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de F1] 다이아몬드를 팔아 돈을 버는 방법!

[inside F1] 다이아몬드를 팔아 돈을 버는 방법!

발행일 2013-10-16 14:08:52 윤재수 칼럼리스트
1g에 수천 만원을 호가하는 다이아몬드는 냉정하게 얘기해서 단순 사치품이다. 하지만, 적지 않은 사람들이 다이아몬드를 갖고 싶어하고, 결혼 예물처럼 소중한 순간을 위한 선물로도 애용된다. 덕분에 보석 사업가들은 다이아몬드와 관련 상품들을 팔아 큰 돈을 벌기도 한다. 물론 모든 사업이 그렇듯 물건을 준비해 시장에 내놓는다고 해서 모두 돈을 벌 수 있는 건 아니다. 때로는 사업에 성공해 금고에 돈이 넘쳐나게 만들 수도 있지만, 때로는 사업에 실패해 빚더미에 오를 수도 있다. 사업에 성공하는 왕도나 절대 망하지 않는 비법 같은 것이 존재하진 않겠지만 한가지 분명한 것은 ‘물건에 맞는 적절한 방법’을 택하지 않는다면 사업에 성공할 확률은 매우 낮다는 점이다.
 
▲ [지중해의 ‘보석’ 모나코에서 펼쳐지는 F1 모나코 그랑프리]
사업에 성공하려면 많은 이윤을 내야 한다. 이윤을 내려면 ‘비용을 줄이거나’ ‘매출을 늘려야’ 한다. 조금 과도하게 단순화한 얘기일 수도 있지만 비용 절감이나 매출 증대 중 한가지에 성공하지 못한다면 빚만 늘게 될 것이란 것은 분명하다. 그리고, 사업의 종류나 파는 물건의 성격 따라 어느 쪽에 비중을 더 많이 두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는 서로 다른 대답이 나올 수 있다. 1g짜리 종이컵을 만들어 파는 것과 1g짜리 다이아몬드를 파는 방법은 분명히 달라야 한다. 종이컵 사업에 성공하려면 우선적으로 비용을 절감해 저렴한 가격을 책정하고 많은 판로를 개척하는 것이 우선일 수 있다. 하지만, 다이아몬드를 파는 경우라 면 종이컵을 팔 때와 같은 생각으로는 절대 사업에 성공할 수 없다.
 
다이아몬드를 팔려고 생각한다면 얼마나 ‘있어 보이는’ 브랜드를 만들고 매장을 가능한 화려하게 꾸며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숫자가 많지는 않더라도 구매력이 있는 부유층이나 유명 인사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노력할지도 모른다. 브랜드가 알려지고 수익이 날 때까지 몇 년 이상의 시간이 걸릴지 모르지만, 기초 투자에 허리가 휘더라도 일단 다이아몬드를 많이 팔고 싶다면 모든 것이 보다 고급스럽게 보이도록 포장하는데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한다. 사업을 시작하자마자 적자가 누적 된다고 허리띠를 졸라매는 것은 그냥 망하고 싶다는 이야기 밖에 되지 않는다. 그렇게 투자와 노력을 계속해 간다면 몇 년 뒤부터는 구매력이 없는 사람들조차 우러러보는 유명 명품 브랜드가 될지도 모른다.
 
 
▲ [막대한 투자로 대회를 정착시킨 F1 싱가포르 그랑프리]
F1은 ‘모터스포츠의 정점’으로 불리는 것은 물론, 자본주의의 사치스러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상품 중 하나다. 그리고, F1 그랑프리의 성공과 실패는 다이아몬드를 파는 보석 브랜드 사업과 여러모로 닮아 있다. 어떻게든 비싸 보일 것, 어떻게든 고급스럽게 보일 것, 어떻게든 사람들의 동경을 사는 이미지를 만들 것. 성공한 F1 그랑프리들은 모두 같은 길을 걸었고, 무엇보다 F1 자체가 그런 식으로 성장해 왔다. 막대한 투자가 성공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성공을 확인하기 전에 투자를 줄이고 비용 절감에 나선 그랑프리와 팀은 예외 없이 모두 막대한 빚더미에 오르는 실패를 맛봤다.
 
최근 몇 년간 F1 그랑프리를 개최하기 시작한 도시들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2008 년부터 그랑프리를 개최한 싱가포르의 자국 관중 동원 능력은 우리나라와 비교해 나을 게 없고, 관중석 규모는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의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티켓 가격이 두 배라도 기대할 수 있는 매출 규모는 다르지 않다는 뜻이다. 하지만 싱가포르 그랑프리는 F1에서도 유례가 없는 가장 화려한 축제를 만들기 위해 막대한 투자를 감행했고, 나이트 레이스를 위해 투입된 장비에도 엄청난 비용이 들었다. 무료 관람이 가능한 주변의 축제는 세계 최고 수준의 쇼를 일주일 내내 준비했다. 그리고, 대회 자체의 적자 여부를 떠나서 싱가포르 그랑프리는 최근 가장 성공한 F1 그랑프리 중 하나로 꼽히게 됐다.
  
▲ [사막 한 가운데서 대회를 개최하는 F1 아부다비 그랑프리]
2009년 처음 개최된 아부다비 그랑프리의 경우도 싱가포르와는 경우가 다르지만 크게 성공 한 케이스로 꼽힌다. 야스마리나 서킷은 사막 한 가운데 외딴 지역의 인공 섬에 만들어졌다. 서킷 주변에는 처음 F1 그랑프리를 개최할 당시에는 완공되지도 않았던 테마파크와 서킷 가운데 위치한 고급 호텔 하나, 그리고 요트와 유람선이 정박할 수 있는 부두가 있는 것이 전부다. 관람객이나 관계자들이 서킷을 벗어나면 아예 할 수 있는 것이 없고, 인근 대 도시로 나가려면 아무 것도 없는 사막을 지나 30분 동안 이동해야 한다. 하지만 아부다비 는 ‘가장 비싼 F1 그랑프리’의 이미지를 만들며 모든 것이 화려해 보이기 위한 투자를 아끼지 않았고, 덕분에 모나코, 싱가포르와 함께 F1의 가장 사치스러운 개최지로 자리잡았다. 아부다비 역시 관중석 규모는 8만 석에 불과하다.
 
반면, 2011년부터 F1 그랑프리를 유치한 인도의 경우는 사기업이 주도했지만 크게 실패한 경우로 손꼽힌다. 인도의 수도 뉴델리 인근에 서킷이 위치했지만 인도 그랑프리의 이미지 는 고급스러움과는 너무 거리가 멀었다. 그랑프리에 볼리우드의 대 스타와 유명 스포츠 스타를 부르고, 메탈리카가 그랑프리를 기념하는 공연을 준비하기도 했지만 결과적으로 흥행에 큰 도움은 되지 못했다. 인도에 상당한 F1 팬 층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이아몬드 와 같은 고급스런 이미지를 만들지 못한 인도 그랑프리는 2014년 일단 캘린더에서 빠지게 됐다. 2015년 인도 그랑프리가 F1 캘린더에 복귀할지 장담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비싸 보이는’ 이미지를 구현한 서킷 오브 아메리카]
지난해 가을 텍사스 오스틴에 문을 연 서킷 오브 아메리카에서 대회를 개최한 F1 미국 그랑프리 역시 비교적 성공적으로 첫 대회를 마무리했다. 서킷 건설 근로자에게 임금을 지급 하지 못해 건설이 몇 달 동안 중단되고 지역 의회의 승인이 거절되는 등 여러 가지 어려움 이 있었지만, 서킷 오브 아메리카는 겉보기에 화려한 서킷을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 서킷의 랜드마크로 기획된 77m의 관람탑이 아름답게 디자인 됐고, 트랙 주변의 모든 것들이 최대한 ‘비싸 보이도록’ 디자인 됐다. TV 화면에 스쳐 지나가기만 해도 세계의 모든 시청자 들이 알 수 있는 유명인들이 대거 그랑프리를 찾았고, 대회는 여러 가지 우려를 불식시키면 서 성공적으로 치러질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0년부터 F1 그랑프리가 개최되고 있고, 여기저기서 적자에 대한 논란 과 적자 폭을 줄여야 한다는 압력이 있다. 분명히 우리나라만의 사정이 있고 F1 코리아 그랑프리만의 독특한 상황이 있기 때문에 쉽게 정답을 찾는 어렵다. 하지만, 한가지 분명한 것은 F1 그랑프리라는 사업은 종이컵을 파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보석 매장의 조명을 끄고 진열대를 줄이고 장식을 없애 비용을 절감하는 것으로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홍보에도 실패하고 고급스런 이미지도 만들지 못했던 인도 그랑프리보다 코리아 그랑프리는 더 적은 홍보와 ‘비싸 보이는’ 이미지를 만드는 투자 부족이 두드러졌다. 어떻게 문제를 개선해야 하는지는 분명하다. 한 두 가지 생색내기 식 투자가 아니라 전방위적으로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전략적인 투자가 크게 확대하고, 값비싼 스포츠 상품을 명품 애호가들에게 판매하기 위한 모든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
 
F1은 생활필수품을 파는 장사가 아니라 사치품이자 기호품을 파는 장사다. 그것도 세계에 서 가장 비싼 사치품 중 하나다. 그리고 F1 그랑프리 사업은 1,000만 명에게 1만원짜리 물건을 파는 사업이 아니라, 1만 명에게 1,000만원짜리 물건을 파는 사업이다. 우리 사정 에 따라 다이아몬드가 종이컵으로 바뀌지는 않는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