헛물켜는 서울모터쇼, “레이싱 모델로 세계 3대 모터쇼”

헛물켜는 서울모터쇼, “레이싱 모델로 세계 3대 모터쇼”

발행일 2013-03-05 10:41:52 스위스 제네바=김한용 기자

서울모터쇼가 신차 하나 없는 '서울모델쇼'로 전락했다는 주장이 계속되는 가운데, 조직위 측은 기자회견에서 레이싱모델들을 더 지원하고 관람객을 동원해 세계 3대 모터쇼를 만들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해 주변을 의아하게 했다. 심지어 마케팅 효과가 떨어진다며 불참한 업체에게 고압적인 태도로 참가를 강권하는 모습도 여전했다.

서울모터쇼 조직위원회는 모터쇼를 한달 앞둔 지난달 27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자동차공업협회 허완상무는 서울모터쇼가 전시면적이나 참가인원으로 볼 떄 세계 3위 모터쇼고, 역사를 감안해도 적어도 제네바모터쇼는 제치고 이미 세계 5대모터쇼가 됐다고 주장했다. 또 해외 모터쇼도 관람객을 더 오도록 하기 위해서 늘씬하고 예쁜 모델을 수입해서라도 더 동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 서울모터쇼 권영수 조직위원장(가운데)이 '2013 서울모터쇼'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TV리포트 임재범 기자)

한국타이어가 마케팅효과가 적다는 이유로 서울모터쇼에 불참하고 있는데 대해서도, 이는 모터쇼를 잘못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아래는 허완 상무와의 질의 응답내용.

Q. 올해 관람객 목표가 120만명이라고 했는데, 전시규모 20만 평방미터인 독일 프랑크푸르트 모터쇼도 관람객을 꽉 채워서 100만명을 조금 넘는데, 어떻게 기존 5만 평방미터에서 100만명이 넘고, 10만 평방미터에 120만명이 온다는 것인가.

A. 세계 자동차 시장의 변화가 굉장히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지금은 중국 상하이모터쇼를 빼놓을 수가 없다. 그리고 일본의 동경모터쇼와 프랑스 파리모터쇼는 이제 서서히 지고 있다.

아무래도 시장따라 움직이는 것 같다. 미국은 워낙 세계에서 제일 먼저 모터쇼가 개최되고 이러다보니까 면적은 7만 스퀘어미터, 일본도 7만5천~8만 스퀘어미터고, 옛날 파리는 18만 스퀘어미터였는데 작년에 9만 스퀘어미터 밖에 안썼다.

면적으로보면 프랑크푸르트가 가장 크고 상하이모터쇼가 두번째, 그 다음이 서울모터쇼로 3위다. 입장객으로 보면 파리모터쇼가 제일 많지만은 상하이 모터쇼가 1위를 할 것으로 본다. 입장객이 팍팍 늘어나기 때문에 올해는 상하이모터쇼가 1위를 할 것이고 그 다음이 파리모터쇼, 그 다음이 우리가 될 것이다. 100만명이 넘는건 서울모터쇼까지로 입장객으로도 세계 3위다.

Q. 100만명 추산 기준은 무엇인지 설명해달라.

A. 입장권을 배포하고, 입장권을 무료입장권으로 참가업체에 뿌린다. 실제로 사가지고 들어온 사람은 전체 중 절반으로 보면 된다. 주최측이 초대한 유치원생이나 이런 사람들은 카운트는 되지만 무료다. 

Q. 120만명이 1만원짜리 표를 산다면 최대 120억이 된다는건가.

A. 120억이나 되니까 대단하다 하는데, 실은 무료 입장이 많아서 전혀 그런 금액과는 거리가 멀다.

Q. 그럼 그 입장수입에 전시 부스 임대 비용도 막대한데, 업체들 부스비까지하면 수익이 얼마나 나는건가. 막대한 수익금은 어디에 쓰는가.

A. 광고도 해야 하고, 홍보도 해야 하고 현수막도 걸어야 되고, 전시관에 내야 하는 임차료도 많고 해서 얼마 남지 않는다. 1/3이 킨텍스로 다 들어간다. 킨텍스에서는 우리가 가장 큰 고객이다. 아주 쪼금 남는다.

Q. 매년 흑자가 났다면 비축할 필요가 없지않나.

A. 우리가 해외 전시도 보고 해야 하니까 그런데 쓴다. (그래도 남으면 어쩌나) 그래도 흑자가 나면 자동차 공업협회, 수입차협회, 부품협회 등 전시주체가 있는데, 아주 쪼끔 남는데 이들이 규정대로 나눠 갖는다.

Q. 그러니까 수익이 얼마나 되는건가. 금전적으로 뭐라도 투명하게 공개 되는게 있나.

A. 그런건 안묻는게 예의다. 외국에서는 그러지 않지, 기자간담회 했는데 그런거 묻더라 이러면 이상하다 할거다.

Q. 한국타이어를 직접 지적하며 불참을 성토하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배포한 배경은?

A. (격앙된 어투로) 해외 모터쇼를 가봤더니 어디를 봐도 금호타이어 한국타이어가 다 나오고 있었다. 유독 서울모터쇼만 타이어 업체가 처음에만 한번 나오고 쭉 불참하고 있다.

그 사람들은 서울모터쇼를 가지고 마케팅이 안된다 하는데, 서울모터쇼를 마케팅하기 위해서 참가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모터쇼라고 하는 것은 국민들 소비자들에게 자기 회사가 비전을 어떻게 할 것이다 하는 그 비전을 심어주기 위한 것이지 서울모터쇼에 나오면 마케팅이 얼마만큼 될거고, 그거는 부수적인 것이다.

제가 볼때는 당연히 한국타이어라든지, 금호타이어는 지금 법정관리 들어갔으니 어렵고 하지만 특히 한국타이어는 서울모터쇼에 참가를 해가지고 자기들 비전을 갖다가 국민들에게 보여줘야 안되겠는가. 그래야 국민들도 자라나면서 어린아이부터 시작해가지고 거기에 대한 감각이 있어가지고 앞으로 한국타이어를 갖다 이용하고 하지 않겠나. 그런 뜻에서 말씀 드렸습니다.

한국타이어에서도 다음번 모터쇼부터는 좀 고려를 해보겠다 자기들이 주로 이벤트성만 하다가 보니까 서울모터쇼에 나오지 못했다는데, 아마 잘 되리라 본다.

Q. 슈퍼카, 럭셔리카들은 왜 참가 안할까

A. 고가의 차량들 벤틀리 마세라티라든지 초호화 차량들 업체들 많다. 벤틀리가 참가한다고 했다가 그룹차원에서 논의가 되다가 다음번부터 하든지 지금은 시기가 아니다 해서 빠졌다. 마세라티는 처음으로 들어오기로 했다.

수제차량들 고가차량들이 많지 않잖나. 국내에 굉장히 벤틀리와 페라리 정도가 있는데, 페라리도 계속 합니다. 몇 번 왔다 갔어요. 참가를 할지 말지 조율하느라. 다음번부터는 하지 않겠나하고…

호화차량이 많다. 국산차 중에서 어울림 스피라, 차한대 가격이 4억, 4억8천 하는데 어울림모터스도 참가하기로 했다.

(사석에서 질문이 이어짐)

Q. 지난번은 프레스데이 티켓을 공식적으로 판매하는 일이 있었던 것 같다. 그래선지 고등학생들 젖먹이도 프레스데이에 오더라.

A. 올해는 그런 일 없다. 지난해는 내가 조선일보 기자네. 하면서 내가 사전 등록을 해야 하냐 하면서 막무가내로 들어오고 했다. 올해는 등록을 해야 한다. 지난해는 아줌마가 온다든지 와서 밥만 먹고 가고 그랬다.

Q. 한국 타이어 관련해서 보도자료를 냈잖나.

A. 보도자료를 낸게 아니고, 내가 인터뷰 한걸가지고 거기서 자료를 릴리즈 한거다.

Q. 거기가 어딘가

A. 거기 홍보대행사. 피알글로벌이라고.

Q. 컨펌을 안했는데 대행사가 발송 했다는건가

A. 아니다 내가 컨펌을 했다.

Q. (웃음) 그러니까 그게 그거 아닌가. 굳이 그렇게까지 했어야 하는가.

A. 한국타이어에다 얘기를 했다. 세상에 일본에 가면 미쉐린이나 브릿지스톤 같은 타이어가 당연히 큰 부스를 차지하고 볼펜 같은 것도 브리지스톤 굳이어 프랑스는 미쉐린, 그러니 한국도 있어야지. 몇번 얘기해서 그렇게 한거다.

그것때문에 한국타이어 신기택이가, 타이어 공업협회 신기택 부회장이 전화했더라. 두번이나 했더라. 지금이라도 참가하려면 부스가 있습니까 이렇게 묻는 사람도 있었다. 굳이 누구라고 얘긴 안하겠지만. 다음해부터는 참가하려 할거다.

Q. 너무 모델 위주라는 지적이다. 서울 모델쇼라는 말 들어봤나.

A. 뭘 모르는 기자들이 한번 해외 모터쇼 가보고 외국에는 모델이 없다.. 이렇게 쓰는데, 뭘 몰라서 하는 얘기다. 10년 넘게 해외모터쇼 다녀와봤는데, 해외가 더 한다.

여기 여 기자분도 있어서 말하기 좀 미안한데, 토론토 모터쇼 가면 여자들 웃통 속옷을 다 벗겨가지고 젖꼭지가 그대로 다 보이게 해놓고 그랬다. 원래 그랬는데, 요즘은 유럽이 경제가 어렵고 하니까 모델을 안세우는거다.

모델 안세우면 어떻게 되겠나. 세계 모터쇼라는 것도 관객이 가장 많이 온다고 해서 3대 모터쇼라고 하는데, 일본은 225만이 오다가 이제는 100만도 안온다. 팍! 줄어들어버렸다.

이제 일본 사람들도 후회하고 모델들을 옛날만큼 불러오려 하고 있다. 하지만 내가 보기에 일본 모델들은….일본 모델들은 괜찮은 사람이 없지 않느냐

중국은 쭉 빠진 애들은 많지만은, 얼굴이 그래가지고 어떻게… 그래서 동남아쪽 모델을 수입해서 온다는 얘기도 있다.

모델 없으면 금방 확 죽었으니까….

Q. 그럼 일본은 앞으로 모터쇼 모델들을 많이 쓰나.

A. 우리처럼 액수가 저렴한 모델들이 있는게 아니다.

Q. 그럼 우리는 액수가 얼마나 하나

A. 하루 100만원씩은 한다. 자동차회사에서 4일 교육하는데 10일이니까 14일 계약을 한단 말이야. 그런데 한두명도 아니고. 업체 하나에 80명에서 100명씩 쓰니까 그것만 해도 얼마야.

유럽 사람들이 머리가 좋다. 특히 독일 이런 사람들이. 자기들이 머리를 굴린거야. 자기들도 그래놓고선 이제와서 돈이 많이 드니까 무슨 인포. 인포 안내 비슷하게 했는데, 일본이 그런거 따라가다가 이렇게 된거다.

그건 절대! 동양문화하고 서양문화하고 다르다.

Q. 이미 100만명이 넘고 5대 모터쇼라면서 레이싱 모델까지 더 써서 관람객 수를 더 늘려야 하는 이유는 뭔가. 정말 세계 3대 모터쇼가 되겠다는건가?

A. 한국의 자동차 위상이 세계 5대 자동차 생산국 아닌가. 모터쇼도 3대 모터쇼가 아니라는건 단지 역사가 짧아서다.

제네바모터쇼하고 맨날 싸우는게, 제네바모터쇼는 자기가 5대 모터쇼다 하는데 만날때마다 토론도 많이 했다. 일본이나 미국이나 중국 이런데는 우리 입장을 지지한다.

Q.이미 우리가 제네바를 제치고 5대모터쇼가 됐다는건가.

A. 지금 5대 모터쇼라고 안하나. 제네바는 자기가 5대모터쇼라고 한다.

그래서 토론이 벌어진다. OICA(세계 전시회 토의회)에서. 그 당시만 해도 면적은 비슷했다. 입장객은 우리가 훨씬 많고. 단지 자기들은 역사가 1900년도부터 했다 이거야. 역사가 100년도 넘었는데 너희는 20년도 안되지 않았느냐 한다.

규모나 그런면에서 비슷하다 하면은, 우리는 5대 생산국인데 너희는 수입차만 가지고 하는거 아니냐. 우리는 생산차인데. 그렇게 얘기하면 일본이고 미국이고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아, 네 말이 맞다'고 한다. 유럽 같은 EU국가들 끼리는 역사를 많이 얘기하고 있지만, 세계5대모터쇼는 우리다.

우리와 상하이는 뜰 수 밖에 없다. 시장 따라 움직이니까. 중국은 년간 2000만대가 팔리는 시장 아닌가.

Q. 그러면 5대모터쇼는 어디어디로 보고 있나.

A. 디트로이트 모터쇼는 1년 중 가장 먼저 열리고, 미국이라는 상징적인 것이 있다. 큰 시장에서 열리기 때문에 역사도 있고. 세계 미디어들이 가장 많이 오고 하기 때문에 5대모터쇼가 되고. 그 다음에 프랑크푸르트 모터쇼. 기술하면 독일이니까. 그 다음에 파리.

그 다음은 도쿄. 그리고 우린데. 상하이가 발전하고 도쿄와 프랑스가 아까도 얘기했다시피 주저 앉았기 때문에 바뀌어야 한다. 전시장은 이미 20만 평방미터. 우리가 세계 3위다. 와보시면 아시겠지만 다리가 아플거다.

축구장 15개라고 보시면 된다.

Q. 제네바보다 낫다고 했는데 거기는 월드 프리미어가 100개 정도 나오지 않나.

A. 옛날에 현대차가 한달 앞두고 신차발표를 한번 했는데, 그걸 할 때 나하고 상의를 하려고 왔더라. 신차발표를 한번 하고 모터쇼를 하면 좋을게 아닌가

얘기하더라. 그때는 우리도 처음이니까 아니다 하면서도 진행했는데 그런게 굳어져서 모터쇼에서 월드 프리미어를 발표하지 않더라.

기자들이 자꾸 흔들고 그래야 자기가 뭔가 있는 것처럼 생각하는것 같다. 그래서 자꾸 월드프리미어 얘기하는데, 그렇게 중요한건 아니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