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는 17일,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현대차그룹 인재개발원 마북캠퍼스에서 '투싼 수소연료전지차 미디어 발표회'를 열고, 수소연료전지차 개발의 현대ㆍ기아차 환경기술연구소를 기자단에 공개했다.
수소연료전지차는 수소와 공기중 산소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전류를 가지고 전기모터를 구동하고, 배출되는 가스는 물 외에 배기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다. 전기차와 다른 점은 전기를 충전하여 충전된 전기로 모터를 구동하는 전기차에 비해 항속거리가 길다.

현대차는 자체 기술 개발을 통해 주요 핵심 부품의 95%를 국산화 하였으며, 수소차의 양산성과 정비성을 높여 연료전지시스템을 내연기관 엔진크기 수준으로 소형화하고 모듈화했다.
투싼 수소연료전지차는 독자 개발한 100kW의 연료전지 스택과 100kW 구동 모터, 24kW의 고전압 배터리, 700기압(bar)의 수소저장 탱크를 탑재했고, 영하 20도 이하에서도 시동이 가능하다.

또한, 최고속도 160km/h, 정지상태에서 100km/h에 도달하는 시간은 12.5초로 내연기관 자동차에 견줄 수 있는 가속 및 동력 성능을 갖췄으며, 1회 충전 주행거리는 415km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한번에 갈 수 있는 수준이다. (자체 시험 기준)
아울러, 현대차는 파열 시험, 극한 반복 가압 시험, 화염 시험, 총격 시험, 낙하 시험 등 총 14개 항목의 내압용기(수소저장탱크) 인증을 거치고, 정면, 후방, 측면 충돌 시험 및 고전압, 수소 누출 등 13개 항목의 안전성 인증을 받는 등 신뢰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했다.

유럽에 이미 수소연료전지차 판매를 시작한 현대차는 올해 광주광역시 15대를 시작으로 서울특별시, 충청남도, 울산광역시를 비롯한 지자체 등 국내에 총 40대의 투싼 수소연료전지차를 판매할 예정이며, 2025년까지 총 1만 대 이상의 수소연료전지차를 국내에 보급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현재 1억 5천만원의 가격은 점차적으로 보급 확대 및 기술 개발에 따라 낮아져, 2020년에는 일반인도 구입 가능한 가격으로 대중화가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수소연료전지차의 보급 확대 및 기술 개발에 따라 점차 낮아져 이르면 2020년부터 일반 고객들도 수소연료전지차를 구입할 수 있는 ‘대중화 시대’에 진입해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했다.

2014년 4월 현재 전국에서 11기가 운영 중인 수소충전소는 올해 중 700기압(bar) 충전압력의 충전소 2기가 추가로 건설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2020년까지 10기를 추가 건설하고 오는 2025년까지 수소충전소 200기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아울러 현대차는 수소연료전지차의 정비 및 A/S를 위해 올해 중 서울, 광주, 대전, 울산 등 4개소에 현대차 직영서비스센터 내에 수소연료전지차 전담 작업장을 구축할 예정이며, 2025년까지 이를 전국 23개 센터 및 100개 지정 정비공장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