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버스사고, 지금 당장 적용할 대책은 없나?

대형 버스사고, 지금 당장 적용할 대책은 없나?

발행일 2017-07-11 05:46:35 이한승 기자

지난 주말 양재IC 부근에서 발생한 참혹한 교통사고는 많은 국민들에게 충격을 안겨줬다. 지난해 발생한 봉평터널 사고와 유사한 이번 사고를 통해 다양한 대책이 얘기됐다. 과중한 운전자의 업무강도, 대형차 안전장비의 법제화 미비 등 다양한 원인이 지목됐다.

이같은 원인들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비용이 발생된다. 그 동안 불합리한 수익구조로 고통받았던 기사들에 대한 처우 개선과 대형 인명사고를 줄이기 위한 안전장비 적용은 보여주기식 행정이 아닌 단계적으로 면밀히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

그렇다면 이번 사고와 같은 상습 정체구간에서의 사고를 방지할 수는 없을까? 고속도로에서 갑작스럽게 정체되는 구간은 정해져 있다. 진입하는 차량이 급증하거나 차로가 좁아지는 곳 등 유사한 구간에서 유사한 시간대에 정체는 발생된다.

이번에 양재IC 사고가 발생된 버스는 노선버스다. 자가용과 달리 정해진 코스에서 반복적으로 운행되는 특징이 있다. 갑작스러운 상습 정체구간에 대한 사전교육이 실시되거나 GPS를 기반으로 운전자에게 위험성을 알리는 기능이 있다면 사고 위험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정체구간에서 버스 전용차로의 속도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 양재IC 부근은 상습 정체구역으로 버스전용차선을 제외하면 지체와 정체가 반복된다. 이런 상황에서 버스들은 100km/h의 속도로 정체된 승용차 옆을 질주한다. 대형 사고의 위험성을 항상 안고 있다.

시내버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버스중앙차로제 실시로 버스가 극심한 정체에 시달리는 일은 줄어든 반면, 정류장 근처의 구불대는 좁은 차로를 질주하는 버스는 언제든 정류장을 덮칠 수 있는 위협요소로 존재한다. 이같은 환경은 자동제동장치 적용도 불가한 상황이다.

그 밖에 지정차로제를 엄격히 시행하는 것도 필요하다. 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되는 경부고속도로 일부 구간을 제외하면 버스의 1차로 주행은 근절돼야 한다. 일부 규정을 지키지 않는 버스로 인해 대다수의 선량한 버스 운전자들이 비난받는 일은 없어야 한다.

7월과 8월은 여름휴가가 집중되는 기간이다. 더운 날씨로 인한 졸음운전과 갑작스러운 차량정체가 빈번한 만큼 누구도 이번 사고와 같은 불행한 일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예산 부족과 당장 바꿀 수 없는 것을 고민하기 보다는 지금 바로 시행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포드 신형 익스페디션 국내 출시 임박, 에스컬레이드 정조준

포드 신형 익스페디션 국내 출시 임박, 에스컬레이드 정조준

포드 신형 익스페디션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포드코리아는 최근 신형 익스페디션 인증을 완료, 본격적인 출시 준비에 돌입했다. 신형 익스페디션은 풀체인지 모델로 세련된 외관과 디지털화된 실내 등이 특징이다. 3분기 중 출시될 예정이다. 익스페디션은 포드 풀사이즈 SUV로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쉐보레 타호 등이 대표적인 경쟁 모델이다. 신형 익스페디션은 5세대 풀체인지다. 신형 익스페디션은 국내에 최상위 트림인 플래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토요타 bZ 공개, 505km 주행..라브4급 전기차

토요타 bZ 공개, 505km 주행..라브4급 전기차

토요타는 bZ를 13일(현지시간) 미국에서 공개했다. bZ는 토요타가 유럽에서 판매하고 있는 전기차 bZ4x의 북미 버전이다. 다만 bZ는 bZ4x와 외관 디자인, 사양 등에서 일부 차이가 있으며, 1회 완충시 EPA 기준 최대 505km를 주행할 수 있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bZ는 토요타가 유럽 등 일부 시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bZ4x의 북미 버전이다. bZ는 단순한 리브랜딩이 아니라 스타일과 옵션, 성능 등에서 bZ4x 대비 업그레이드가 이뤄졌다. bZ는 e-TNGA 플랫폼을 기반으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아우디 e-트론 GT 기본형 공개, 타이칸보다 비싸다고?

아우디 e-트론 GT 기본형 공개, 타이칸보다 비싸다고?

아우디는 e-트론 GT 기본형을 13일(현지시간) 공개했다. e-트론 GT 기본형은 듀얼 모터를 탑재해 총 출력 503마력을 발휘하며, 105kWh 배터리로 1회 완충시 WLTP 기준 622km를 주행할 수 있다. 초급속 충전, 스포츠 시트 등이 기본 사양이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e-트론 GT 기본형은 S e-트론 GT, RS e-트론 GT, RS e-트론 GT 퍼포먼스 등 다양한 라인업을 갖춘 e-트론 GT의 엔트리 트림이다. e-트론 GT 기본형 유럽 가격은 10만8900유로(약 1억7200만원)로 S보다 대폭 저렴해졌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