 4MATIC을 새롭게 추가해 기존 S350d 4MATIC 디젤 모델 단일 트림으로 운영됐던 S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토요타 bZ 미국서 4800만원대, 현대차 아이오닉5보다 싸다

토요타 bZ 미국서 4800만원대, 현대차 아이오닉5보다 싸다

토요타는 bZ의 가격을 공개하고 미국 판매를 25일 시작했다. bZ는 토요타 라브4급 전기 SUV로 1회 완충시 EPA 기준 최대 512km를 주행할 수 있다. 14인치 터치 스크린과 최신 ADAS 등이 기본이다. 가격은 3만4900달러(약 4800만원)부터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bZ는 기존 토요타 bZ4X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차명이 변경됐다. 국내 도입은 미정이다. bZ는 스타일과 옵션, 성능 등에서 대대적인 업그레이드가 이뤄졌는데, 시작 가격은 오히려 낮아졌다. bZ 가격은 3만490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아우디 신형 Q3 스포트백 공개, 매끈한 쿠페 스타일

아우디 신형 Q3 스포트백 공개, 매끈한 쿠페 스타일

아우디는 신형 Q3 스포트백을 25일 공개했다. 신형 Q3 스포트백은 3세대 Q3 기반 쿠페형 SUV로 공기저항을 고려해 디자인된 매끈한 외관, 디지털 매트릭스 LED 헤드램프 등 아우디 최신 사양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신형 Q3 스포트백의 국내 도입은 미정이다. 신형 Q3 스포트백은 3세대 Q3 기반 쿠페형 SUV다. 신형 Q3 스포트백은 오는 11월 유럽부터 판매가 시작된다. 신형 Q3 스포트백과 신형 Q3의 국내 도입은 미정인데, 기존 Q3 스포트백과 Q3가 국내에서도 판매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혼다 CR-V 하이브리드, 실연비와 주행성능 인상적

[시승기] 혼다 CR-V 하이브리드, 실연비와 주행성능 인상적

혼다 CR-V 하이브리드 2WD를 시승했다. 6세대 모델인 CR-V 하이브리드는 중형급에 준하는 커진 차체와 적재공간, 그리고 스포티한 외관 디자인이 특징이다. 특히 2-모터 하이브리드를 통한 높은 실연비와 함께 혼다 고유의 스포티한 주행성능, 안전성, 최신 모델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혼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효율성과 주행감성을 함께 높이는 쪽으로 진화했다. 최신 모델인 11세대 어코드 하이브리드와 6세대 CR-V 하이브리드에는 4세대 2-모터 하이브

수입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르노4 2인승 밴 공개, 스타일까지 갖춘 전기 상용차

르노4 2인승 밴 공개, 스타일까지 갖춘 전기 상용차

르노는 르노4 2인승 밴을 22일 공개했다. 르노4 2인승 밴은 르노 콤팩트 전기차 르노4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심형 상용차로 1회 완충시 WLTP 기준 최대 413km 주행거리와 1405ℓ의 트렁크 공간, 최대출력 150마력 전기모터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르노4 2인승 밴은 르노 차세대 전기차 르노4를 기반으로 한다. 르노4는 1960년대 오리지널 르노4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콤팩트 모델이다. 르노4는 르노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AmpR 스몰 플랫폼을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크라이슬러 퍼시피카 그리즐리 피크 공개, 오프로드 캠핑카

크라이슬러 퍼시피카 그리즐리 피크 공개, 오프로드 캠핑카

크라이슬러는 퍼시피카 그리즐리 피크(Pacifica Grizzly Peak)를 22일 공개했다. 퍼시피카 그리즐리 피크는 오프로드 주행과 차박에 최적화된 콘셉트카로 전용 서스펜션과 보디킷, 루프랙 등을 갖췄다. 실내는 평평한 트렁크 공간이 구현됐다. 양산은 미정이다. 퍼시피카 그리즐리 피크는 크라이슬러의 대표 미니밴 퍼시피카 기반 콘셉트카다. 퍼시피카 그리즐리 피크는 미니밴으로 가족과 함께 오프로드 주행과 차박을 함께 즐기는 고객의 피드백을 받기 위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BYD코리아, BYD Auto 김포 전시장 오픈..서비스 강화

BYD코리아, BYD Auto 김포 전시장 오픈..서비스 강화

BYD코리아가 김포시 풍무동에 BYD Auto 김포 전시장을 새롭게 오픈하며 경기 서부권 고객을 위한 서비스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BYD Auto 김포 전시장은 437㎡(약 132평) 규모로, 최대 6대의 BYD 차량을 동시에 전시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추고 BYD 모델들을 한눈에 비교하고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올해 1월 승용 브랜드 출범 이후 브랜드 신뢰도 제고 및 고객 편의성 향상을 최우선 과제로 고객의 브랜드 경험 확대에 노력해 온 BYD코리아는 이번 김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