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 블라블라] 수입차가 국산차보다 좋은 점은?

[수입차 블라블라] 수입차가 국산차보다 좋은 점은?

발행일 2011-09-15 13:38:23 문동훈 칼럼리스트

수입차는 많이 팔려야 점유율 5%라고 하던 때가 있었다. 그런데 최근 2년 사이 3~4천만원 대 엔트리급 수입차들의 판매량이 급격히 늘어나면서 점유율 10%에 다가서고 있다. 2천만원대의 수입차들도 다양해져 수입차 판매량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 국산차의 가격은 계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요즘엔 국산 중형차를 살 돈으로 소형 수입차나 중고수입차를 구입하는 소비자들도 늘고 있다. 필자가 운영하는 엠플러스에도 부쩍 중고수입차를 찾는 고객이 많아졌다.

국내에서 점유율이 가장 높은 현대기아차는 세계적으로도 손에 꼽는 차 메이커인데 왜 우리들은 수입차에 열광할까. 필자도 수입차를 타고 있고, 일 때문에도 매일 다른 수입차를 타지만 가끔 신형 국산차를 타보면 깜짝 놀라곤 한다. 부드럽고, 편하다. 가격을 생각하면 옵션도 놀랍다. 그런데 왜 많은 사람들이 수입차를 동경하고 원할까?

▲ 짚 랭글러는 멋지다고, 돈 있다고 살 수 있는 차가 아니다.

◆ 수입차에 대한 환상은 버려라

‘수입차는 좋을 것이다’, ‘비싼 값을 할 것이다’, ‘수입차는 멋지다’ 등의 막연한 환상을 품고 수입차를 구입하면 후회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제대로 타보지도 않고 디자인과 브랜드, 가격만으로 차를 골랐다면 더욱 그렇다. 누가 뭐래도 국내에선 수입차가 국산차보다 불편한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본 칼럼에서 계속 다루고 있는 유지비는 그렇다 치고 애프터서비스 받는 것만 생각해도 그렇다. 지방에서도 쉽게 찾을 수 있을 정도로 전국적인 서비스망을 갖추고 있는 국산차와 달리 수입차는 수도권이나 광역시 정도가 아니면 서비스 센터를 찾아보기 어렵다. 서비스 센터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벤츠와 BMW조차도 1주일 전 미리 예약하지 않으면 서비스를 받기 어렵다.

▲ 국산차보다 좋은 신차 품질을 보여주는 것은 대체로 일본차 정도다. 독일차의 신차 품질은 사실 기대만큼은 아니다.

매년 발표되는 미국의 JD파워의 신차품질조사 결과를 보면 독일차 중 포르쉐나 벤츠 정도가 렉서스와 함께 항상 상위권에 있을 뿐 기타 브랜드들은 현대기아차보다 나을 것이 없다. 실제로 국내에서도 BMW나 아우디, 폭스바겐, 재규어, 랜드로버 등 유럽 브랜드의 차량들의 신차 품질은 국산차보다 낫다고 볼 수 없다. 또, 국산차보다 가격대비 옵션이 좋은 수입차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하지만 성능을 따져보면 수입차가 앞서는 부분이 많다. 단순 출력이 아니라 종합적인 주행성능으로 본다면 말이다. 핸들링, 서스펜션과 브레이크 시스템의 안전성, 차체 강성, 미션의 직결감 등 성능과 연관된 여러 가지 항목에서 대다수의 수입차들은 국산차보다 분명 한 수 위다. 다만, 여기에도 문제는 있다. 가격! 차의 성능은 대체로 가격에 비례한다.

◆ 수입차의 좋은 점은 무엇일까?

국내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현대차의 라인업을 살펴보면 차종은 많지만 운전하는 감각이나 승차감은 다 비슷하다.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차량이 없다. 부드럽고, 나긋나긋하고, 편안하다. 하지만 운전 재미는 떨어진다.

수입차가 국산차에 비해 부각될 수 있는 부분은 다양성이다. 가격이 많이 낮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국산차에 비싸고 관리하기 불편한 이 수입차들은 국산차에는 없는 다양성을 가져다준다.

승차감은 딱딱하고 스티어링 휠은 무겁기 그지없는데 운전을 하기 시작하면 왠지 즐거워지고 연비까지 국산차보다 우수하다. 남이 뭘 타든 아무 신경 쓰지 않게 만드는 마법의 삼각별이 새겨진 차. 국내에선 출시도 되지 않는 4륜구동 시스템과 터보엔진이 장착된 차. 전 차종이 모두 SUV이고 전 세계의 스포츠맨들과 셀러브리티들이 열광하는 차. 1세대부터 6세대까지 내려온 전통을 가진 차. 디테일은 좀 떨어져도 안전성 하나만큼은 최고인 차. 수식어 필요 없이 그저 짚차라고 하면 아는 그 차. 등등.

▲ 수입차들을 보면 브랜드별로 개성이 뚜렷하다.

수입차는 모두 서로 다른 로고와 브랜드처럼 각각의 개성을 가지고 있다. 이미지가 있다.

때문에 시승이 중요하다. 사기 전에 골고루 타봐야 한다. 차가 주는 느낌을 알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타기 전에 나와 내 라이프스타일을 알아야 한다. 그래서 나에게 맞는 차를 고를 수 있어야 한다.

수입차에 대한 막연한 기대와 환상은 버리자. 수입차를 국산차보다 더 많은 돈을 들여 사서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가면서 관리하고, 때로 불편한 시선을 감수하면서도 만족스럽게 탈 수 있는 것은 그 차와 나의 개성 때문이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