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1월의 도쿄는 서울에 비해 한결 따뜻했다. 쌀쌀한 바람이 불긴 했지만 영상이라 가벼운 차림으로 활동하기 좋았다. 그런데도 도쿄 사람들은 목도리를 꽁꽁 싸맨채 벌벌 떠는 모습이 이색적이었다. 그들이 추위속에 도착한 곳은 마쿠하리메세. 그곳에서 펼쳐진 도쿄오토살롱의 열기는 내리쬐는 여름의 태양보다 뜨거웠다.
도쿄오토살롱은 올해도 일본 최대 전시장 마쿠하리메세에서 열렸다. 도쿄모터쇼가 규모를 축소해 오다이바의 빅사이트에서 열렸던 것과 비교하면 여전히 기세가 등등한 셈이다. 전시장 규모만해도 서울모터쇼가 열리는 킨텍스나 부산모터쇼가 열리는 벡스코에 비해 두세배는 족히 됐다.
사실 한국은 자동차 부품, 모터스포츠, 튜닝용품의 불모지라 할 수 있다. 이들을 전시하는 ‘서울오토살롱’도 아주 작은 전시회로, 일반인이나 언론의 주목을 받지 못하는 점을 감안해 보면 일본인들의 튜닝에 대한 열광은 생소하다.

◆ 일본의 오토살롱, 완성차 업체가 앞장서
일본 튜닝업체들의 분위기는 우리와 사뭇 달랐다. 도요타 가주 레이싱, 닛산 니즈모, 혼다 무겐 등이 메인부스에 자리했고 바디킷, 머플러, 타이어 및 휠, 서스펜션, 오디오, 차량용 필름 및 LED 등 1100여개의 다양한 부품업체가 참가했다.
일본의 자동차 튜닝 시장의 규모는 연간 약 20조원으로 매우 활성화돼있다. 일본의 한 중소 머플러 튜닝업체의 연간 수익만 해도 200억원에 달한다고 했다. 국내서 가장 유명한 튜닝 머플러 업체의 연간 수익이 약 4억원 가량인 것을 감안하면 그 규모가 놀라울 따름이다.

특히, 자동차 제조사가 앞장서 튜닝 산업을 이끌어 가는 점이 고무적이다. 도요타, 닛산, 혼다 등 대표적인 일본의 자동차 제조사는 독자적인 모터스포츠 및 튜닝 브랜드를 갖고 있다.
소비자들이 자신만의 독특한 차량을 갖고 싶어 하는 욕구를 직접 충족시켜주기 위해서다. 소비자들이 다양한 부품을 구매하기 위해 돌아다니는 수고를 덜 수 있고, 튜닝 부품에 대한 애프터서비스까지 손쉽게 받을 수 있다.

반응은 뜨겁다.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튜닝 부품은 차량 개발 초기단계부터 깊이 관여해 완성도가 높다. 또 모터스포츠에서 활약도 중요하다. 이른바 '팬심'이 크게 작용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마치 내가 좋아하는 야구팀의 유니폼이나 모자를 사는 것과 비슷하다.
◆ 중소 업체가 살아남는 법…더욱 새롭고 독특하게
일본은 자동차 제조사가 튜닝 산업 깊숙이 관여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중소업체의 밥그릇이 빼앗기는 일은 드물다. 오히려 일부 분야에서 인지도가 높은 업체는 제조사 튜닝에 비해 높은 인기를 누리기도 한다.
일본 도쿄의 중심가만 가도 우리가 미처 상상하지 못할 패션을 소화하는 젊은이들을 쉽게 볼 수 있는데, 자동차도 마찬가지다.

일본의 중소 튜닝 업체는 제조사에 뒤지지 않기 위해 더욱 새롭고 독특한 튜닝 제품을 내놓는다. 그리고 자동차 제조사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작은 부분까지 고려해 제품을 만든다. 조금 유별난 제품을 만들어도 소비자층이 워낙 넓기 때문에 수요는 끊이지 않는다.

또 하나 자동차 튜닝이 활성화될 수 있었던 요인은 일본 정부가 장기적인 계획과 전폭적인 지원을 했기 때문이다. 관련 법규가 명확하고 인증을 통과한 부품은 누구나 자유롭게 장착이 가능하다.
◆ 잠자고 있는 국내 튜닝 시장
우리나라 소비자들도 자신만의 독특한 차량을 갖고 싶어 하는 마음은 마찬가지다. 단지 차를 꾸미고 부품을 바꾸는 것이 어려웠고 불법이라는 인식이 강해 ‘음지’에서 암암리로 튜닝이 행해져왔을 뿐이다.
국내에서는 불법개조를 막는다는 차원에서 부품 하나를 바꿀 때도 차량의 설계도를 준비하고 환경 및 안전 규제 등 까다로운 검사와 인증을 비롯한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불법은 아니지만 개인이나 중소업체에서도 쉽게 손 댈 수 없는 상황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 튜닝 시장의 잠재력이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합법화를 위한 논의도 계속되고 있지만 이렇다 할 성과는 없다.

정부부처와 경찰, 관련업계 등으로 구성된 튜닝태스크포스(TF)의 지휘를 맡고 있는 대림대 자동차학과 김필수 교수는 지난해 “국토부가 올 상반기(2012년)에 자동차 구조변경제도에 대한 구체적인 틀을 내놓을 수 있을 것”이라며 “19대 국회에서 관련법 개정과 함께 6개월간의 시범 적용 기간을 거치면 2013년 하반기부터는 국내 튜닝산업이 본격화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완성차 업체에서도 튜닝 시장을 염두에 둔 움직임을 보이곤 있다. 현대차는 커스터마이징 브랜드 ‘튜익스’를 론칭했고 르노삼성차도 일부 차종에 한해 전용 바디킷 등을 선보이고 있다. 하지만 그 범위가 좁고 다양성이 적다는 이유로 소비자들에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튜닝 산업 진출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잘라 말했다. 다른 업체의 상황도 마찬가지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는 “국내 튜닝시장은 현재 연간 7천억원 수준이지만 합법화할 경우 연간 3∼5조원 수준으로 성장하고, 연간 고용창출도 5∼6만명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