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자동차 엔진의 역사(상)…다빈치부터 엔초 페라리까지

[백과사전] 자동차 엔진의 역사(상)…다빈치부터 엔초 페라리까지

발행일 2012-03-12 08:50:08 김한용 기자

주유소에 갈때 마다 훌쩍 오른 기름값에 놀라곤 한다. 이게 다 땅 밑에 감춰진 기름을 태우는 엔진을 만든 탓이다. 누가 이런 엔진과 자동차를 만든 것일까. 다양한 자동차 엔진의 역사를 되돌아보도록 하자.

◆ 너도나도 '최초의 자동차'…진짜는 어떤 것?

최근 메르세데스-벤츠의 광고를 보면 칼 벤츠가 최초의 자동차를 만들어 인류에게 선물했다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최초의 자동차'가 무엇인가를 놓고 수많은 이들의 의견이 엇갈린다. 독일이 자동차를 처음 만들었다는 주장은 어쩌면 다소 과대 평가 돼 있는지도 모른다.

▲ 퀴뇨가 만든 최초의 증기자동차
사실 ‘자동차’라고 부를만한 물건을 처음 만든 것은 1769년 프랑스인 니콜라 퀴뇨에 의해서다. 퀴뇨는 증기기관을 개조해 사람이 탈 수 있는 3륜 자동차를 만들어냈다. 하지만 증기 기관의 특성상 무겁고, 방향을 전환하기 쉽지 않았다고 한다. 더구나 사고도 잦았다는 기록이 있다.


▲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자화상
최초의 동력 자동차를 만든 것은 그보다 앞선다. 지금으로부터 530년전인 1482년 레오나르도 다빈치로부터다. 그가 만든 것은 태엽을 이용한 자동차였다. 당시 그가 직접 만든 차체는 비록 지금 존재하지 않지만, 최근의 연구진들이 그의 설계도 스케치를 통해 차를 만들어 본 결과 빠른 속도로 달릴 수 있었다는 것을 밝혀냈다. 더구나 다빈치는 1509년에는 내연기관 엔진의 설계도를 그려내 근대 엔진을 만드는 근간이 되기도 했다. 실제로 후세에는 그의 엔진을 현실화시킨 '레오나르도 기관'이 특허를 받기도 했다.

다빈치가 이 설계를 했을때는 미대륙이 처음 발견된 즈음이며, 로마가 멸망하는 시점이었다. 그런 시대에 그는 이미 자동차의 개념과 엔진의 개념까지 만들었다. 더구나 최초의 양수기를 만들었고, 비행기나 낙하산, 헬리콥터 등의 원리를 개발했을 뿐 아니라 '최후의 만찬'과 '모나리자'까지 그려냈다. 다빈치는 외계인이거나 미래에서 온 사람이 아닐까 의심이 들 정도다.

하지만 요즘 '자동차(Automobile)'라면 흔히 내연기관 엔진을 달고 있는 탈 것을 뜻한다. 이 자동차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 자동차용 엔진의 발명

벨기에의 에티엔트 르노와르는 1859년 처음으로 2행정 내연기관을 양산화했다. 땅속의 석탄 대신 석유를  동력으로 활용한 역사적 사건이다.

17년이 지난 1876년 니콜라우스 오토는 이를 토대로 효율이 우수한 4행정 가스 내연기관을 처음 실현해냈다. 이 엔진은 당시로선 엄청난 인기를 끌었으며 '오토(otto)'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된다.

하지만 오토의 엔진 특허는 독일 법원에서 특허 무효처분을 받게 돼 이후 누구나 오토의 엔진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당시 오토는 고틀립 다임러와 빌헬름 마이바흐를 조수와 직원으로 두고 있었는데, 이들이  오토와 결별하고 유명한 '다임러 자동차회사'를 열게 된다.

▲ 최초의 내연기관 만든 니콜라스오토(좌), 그의 조수 고틀리프 다임러(중), 그의 경쟁자였던 카를벤츠(우)
당시 니콜라우스 오토는 이 내연기관을 우체국 기계 등을 동작하는데만 활용했다. 탈것을 만든다는 것은 생각치 못했던 것이다.

그의 조수였던 고틀립 다임러는 1885년 동료 빌헬름 마이바흐와 함께 보조바퀴가 달린 2륜 탈 것, 요즘 기준으로 보면 오토바이라 할 수 있는 것을 제작했다. 다임러의 작업실은 작은 문을 통해 드나들어야 했는데 이 통로의 폭은 4륜 자동차가 통과할 수 없을 정도로 좁았기 때문이다.
▲ 카를 벤츠의 최초의 3륜차. 메르세데스-벤츠 클래식센터에 의해 200대가 복원, 판매됐다.

이듬해 1886년 카를 벤츠는 3륜 휘발유 자동차를 만들게 된다. 다임러 또한 뒤질세라 같은해 4륜 자동차를 내놓으며 이에 맞섰지만 자동차에 대한 특허는 카를 벤츠가 앞서 따내게 됐다. 다임러는 생전에 특허를 비롯해 자존심까지 걸고 벤츠와 끊임없는 싸움을 거듭하게 됐다. 그러다보니 다임러와 벤츠는 살아 생전 절대 만나지 않았을 만큼 앙숙이었지만 이들의 사후인 1926년, 두 회사는 다임러-벤츠(현 다임러AG)로 통합됐다.


▲ 고틀립 다임러가 만든 최초의 탈 것. 벤츠와 같은 해 발표됐지만 특허 출원이 늦었다.
1892년에는 루돌프 디젤이 압축 착화기관을 만들었다. 기존의 엔진은 점화플러그를 통해 불을 붙이는 방식이었지만 디젤 엔진은 압축을 통해 말 그대로 폭발을 시키는 방식이다. 아이러니한 것은 최초의 디젤엔진은 디젤(경유)를 사용하지 않고 석탄가루를 이용했다는 점이다.

처음으로 경유와 비슷한 연료를 이용한 것은 1900년의 세계박람회에서의 일이다. 당시 디젤은 땅콩 기름을 이용한 엔진을 선보였다. 말하자면 최초의 디젤엔진은 친환경적인 바이오 디젤을 연료로 한 셈이다.

당시 가솔린 엔진은 일부 호사가들의 취향을 만족시키는 정도였다면 보다 규모가 크고 고장이 없는 디젤엔진은 순식간에 산업을 뒤흔드는 혁명을 가져왔다. 당시 열차 기관차나 선박, 대형 장비, 발전소 등에 널리 사용되던 증기기관이 빠른 속도로 디젤엔진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디젤엔진이 승용차에 사용되는 것은 그로부터 한참이 지난 1970년대에 들어서다. 유럽에서는 최근 50% 가량의 차에 디젤엔진이 장착되고 있으며 이 숫자는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국내를 비롯한 미국 등에서도 주로 대형자동차나 오프로드 자동차 등에 사용됐지만 최근엔 높은 연비와 우수한 성능으로 그 수는 점차 늘고 있다.

증기자동차의 선전자동차를 얘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증기 자동차'다. 턱없이 낡은 기술이라고 여기기 쉽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내연기관 엔진이 등장하고도 오랜동안 증기기관이 자동차 역사를 함께 이끌었다. 가솔린 자동차를 처음 만든 칼 벤츠는 자신의 특허를 세계 시장, 특히 미국 시장에까지 진출 시켰다. 지금 같으면 특허를 회피해 차를 제작할 수 있었겠지만, 당시는 포괄적인 특허가 허용돼 미국 자동차 회사가 가솔린 엔진을 이용한 자동차를 만들기는 어려웠다. 
▲ 스탠리 자동차회사의 증기 자동차

따라서 미국을 비롯한 다양한 국가에서는 증기기관을 이용한 자동차를 계속 발전시켰다. 더구나 증기기관은 당시 기술로는 내연 기관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효율을 갖고 있었으므로, 주행 속도면에서는 오히려 앞섰다.

증기기관이 발전하면서 버스나 승용차에 증기기관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증기기관 자동차는 시속 60km를 넘는 속도로 주행할 수 있었다.

1897년에 스텐리 형제가 ‘스텐리 증기자동차회사’를 차린 것도 이 같은 배경이 있어서다.

최근은 내연기관이 기본이지만, 친환경 엔진을 개발해야 한다는 목표로 인해 증기자동차와 유사한 외연기관이 차세대 동력원으로 재조명되기도 한다.

◆ 엔진의 발전…누구나 자동차를 살 수 있게

그동안 엔진은 모두 4행정 1기통이었다. 헨리포드는 최초로 2기통 엔진을 만들어냈고 1898년에 디트로이트 자동차 회사를 차렸다. 이 회사는 장차 포드로 이름을 바꾸게 된다. 포드는 최초로 대량생산 방식을 도입해 많은 사람들이 갖고 싶어하던 자동차를 실제 구입이 가능한 수준까지 가격을 끌어내렸다. 포드 모델T는 1500만대를 판매함으로써 베스트셀러가 됐다.

▲ 최초의 대량생산 자동차 포드T
당시까지도 대부분 엔진은 크랭크 샤프트를 돌리는 방식으로 시동을 걸었다. 이 방식은 힘들기도 했지만 킥백(Kick Back)이라고 하는 엔진의 반발로 인해 샤프트를 돌리던 사람의 팔이 부러지게 되는 경우마저 흔했다. 찰스 케터링은 크랭크 샤프트를 돌려서 엔진 시동을 걸던 기존 방식을 개선해 전기 모터를 이용한 셀프 스타터를 개발했다. 이게 1912년의 일이다.

1920년대는 엔진의 배기량을 큰 폭으로 늘려가는게 기술의 과시였다. 더 큰 엔진을 만들 수 있는 브랜드가 기술력을 인정받는 분위기였다. 직렬 6기통 8리터 엔진을 장착한 벤틀리 8리터 모델이 나오는가 하면, 1929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비싼 차로 알려진 부가티 타입 41 르와이얄이 발표되기도 했다. 하지만 곧이어 대공황으로 인해 이 같은 차들의 인기는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1930년대에는 롤스로이스, 메르세데스-벤츠, 아우토유니온(현재 아우디), 폭스바겐 타입1(딱정벌레차) 등이 등장했다. 엔초페라리에 의해 페라리의 전신인 Auto Avio Construzioni가 만들어진것도 이때다.

이후 세계 자동차 업계는 거대한 변화의 물결. 2차 세계대전을 맞이하게 된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시승기] 카니발 하이브리드, 대형 SUV 위협하는 상품성

[시승기] 카니발 하이브리드, 대형 SUV 위협하는 상품성

기아 카니발 하이브리드 9인승을 시승했다. 카니발 하이브리드는 연비와 정숙성을 함께 만족하는 모델로, 비교적 높은 가격에도 인기가 좋아 카니발 디젤의 단종을 앞당긴 것으로 평가된다. SUV를 선호하는 트렌드와 대형 SUV가 관심을 받고 있지만, 다인승 이동시 편의성은 독보적이다. 기아는 카니발 부분변경(KA4 PE)을 지난 2023년 11월, 하이브리드는 12월 출시했다. 사전계약에서 90%의 고객이 하이브리드를 선택하며, 출고 대기가 1년을 넘어서기도 했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제네시스 G90 쿠페 양산되나, 엑스 그란쿠페 콘셉트

제네시스 G90 쿠페 양산되나, 엑스 그란쿠페 콘셉트

제네시스가 G90 쿠페, 엑스 그란쿠페 콘셉트(X Gran coupe concept)의 실차 이미지와 영상을 추가로 공개해 주목된다. 이탈리아 동부 마르케 지역에서 촬영된 이번 콘텐츠를 통해 엑스 그란 쿠페가 단순히 목업 차량이 아닌, 실제로 구동계가 탑재된 실차임을 보여줘, 양산 가능성을 높였다. 제네시스 브랜드는 2015년 11월 브랜드 론칭시 예고한 6개 모델 라인업에 '니어 럭셔리 스포츠 쿠페'를 포함하는 등 쿠페형 모델 출시에 대한 계획이 있었다. 이후 2016년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닛산 신형 실피 공개, 과감한 전면부 디자인..아반떼급 세단

닛산 신형 실피 공개, 과감한 전면부 디자인..아반떼급 세단

닛산은 신형 실피(SYLPHY) 외관 디자인을 12일 공개했다. 신형 실피는 부분변경으로 전면부를 가로지르는 풀사이즈 LED 라이트바와 독특하게 디자인된 주간주행등 등 과감한 디자인이 적용됐다. 신형 실피는 내년 중국에 출시되며, 미국에서는 센트라로 판매된다. 실피는 닛산의 준중형 세단이다. 신형 실피는 4세대 부분변경으로 2026년 1분기 중국 시장에 투입된다. 실피는 미국에서 센트라로 판매되는데, 현대차 엘란트라(국내명 아반떼), 기아 K4, 혼다 시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AMG E53 에스테이트, 미국서 가장 저렴한 퍼포먼스 왜건

AMG E53 에스테이트, 미국서 가장 저렴한 퍼포먼스 왜건

메르세데스-AMG는 12일 AMG E53 에스테이트(Estate) 가격을 미국서 공개하고 판매를 시작했다. E53 에스테이트는 신형 E클래스 에스테이트의 고성능 버전으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해 총 출력 612마력을 발휘하며, 가격은 9만4500달러(약 1억3000만원)다. E53 에스테이트는 신형 E클래스 에스테이트의 고성능 버전이다. 국내에는 E53 세단이 출시됐는데, 에스테이트 출시는 미정이다. E53 에스테이트의 미국 가격은 9만4500달러(약 1억3000만원)로 BMW M5 투어링, 아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토요타 랜드크루저 랠리 에디션 공개, 오프로드 스포츠카

토요타 랜드크루저 랠리 에디션 공개, 오프로드 스포츠카

토요타는 랜드크루저 GR 스포츠 랠리 에디션(Rally Raid Edition)을 11일 공개했다. 랜드크루저 GR 스포츠 랠리 에디션은 튜닝된 전용 서스펜션과 전용 휠 등을 탑재해 오프로드 성능이 강화됐다. 트윈 터보 디젤 엔진을 탑재했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랜드크루저 GR 스포츠 랠리 에디션은 랜드크루저 팀이 다카르 랠리 양산차 부문에서 12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기 위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제작된 스페셜 모델이다. 랜드크루저 GR 스포츠 랠리 에디션은 일본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볼보 EX30 크로스컨트리, 퍼포먼스와 사운드 매력적

[시승기] 볼보 EX30 크로스컨트리, 퍼포먼스와 사운드 매력적

볼보 EX30 크로스컨트리를 시승했다. EX30 크로스컨트리는 EX30을 기반으로 오프로더 스타일의 차별화된 외관 디자인과 19mm 높아진 지상고를 통해 전통적인 볼보의 크로스컨트리 분위기를 만들어냈다. 특히 428마력 듀얼 전기모터의 강력한 퍼포먼스와 1040W 사운드 장비는 주목된다. 볼보코리아는 지난 4일 크로스컨트리 최초의 전기차 EX30 크로스컨트리를 출시했다. 1997년부터 시작된 크로스컨트리(Cross Country)는 볼보가 만들어낸 독창적인 라인업으로, 스

수입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그랑 콜레오스 2026년형 살펴보니, 선루프로 개방감 높였다

그랑 콜레오스 2026년형 살펴보니, 선루프로 개방감 높였다

르노코리아가 2026년형 그랑 콜레오스를 선보였다. 2026년형 그랑 콜레오스는 파노라마 선루프를 도입하고, 퓨어 화이트 그레이 인테리어가 추가됐다. 새로운 인포테인먼트 기능과 신규 내외장 컬러, 아웃도어 감성의 스페셜 에디션 에스카파드(escapade)를 함께 출시한 점이 특징이다. 2026년형 그랑 콜레오스는 고객 요구 사항을 반영해 openR(오픈알) 파노라마 스크린 바탕화면 내 공조장치 위젯 추가 등 UI를 개선했다. 동승자는 20가지 캐주얼 게임이 포

차vs차 비교해보니이한승 기자
맥라렌 750S JC96 에디션 공개, 도로용 레이스카

맥라렌 750S JC96 에디션 공개, 도로용 레이스카

맥라렌은 750S JC96 에디션을 11일 공개했다. 750S JC96 에디션은 일본에서만 판매되는 한정판 모델로 타이거 스프라이프 디자인을 특징으로 MSO 750S 전용 다운포스 키트(HDK)를 통해 트랙 주행에 최적화된 것이 특징이다. 750S JC96 에디션은 61대만 한정 생산된다. 750S JC96 에디션은 1996년 일본 그랜드 투어링카 챔피언십(JGTC)에서 드라이버 챔피언십을 차지한 맥라렌 F1 GTR에 경의를 표현하는 스페셜 모델이다. 750S JC96 에디션은 쿠페와 스파이더로 운영되는데, 199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애스턴마틴 볼란테 60주년 에디션 공개, 희소성 높인 오픈카

애스턴마틴 볼란테 60주년 에디션 공개, 희소성 높인 오픈카

애스턴마틴은 뱅퀴시와 DB12 볼란테 60주년 에디션을 11일 공개했다. 뱅퀴시와 DB12 볼란테 60주년 에디션은 애스턴마틴 오픈톱 라인업 볼란테의 6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Q 바이 애스턴마틴에서 전용 디자인 요소로 고급감을 높였다. 각각 60대 한정 생산된다. 뱅퀴시와 DB12 볼란테 60주년 에디션은 애스턴마틴의 오픈톱 라인업을 의미하는 볼란테의 6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애스턴마틴의 맞춤형 비스포크 서비스 Q 바이 애스턴마틴에서 제작했다. 각각 60대 한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