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de F1] 세나의 죽음이 남긴 것

[inside F1] 세나의 죽음이 남긴 것

발행일 2014-04-29 21:04:38 윤재수 칼럼리스트
1994년 5월 1일 일요일 브라질 출신의 F1 드라이버 한 명이 이탈리아의 이몰라에서 사고로 숨을 거뒀다. 그의 이름은 아일톤 세나. 아직까지 많은 팬들이 최고의 드라이버 중 한
명으로 여기는 것은 물론, F1 역사상 가장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던 드라이버이기도 하다. 영원히 전설로 기억될 세나는 안타깝게도 서른 넷의 젊은 나이에 유명을 달리했고, 기록 영상과 다큐멘터리가 아니면 다시는 그를 만날 방법은 없다.
 
이번 주 목요일은 아일톤 세나의 20주기가 되는 날이다.
따지고 보면 F1 드라이버 중 목숨을 잃은 것이 세나 한 명만은 아니다. 세나의 사고 전날 롤란드 라첸버거가 사망했다. F1 챔피언십 그랑프리의 공식 세션에서 사망한 드라이버만 해도 세나 이전까지 서른 한 명이나 된다. 다른 레이스 이벤트나 테스트 주행에서의 사망까지 계산에 넣는다면 숫자는 더 크게 늘어난다. 한 때 모터스포츠에서 사망 사고는 그리 놀라운 뉴스가 아닌 것처럼 여겨지기도 했고, F1에서는 문제가 더 심각했다.
 
그런데 왜 세나의 죽음만은 그렇게 특별하게 여겨지는 것일까?
 
▲ 1994년 5월 1일 파손된 세나의 윌리암스 FW16
 
일단 단편적으로 보면 아일톤 세나의 성적과 높은 인기만 생각하더라도 그의 사망 소식은 큰 충격일 수 밖에 없었다. 당시 이미 세 차례나 월드 챔피언 타이틀을 차지한 세나보다 앞선 성적을 기록한 드라이버는 라이벌로 여겨졌던 알랑 프로스트 단 한 명뿐이었다. 폴 포지션으로만 따지면 프로스트보다 세나의 기록이 더 앞서 있었고, 프로스트가 세나보다 다섯 살이나 많았다.
 
세나의 높은 인기도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세나의 고국인 브라질, 마치 세나를 자국 출신 드라이버처럼 사랑했던 일본을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세나의 인기는 하늘을 찔렀다. 세나와 프로스트의 갈등이 최고조에 달한 1980년대 말은 마침 F1이 TV 중계를 통해 전 세계의 안방에 널리 중계되던 시절이었다. 세나와 프로스트는 F1의 인기를 끌어올린 두 기둥이었고, 덕분에 세계인들의 사랑을 나눠가지며 절대적인 인기를 누렸다.
 
그렇게 뛰어난 성적을 거뒀던, 누구보다 많은 인기를 누렸던 세나의 사망 소식에 사람들은 망연자실할 수 밖에 없었다. 세나의 사망 소식을 생방송으로 전해야 했던 수많은 방송 관계자들은 탄식했고 카메라 앞에서 눈물을 보이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국장을 치른 브라질뿐 아니라 전 세계의 모든 팬들이 비통함에 빠져들었다. 동료 드라이버들과 F1 관계자들까지 큰 충격을 받았고 많은 이들이 은퇴를 심각하게 고려할 수 밖에 없었다.
 
▲ 아일톤 세나와 담소를 나누는 시드 왓킨스 교수
 
하지만 아일톤 세나의 사망에 누구보다 큰 충격을 받은 사람 중 하나는 시드 왓킨스 교수였을 것이다. 1970년대 말부터 F1 닥터로 활동하던 왓킨스 교수는 모든 F1 드라이버들의 사고 수습과 건강상태 점검을 책임지고 있었고, 세나와는 업무상의 관계를 뛰어넘는 친구처럼 지내고 있었다. 그런 왓킨스 교수가 사고 직후 세나의 사고 현장에 달려가 응급 조치를 하고 결과적으로 그의 죽음을 눈 앞에서 맞이하게 됐을 때 받았을 충격은 쉽게 헤아리기 어렵다.
 
세나가 사고로 사망하기 전날 “뭘 또 더 하려고 하나? 챔피언도 세 차례나 차지했고, 분명히 가장 빠른 드라이버라는 것도 증명했는데. 다 때려치우고 낚시나 하러 가자”고 이야기했다는 일화로 유명했던 것이 바로 왓킨스 교수다. 안타깝게도 아꼈던 젊은 친구의 가는 길을 배웅해줘야 했던 66세의 뇌신경의는 슬픔에 빠져 일손을 놓는 대신, 그의 죽음을 헛되게 하지 않을 방법을 찾았다. 두 명의 강력한 조력자가 왓킨스와 뜻을 같이 했다.
 
한 명은 바로 몇 달 전 FIA를 이끌기 시작한 맥스 모슬리였고, 또 한 명은 자신이 매니저로 있던 챔피언 요헨 린트의 죽음을 지켜본 버니 애클스톤이었다. 오래 전부터 F1의 안전 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던 두 사람은 세나의 사고를 계기로 본격적인 실천에 나설 수 있었다. 왓킨스 교수를 설득해 F1 닥터로 만들었던 애클스톤은 FIA의 F1 안전 강화의 조력자가 되었고, 맥스 모슬리는 왓킨스 교수에게 전권을 맞기면서 F1의 모든 안전 기준을 바닥부터 모두 점검해 근본적으로 뜯어고칠 수 있도록 했다.
 
▲ 호켄하임링에서 짐 클라크를 죽음으로 몰고 간 사고 현장
 
생각 있는 많은 사람들이 뜻을 같이했음에도 불구하고 F1의 안전 문제가 개선되지 않은
것은 반대하는 사람이 더 많았기 때문이다. 당장 대부분의 팬들이 ‘무조건 더 빠른 레이스카’를 원했고, ‘속도를 제한하고 안전 기준을 제시하는 것은 겁쟁이들의 생각’이라고 여기는 드라이버도 적지 않았다. 모터스포츠의 절대 다수가 안전 문제가 있더라도 더 빠르기를 원했다. 이미 1960년대 말부터 문제가 제기되었고, 모두가 위험한 줄은 알았지만 대안은 없는 것처럼 보였다.
 
이미 1968년 세나의 경우와 비슷한 충격을 준 사고는 있었다. 당시까지, 혹은 지금까지도 최고의 드라이버로 손꼽히는 짐 클라크가 스폰서를 위해 나섰던 F2 레이스에서 사망했다.
 
대부분의 F1 팬들과 드라이버들이 패닉에 빠질만한 일이었다. 더블 챔피언에 압도적인 기록들, 많은 인기를 가진 드라이버가 한창 때 죽음을 맞이한 사건은 여러모로 세나의 사고와 닮았다.
 
하지만 세나의 사고가 클라크의 사고와 결정적으로 달랐던 부분은 바로 ‘TV 생중계’였다.
호켄하임링에 F2 레이스를 보러 간 사람이 아니라면 클라크의 죽음은 알 수 없었고, 그나마 사고 장소가 관중석이 없는 곳이었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장내 방송을 통해서야 소식을 접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세나의 사고 장면과 수습 장면은 TV를 통해 생중계되고 있었다. TV 앞에 앉아 있던 모든 이들이 같은 충격을 받은 것이다. 모두가 “어떻게 이런 사고가 벌어질 수 있는가?”라고 질문을 던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세나의 사고가 TV를 통해 안방에 생중계된 시점은 F1의 절체절명의 위기였다. 이제는 같
은 뜻을 가진 사람의 많고 적음이 문제가 아니었다. F1의 존립이 위협받을만한 상황, 이대로는 안 된다는 판단이 생기자 얼마나 많은 사람이 반대할지 따질 여유 따위는 없었다. 몇 명의 뜻 있는 사람들은 새로운 안전 기준을 수립하기 시작했다. 돈을 아끼지 않고 다방면의 테스트가 이뤄졌고, 사고 상황에서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값비싼 투자와 성능 제한 규정 강화가 이어졌다.
 
▲ 2007년 캐나다 그랑프리에서 엄청난 사고를 당한 쿠비차
 
시드 왓킨스 교수가 앞장서 노력한 안전 기준 강화는 1996년부터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
1996 시즌 개막전이었던 호주 그랑프리, 처음으로 대형 이벤트를 치르는 앨버트 파크에서는 첫 랩부터 큰 사고가 발생했다. 조단의 마틴 브런들이 탑승한 레이스카는 사고 후 하늘로 날아올랐다 떨어진 뒤 차체의 형태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부서져버렸다. 모두가 드라이버의 생명을 걱정해야 될 상황이었다. 하지만 뒤집힌 차체에서 구조된 브런들은 자기 발로 왓키스 교수에게 달려갔다. 자신의 몸이 멀쩡하다는 것을 확인 받은 브런들은 스페어카로 레이스 리스타트에 참가할 수 있었다.
 
2007년 캐나다 그랑프리에서 발생한 쿠비차의 고속 충돌 사고, 2010년 유럽 그랑프리에서 발생한 웨버의 공중 부양 사고 등도 충격적인 사고 장면에도 불구하고 치명적인 부상으로는 이어지지 않았다. 왓킨스 교수가 이끌었던 안전 기준 강화의 직간접적인 영향으로 수 많은 드라이버들이 ‘사망할 수도 있었던 사고’에서 목숨을 건졌다. 그렇게 시드 왓킨스 교수는 아일톤 세나의 죽음을 헛되지 않게 만들었다.
 
물론 아직까지도 반대의 목소리는 적지 않다. 엔진의 배기량만 보더라도 V12 3,500cc가 V10 3,000cc로, 다시 V8 2,400cc를 거쳐 올 시즌 V6 1,600cc터보가 되는 등 다운사이징이 계속되고 있다. 직진 가속 구간은 물론 특히 코너에서 속도를 제한할 수 있는 규정은 더욱 빠르게 강화되고 있다. 아직도 속도를 제한하는 듯한 규정은 F1답지 못하다며 비난을 퍼붓는 팬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문제에서만큼은 FIA는 결코 물러나지 않는다. 안전이 우선이고 속도는 그 다음이다.
 
2014년 5월 1일은 아일톤 세나의 20주기다. 정확히 20년 전 우리는 위대한 드라이버이자 남다른 열정을 가졌던 친구를 잃었다. 그리고 시드 왓킨스 교수 등의 노력으로 그의 죽음은 헛되지 않게 되었다. F1은 이제 그 어떤 모터스포츠보다도, 그 어떤 일반 도로에서의 상황보다도 안전한 공간으로 탈바꿈했다. 그 누구도 사람이 죽을 것 같다는 불안감과 함께 TV 중계를 시청하지 않게 되었다. 이 모든 것이 아일톤 세나의 죽음이 우리에게 남긴 값진 유산이다.
 
1994년 5월 1일 가슴 아팠던 그 사고 이후, F1 그랑프리에서는 20년 동안 단 한 명의 드라이버도 목숨을 잃지 않았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