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아이폰이 차와 결합?, BMW 고의적자 냈나?

[Q&A] 아이폰이 차와 결합?, BMW 고의적자 냈나?

발행일 2013-06-13 07:05:08 김한용 기자
Q. 애플 아이폰 OS가 자동차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구요.
 
A. 네,우리시간으로 11일 새벽 2시에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애플의 새로운 제품에 대한 소개자리가 있었구요. 인터넷 등을 통해서 생방송을 볼 수 있었지요. 내년에는 자동차 회사들이 애플 아이폰 연동 기능을 적극적으로 차에 도입해서 장차는 매년 2300만대 가량이 아이폰에 새로 연결될 수 있을거라고 합니다.
 
Q. 그래요? 내년이라니 생각보다 금방 시작되네요.
 
네, 그동안 자동차 회사들이 이를 위해서 애플과 함께 여러 작업을 해와서 완성 됐고 내년에는 실제로 적용 된다고 하네요. GM이나 인피니티, 볼보, 닛산 등이 참여하고 있구요. 여기에 현대기아차가 들어있어서 우리나라 팬들도 좀 놀랐다고 합니다.
 
Q. 어떤 기능을 하게 되나요?
 
이 시스템은 아이폰을 가지고 차에 타면 무선으로 연결되고 스마트폰의 여러 기능을 차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반대로 차의 여러 기능도 스마트폰을 통해 사용할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자동차전용앱을 스마트폰에 깔아서 차를 발전시켜 나간다는거죠.
 
예를 들면 운전자 여러분들이 자동차 순정 내비게이션은 불만이 많잖아요. 아무리 새것이라도 몇년 지나면 구닥다리가 되고, 기능도 불편하구요. 그런데 아이폰 내비게이션을 차와 연결하면 항상 최신 내비게이션 기술을 활용할 수 있게 되고, 원하지 않으면 앱스토어에서 다른걸로 쉽게 바꿀수도 있다는 점이 장점이죠.
 
아이폰은 시리라는 음성인식 기능도 있는데, 이걸 이용하면 문자 송수신하거나 정보를 말로 주고 받는 아이폰 기능은 물론이고,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이나 공조장치 같은걸 모두 말로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는겁니다.
 
Q. 다른 얘기로 넘어가서, 독일 수입차 업체가 탈세 혐의로 세무조사를 받고 있다는 기사가 나왔네요?
 
A. 네, 11일 국세청은 BMW코리아의 김효준 사장을 소환해서 조사를 했다고 합니다. 뭐 그럴만도 합니다. 요즘 뉴스보면 해외 조세피난처를 이용해서 세금 줄여서 냈다, 이런 얘기 많이 나오는데, BMW는 지난해 적자가 나서 법인세를 아예 한푼도 안냈거든요.
 
Q. BMW라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판매를 하고 있는 수입차 회사 아닌가요? 그런데 적자가 났다니 이상하네요.
 
네 지난해 BMW는 국내서3만대 가까운 고급차를 팔면서 1조7000억 넘는 매출을 올렸거든요. 이 정도면 르노삼성이나 쌍용차보다 훨씬 많이 판거죠. 엄청나게 판매가 늘어난겁니다.
 
이보다 훨씬 못했던 재작년에도 흑자가 나서 160억원의 세금을 냈는데요. 이보다 훨씬 많이 팔았는데도 적자가 무려 101억원이나 났다고 해서 법인세를 면제받았습니다. 이상하게 세금을 안내니까 상당수 언론이 이상하다고 보도했고, 국세청도 조사에 나설 수 밖에 없었던거지요.
 
Q. 그러면 어째서 그렇게 적자가 난걸까요?
 
BMW 코리아 김효준 대표는 "장사는 잘 해놓고 환헤지(환율변동에 대한 대비책) 때문에 적자가 났다"고 주장합니다. 공시 자료를 살펴보면 그게 맞긴 합니다. 환율에 대응하기 위해서 지난해 유럽 화폐인 유로화를 1600억원 넘게 샀는데 이게 큰폭으로 떨어지면서 적자라는겁니다.
 
Q. 환율 변동이라는건 미리 예측할 수 없는거니까 김효준 사장이 억울한면은 있겠네요.
 
아뇨. 재작년부터 그리스 금융위기다 이렇게 시작해서 이탈리아 스페인까지 어려움을 겪었거든요. 유럽 전체가 망한다 해서 유로가 큰 폭으로 떨어지는게 불보듯 뻔한 시점이었는데 굳이 이 시점에 유로화를 1600억원이나 사들였고 유로가 계속 떨어져서 600억이 사라지는 상황에서 연말까지 그대로 갖고 있었다는건 좀 이상하죠.
 
Q. 손해가 분명한데 왜 그렇게 위험한 환율변동 회피를 했을까요?
 
한국 입장에서는 손실이 확실했지만 사실 BMW 본사 입장에서 보면 상황이 반대입니다. 유로가 떨어질게 분명한데, 잘나가는 해외 법인에서 돈을 거둬들이고 현금으로 들고 있는 유로를 내보내야만 손해가 줄어들잖아요. 다시 말해서 환헤지(환율변동 대비)를 한건 BMW코리아 한국법인이 아니고 BMW 본사인겁니다. 거액의 돈도 합법적으로 송금을 받을 수 있었던거구요.
 
Q. 좀 어렵네요. 그러니까 쉽게 말하면 한국서 번 돈을 독일 BMW 본사로 보냈다는거죠?
 
네, 직접 송금을 한건 아니지만 환헤지를 빌미로 BMW 본사가 가진 돈을 직간접적으로 사온게 아니냐, 이렇게 업계 관계자들은 보고 있습니다. 국내서 법인세를 내지 않는 효과도 있는데다, 오너가문이 대주주로 있는 BMW 본사로 송금을 해야 할 필요도 있었을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Q. 업체 반응은 어떤가요?
 
BMW코리아 관계자는 당연히 부인했습니다. 이번 기사는 사실이 아니라고 하구요. 잘 모르지만 정기적인 세무조사일거다 뭐 그렇게 얘기 하네요. 그러나 국세청은 BMW코리아가 독일 본사로부터 차를 들여오면서 사오는 가격, 이전가격이라고 하는데요. 이를 통한 조세회피 등에 대해 중점적으로 조사중이라고 합니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도 이번 조사에 아주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이 업체도 1조2천억원을 팔았는데 순이익은 299억원, 그러니까 차 팔아서 수익이 2.5% 밖에 안된다는 얘기니까 적어도 너~무 적어서 마찬가지로 이전가격을 조작한게 아닌가 얘기도 나옵니다.
 
Q. 결과는 어떻게 될까요?
 
BMW가 혐의가 인정되면 타 수입차 업체들도 힘든 상황을 겪게 될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수입차업체를 압박하는걸로 비춰지면 통상마찰을 가져올 수 있어서 쉽게 제재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지요. BMW가 우리나라에선 연간 3만대 팔았지만 현대기아차는 유럽에 연간 60만대를 팔고 있으니까요. 이런 법적인 부분과 관계 없이 수입차 회사들이 인기를 끄는 만큼 세금도 많이 내고, 우리 사회에도 도움이 되고 그러면 좋을텐데, 너무 눈앞의 이익에만 연연하는것 같아서 좀 아쉽습니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