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아는 EV9을 29일 공개했다. EV9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기반으로 3열 시트가 포함된 대형 SUV다. EV9은 1회 완충시 WLTP 기준 최대 541km를 주행할 수 있으며, 옵션 구독이 가능한 기아 커넥트 스토어, 레벨3 자율주행 등이 적용됐다. EV9 신기술을 살펴봤다.


기아는 EV9을 구매한 이후에도 고객이 원하는 기능에 대한 적용 시점 및 사용 기간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기아 커넥트 스토어를 운영한다. EV9 전용 기아 커넥트 스토어 상품은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2, 디지털 패턴 라이팅 그릴, 스트리밍 플러스 등으로 구성됐다.


특히 EV9 사륜구동 모델은 ‘부스트’ 옵션을 구독할 수 있는데, 일반 사륜구동과 비교해 최대토크가 10.2kgm 증가한다. 합산 총 출력 385마력, 최대토크 71.4kgm의 성능으로 정지상태에서 100km/h까지 5.3초만에 가속한다. 스마트폰 마이 기아 어플에서도 구독이 가능하다.


기아는 향후 더 많은 기능을 개발해 구독 옵션으로 추가할 계획이다. EV9 GT-라인에는 레벨3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인 HDP가 탑재된다. 고속도로 및 자동차 전용도로 본선 주행시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잡지 않아도 차로 등을 유지하며 최대 80km/h의 속도로 주행한다.


HDP는 2개의 라이다(Lidar)를 포함한 총 15개의 센서와 정밀지도, 통합 제어기 등으로 구동된다. 전방 차량 및 끼어드는 차량을 판단, 안전거리를 유지한다. 또한 도로 환경에 맞춰 도로 제한 속도가 변화하는 구간 또는 곡선 도로에서 상황에 맞게 스스로 속도를 조절한다.


EV9의 소프트웨어 무선 업데이트(OTA)는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는 물론 차량 제어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됐다. EV9에는 기아 최초로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ccNC가 탑재됐다. EV 모드, 퀵 컨트롤, e-하이패스, 통합 검색 기능 등 고객 친화적인 사용 환경을 제공한다.


EV9 후륜 전기모터에는 멀티 인버터를 적용, 주행 상황에 맞게 출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2-스테이지 모터 시스템’이 포함됐다. 일상적인 주행에서는 하나의 인버터, 최대 출력 필요시 두 개의 인버터를 사용한다. 다이나믹 토크 백터링(eDTVC), 횡풍 안정 제어를 지원한다.


EV9은 초고장력 핫스탬핑 부품 확대와 승객실을 구성하는 주요 차체를 최적화해 우수한 차체 강도와 비틀림 강성을 확보했다. 실제 충돌 상황을 고려한 B필러 하단부 신규 연결 구조를 세계 최초로 사용, 측면 충돌시 승객실 변형을 최소화했다. 배터리 부위 보호가 강화됐다.


이외에도 EV9에는 벤치 시트와 기본형, 릴랙션형, 스위블형 2인승 독립 시트 등 다양한 2열 시트 옵션과 오토 플러시 아웃사이드 핸들, 디지털 사이드 미러, 디지털 센터 미러, 메리디안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 빌트인캠2, 디지털키2, 후석 독립 공조 시스템 등이 탑재됐다.


한편, EV9의 사전계약은 올해 2분기 중 시작된다. EV9은 99.8kWh 용량의 배터리로 1회 완충시 WLTP 기준 최대 541km를 주행할 수 있다. 후륜구동과 사륜구동, 6인승과 7인승으로 운영된다. EV9 실차는 이달 31일부터 진행되는 2023 서울모빌리티쇼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