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세계가 100% 전동화되는 것은 옳은 길이다. 하지만 전환 전략이 중요하다" 르노 브랜드 CEO, 패브리스 캄볼리브는 지난 14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포르트 드 베르사유에서 열린 '파리모터쇼 2024' 르노 부스에서 한국자동차전문기자협회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캄볼리브 CEO는 르노의 전동화 전략과 관련해 "두 개의 다리로 서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며 "하나의 다리는 E-Tech 하이브리드, 나머지는 전기차로 B-세그먼트와 C-세그먼트 전동화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B-세그먼트는 르노 클리오급, C-세그먼트는 르노 메간급 모델이다.

르노그룹은 이같은 전략을 통해 유럽에서 순수전기차 1위 업체가 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르노에게 '전동화는 기회'라는 의견도 피력했다. 특히 한국시장에 대한 애정을 숨기지 않았다. 한국은 전동화 전략 중 한 가지(E-Tech 하이브리드)를 매우 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르노코리아 사례를 통해 어려운 시장을 어떻게 이겨나가는지 배울 점이 많다고 밝혔다. 캄볼리브 CEO는 지난 2019년 르노그룹 AMI태평양지역본부 회장을 맡아 한국시장을 관리했고, 르노코리아 쿠페형 SUV, XM3(아르카나)의 한국내 출시를 주도한 인물로 알려졌다.

캄볼리브 CEO는 "한국은 르노에 굉장히 중요한 시장이다. 한국이 체결한 FTA 활용안이 관심사"라며, "내년 순수전기차 세닉을 한국에 출시하는데, 세닉을 통해 전기차 시장 둔화와 상관없이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캄볼리브 CEO는 "한국 방문시 느낀 점은 프랑스에 대한 이미지가 한국의 감성적인 부분에 굉장히 좋게 자리잡고 있다"며, "우리(르노)에게 그것이 기회라고 하면, 한국 고객들에게 프랑스 생산차와 한국 생산차를 동시에 보일 수 있는 것이 강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캄볼리브 CEO는 지난 1992년 르노에 입사했다. 이후 30여년간 영업과 마케팅에서 경력을 쌓았다. 2015년부터는 르노 브라질 CEO에 올랐고, 이후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아프리카-중동-인도-태평향 지역 수석부사장을 지냈다. 지난해 2월 르노 브랜드 CEO를 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