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서 품질 우수한 차 TOP10…현대차 에쿠스 4위

美서 품질 우수한 차 TOP10…현대차 에쿠스 4위

발행일 2011-07-15 18:21:23 김상영 기자

미국의 경제전문지 포브스(Forbes)는 11일, '가장 품질이 우수한 차(Highest Quality Cars of 2011)'를 선정했다. 일본 자동차 브랜드가 대다수를 차지했고, 현대차 에쿠스의 약진도 눈에 띄었다. 하지만 미국, 독일 등 자동차 선진국들의 성적이 상대적으로 저조해 대조를 이뤘다.

포브스가 품질이 우수한 차량을 선정한 기준은 차량에 대한 결함지수를 통해서다. 이는 미국의 소비자 만족도 조사 전문기관인 J.D.파워의 초기품질지수(IQS, Initial Quality Study)를 참고했다.

결함수가 가장 적은 상위 10위권(총 11대) 차량 중 일본 차량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렉서스, 혼다, 어큐라, 마쓰다 등은 7개의 차량을 순위에 올렸다.

미국과 독일 등 자동차 생산 선진국들은 체면이 말이 아니다. 미국 브랜드 차량은 포드 픽업트럭 F150이 유일했다. 세계 최대 자동차 기업인 GM을 비롯 크라이슬러 등은 순위가 저조했다. BMW, 메르세데스-벤츠 등 고급 독일 차들도 순위에 오르지 못했고, 특히 폭스바겐과 BMW 미니는 나란히 100대당 131건의 문제가 발생해 미국서 가장 문제가 많은 차로 손꼽히게 됐다.

올해도 렉서스 LS 시리즈의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렉서스 LS 시리즈는 100대당 54건의 문제가 발생했다. 90일간 절반 가량의 구매자들은 아무 문제를 겪지 않았다는 것이다. 2위도 렉서스가 차지했다. 렉서스 ES350은 100대당 56건의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렉서스는 10위 안에 총 4대를 올려 고급브랜드로서의 자존심을 지켰다.

포르쉐 911은 3위와 10위에 올랐다. 페라리 소유자들은 품질 문제가 슈퍼카의 특성이라고 받아들이는데 비해 포르쉐는 스포츠카 브랜드면서도 내놓는 차마다 세단을 뛰어넘는 우수한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현대차 에쿠스는 4위를 기록했다. 에쿠스는 100대당 61건의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에쿠스가 벤츠, BMW, 아우디 등의 쟁쟁한 고급세단을 제치고 순위에 오른 점은 놀랍다.

아래는 2011년 초기품질지수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차 상위 10대 목록.

◆1위 렉서스 LS - 100대당 54건

LS시리즈는 렉서스의 최고급 모델이다. LS460은 4.6리터 V8 가솔린엔진과 자동8단 변속기가 장착됐다. 승차감과 안전성 등이 우수해 전 세계에서 호평을 받고 있는 차량이다. 국내 판매가격은 1억 2980만원이다. 하이브리드 모델인 LS600h는 1억 8930만원에서 2억 580만원으로 판매되고 있다.   

▲ 렉서스 LS460

◆2위 렉서스 ES350 - 100대당 56건

ES350은 렉서스의 대표 중형차량으로 2004년부터 2006년까지 국내 시장에서 수입차 판매 1위를 기록했다. 3.5리터 V6 엔진과 6단 자동변속기는 안정성 있는 주행성능 발휘한다. 국내에서는 5550만원에서 5990만원까지 판매되고 있다.  

▲ 렉서스 ES350

◆3위 포르쉐 911 - 100대당 60건

911은 포르쉐를 대표하는 스포츠카다. 전 세계에 두터운 마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다. 국내에도 다양한 911이 판매되고 있다. 카레라, 타르가, 터보 등 총 10개의 911 모델이 판매되고 있다. 가격도 1억 2950만원에서부터 2억 6750만원까지 다양하다.

▲ 포르쉐 911 시리즈

◆4위 현대차 에쿠스 - 100대당 61건

에쿠스는 현대차의 최고급 차량이다. 경쟁차량에 비해 저렴한 가격과 우수한 품질로 미국 시장에서 소비자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국내 판매가격은 6900만원에서부터 1억 4900만원까지로 책정돼있다.

▲ 현대차 에쿠스

◆5위 마쓰다 MX-5 - 100대당 62건

마쓰다 MX-5는 기네스북에 등재된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로드스터다. 가벼운 차체(1167kg)로 운전의 재미를 극대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BMW Z4, 벤츠 SLK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알려져있다. 마쓰다 MX-5는 국내에 수입되고 있지 않다.

▲ 마쓰다 MX-5

◆6위 포드 F150 - 100대당 66건

포드 F-150은 포드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차량이며,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픽업트럭이다. 포드 F시리즈는 1948년부터 생산됐으며 현재까지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F-150은 지난해 미국에서 판매대수 1위를 기록했다. 25년 연속의 대기록이다.

▲ 포드 F-150

◆7위 어큐라 TSX - 100대당 67건

어큐라는 혼다의 고급브랜드로 TSX, RSX, ZDX 등의 차량을 생산하고 있다. TSX는 혼다 어코드를 기반으로 제작된 차량이다. 어큐라 TSX는 100대당 67건의 결함으로 우수한 품질을 기록했다.

▲ 어큐라 TSX

◆7위 렉서스 GS - 100대당 67건

GS는 ES와 같은 세그먼트에 위치하지만 ES 보다 스포티한 성격이 강화된 차량이다. 따라서 ES 보다 젊은 고객층을 확보하고 있다. 국내에는 가솔린과 하이브리드 모델이 판매되고 있다. 가격은 GS350은 7850만원, GS450h는 9050만원이다.

▲ 렉서스 GS350

◆9위 혼다 어코드 - 100대당 71건

TSX, GS가 공동 7등을 기록해 혼다 어코드는 9위에 올랐다. 어코드는 일본의 대표적인 중형 세단으로 국내에서도 판매량이 높다. 2.4리터, 3.5리터 모델이 판매되고 있으며 가격은 3490만원에서 4190만원으로 책정돼있다.

▲ 혼다 어코드

◆10위 렉서스 IS - 100대당 72건

렉서스의 가장 작은 세단인 IS시리즈는 스포티한 디자인과 우수한 성능으로 소비자들에게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2.5리터 모델에서 고성능 차량인 IS F까지 다양한 모델로 구성돼있다. IS250의 가격은 4390만원에서 4830만원이며, IS F의 가격은 8800만원이다.

▲ 렉서스 IS250

◆10위 포르쉐 파나메라 100대당 72건

파마메라는 포르쉐는 4인승 스포츠세단이다. 포르쉐의 기존 스포츠카들과 달리 차량 앞부분에 엔진이 장착돼있다. 파나메라 터보는 4.8리터 V8 터보 엔진이 장착돼 최고출력이 500마력에 달한다. 파나메라의 국내 판매가격은 1억 2820만원에서부터 2억 2880만원으로 판매되고 있다.

▲ 포르쉐 파나메라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