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으로 하루 40억원을 만든다…람보르기니 공장 가보니

손으로 하루 40억원을 만든다…람보르기니 공장 가보니

발행일 2013-01-25 10:59:44 이탈리아=김상영 기자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A1고속도로를 타고 남쪽으로 달렸다. A1 고속도로는 차가 막히는 법이 없다. 한시간 가량 달렸을까. 볼로냐에 도착했다. 이 곳에 도착한 것만으로도 심장이 두근거린다. 하지만 주변은 온통 밭. 정말 이런 시골에서 전세계 자동차 마니아들이 열광하는 슈퍼카가 만들어진단 말인가.

▲ 람보르기니 공장에 들어서자마자 아벤타도르 LP700-4가 우릴 반겼다. 이런 식으로 배치되는 차는 때마다 바뀐다. 흰색 아벤타도르 뒷편은 람보르기니 박물관.

이탈리아의 한적한 시골 마을. 이곳에 위치한 대형 공장에선 손으로 하루에 40억원의 가치를 생산한다.

▲ 공장도 멋있게 보인다.

람보르기니에 따르면, 지난해 람보르기니는 2011년 대비 30% 증가한 2083대를 판매했다. 이중 플래그십 모델 아벤타도르 LP700-4가 922대, 엔트리(?) 모델인 가야르도는 1161대가 판매됐다.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경기 침체가 계속되고 있지만 슈퍼카를 찾는 고객은 더욱 늘어났다.

▲ 중국인 관광객들은 공장에 와서 차를 사갈 분위기다.

그래서인지 이탈리아 볼로냐 산타아가타에 위치한 람보르기니 공장은 잠시도 쉴 틈이 없다. 전세계에서 밀려오는 주문을 400여명의 작업자가 손수 감당해야하기 때문이다. 끝이 까마득하게 보이는 넓은 공장이지만 개인적인 휴식을 취하거나 시간을 허비하는 작업자는 보이지 않는다. 대부분 차체 속으로 얼굴을 묻고 무언가에 몰두해있다.

▲ 차체 조립이 막 시작된 람보르기니 가야르도. 흰색은 쿠페, 빨간색은 로드스터.

람보르기니 급의 슈퍼카나 고급차가 대개 그렇듯 작업자들은 생산 라인에서 수작업으로 차체를 조립한다. 짧게는 1시간에서 길게는 12시간까지 작업자의 역할은 다양하다. 정해진 시간에 따라 차체가 라인을 이동해야 되는 까닭에 작업자들은 잠시라도 한눈 팔세가 없다. 더욱이 이들이 만들어내는 차는 한치의 오차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고도의 집중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한 라인에서 쿠페, 로드스터, 고성능 모델 등을 모두 함께 만들기 때문에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한다.

▲ 이탈리라 특유의 남성미를 발산하는 작업자. 일도 잘하겠지.

비효율적으로 보일 수도 있는 수작업 공정을 고집하는 이유는 완성도를 높이겠다는 의지도 있지만 고객의 취향을 적극 반영하기 때문이다. 람보르기니 관계자는 “하루에 생산되는 차량 중 똑같은 차는 한대도 없다”면서 “고객의 주문에 따라 차체의 색상, 실내 소재나 가죽 색깔이 천차만별”이라고 설명했다. 한 예로 어떤 고객은 자신의 부인이 하고 있던 립스틱과 동일한 색상을 요구했다고 한다.

공장에는 의외로 여성 작업자들도 많다. 이들은 주로 섬세함이 요구되는 작업을 맡는다. 예를 들어 가죽과 알칸타라를 재단하고 좌석, 대시보드 등에 씌우는 작업장에서는 여성 특유의 꼼꼼함이 빛을 발한다. 하지만 이 작업도 의외로 강한 근력을 요한다. 주름이나 기포가 생기지 않게 치열하게 당기고 꾹 눌러야한다.

▲ 차체 곳곳으로 이어지는 전기선을 작업하는 여성 작업자.

수작업 공정은 의외로 복잡하지 않다. 15개 정도의 공정만 거치면 차가 완성된다. 작업자는 맡은 일만 반복적으로 하면 된다. 단순노동이지만 이들은 세계 최고의 차를 만든다는 열정과 자부심에 가득 차 있다. 능력뿐만 아니라 마음가짐도 장인이다.

람보르기니 차량에는 고가의 부품이 장착되지만 이 공장에서 부품을 직접 만드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는 조립과 최종 테스트만 진행된다. 람보르기니는 최근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 연구소와 공장을 신설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주요 부품은 전문 업체에서 생산을 맡아 이곳으로 배달된다.

▲ 엔진과 변속기가 창작되길 기다리는 가야르도.

이렇게 만들어지는 차는 하루에 총 10대 정도다. 가야르도는 하루 평균 5~6대가 생산되고 아벤타도르 LP700-4는 3~4대가 완성된다. 가격으로 따지면 약 40억원이다.

람보르기니는 요즘 행복한 비명을 지르고 있다. 신차를 출시만 하면 몇년치 예약이 단번에 끝나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에 공개한 아벤타도르 LP700-4 로드스터는 이미 사전계약을 통해 15개월치 주문이 완료됐다. 아벤타도르 쿠페 모델도 내년 주문에 꽉 차 있는 상태다. 아이러니하게도 람보르기니는 세계에서 가장 느리게 차를 만들지만 그 차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

▲ 엔진 장착 후 간단한 테스트도 진행된다. 엔진은 이미 별도의 테스트를 거쳐왔다.

아벤타도르 생산 라인과 탄소섬유 강화플라스틱 연구소도 견학해보고 싶었지만 외부의 출입이 철저히 금지된 까닭에 근처도 가보질 못했다. 공장안에 위치한 람보르기니 박물관도 번개불에 콩 궈먹듯 지나쳤다. 아쉬움이 크지만 아벤타도르 LP700-4 시승을 위해 서둘러 공장을 빠져나와야만 했다.

▲ 주어진 시간이 여유로웠다면 더 자세히 볼텐데...아벤타도르 LP700-4 시승이 공장 견학을 방해했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기아 PV5 출시 임박했나? 얼리체크인 이벤트 실시

기아 PV5 출시 임박했나? 얼리체크인 이벤트 실시

기아는 20일 PV5 얼리체크인 이벤트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PV5는 모빌리티 서비스와 물류, 레저 활동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중형 전기 PBV로 올해 하반기에 국내 출시가 예정됐다. 얼리체크인 고객 중 추첨을 통해 8월 시승권이 제공된다. PV5는 PBV 전용 E-GMP.S(Electric-Global Modular Platform for Service, 개발명 eS) 기반 중형 전기밴이다. PV5는 목적 맞춤형 차량 구조와 첨단 기술로 모빌리티 서비스, 물류, 레저 활동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뒷모습은 미니쿠퍼인데? 르노, 르노4 사바나 공개

뒷모습은 미니쿠퍼인데? 르노, 르노4 사바나 공개

르노는 르노4 사바나(Savane) 콘셉트카를 17일 공개했다. 르노4 사바나 콘셉트카는 튜닝된 서스펜션과 전용 18인치 휠 등 오프로드 주행에 최적화된 것이 특징이다. 특히 르노4 사바나 콘셉트카는 후륜 전기모터가 추가돼 4x4 성능이 구현됐다. 양산은 미정이다. 르노4 사바나 콘셉트카는 르노 차세대 전기차 르노4 E-Tech를 기반으로 한다. 르노4 E-Tech는 1960년대 오리지널 르노4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모델이다. 참고로 국내에는 르노4 E-Tech의 형제 모델인 르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토요타 신형 라브4 공개 임박, 확 바뀐 디자인 '주목'

토요타 신형 라브4 공개 임박, 확 바뀐 디자인 '주목'

토요타는 신형 라브4 티저를 1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라브4는 6세대 풀체인지로 토요타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된 외관, 대형 터치 디스플레이와 디지털 계기판이 탑재된 실내 등이 특징이다. 신형 라브4는 오는 5월 21일 공개되며, 국내 출시도 유력하다. 라브4는 토요타 주력 SUV로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다. 라브4는 국내에서도 꾸준하게 판매되고 있는 만큼 신형 라브4도 국내에 투입될 전망이다. 신형 라브4는 6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오는 5월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