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짧은 본넷과 키가 큰 MPV 디자인 1세대 B 클래스를 처음 목격할 때 이런 벤츠도 있구나! 라고 감탄한 적이 있다. 지금은 아니지만 과거 기자는 공간활용성 좋으면서도 차체가 작은 MPV를 더 선호했으며 벤츠 B 클래스를 보고 관련 정보를 보았다.
하지만 그 당시 B 클래스가 배기량이 2.0L를 살짝 넘어 세금부담이 크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관심을 두지 않게 되었다. 지금이야 엔진 배기량 1,600cc 초과된 경우 2,000cc를 초과하든 미만이든 cc당 200원의 세금이 붙게 되어 세금 부담이 크지 않았지만 그 당시 2,000cc를 초과하면 cc당 220원의 세금이 붙었던 걸로 기억한다. 참고로 1세대 메르세데스-벤츠 B 클래스에 탑재되는 4기통 휘발유 엔진의 정확한 배기량은 2,035cc 이다.

그리고 B 클래스는 2011년 2세대 모델이 공개되었으며 뒤이어 국내에서도 출시되었다. 다만 1세대와 다르게 연료비 부담이 훨씬 적은 디젤 엔진이며 배기량도 1세대 모델과 달리 1.8L로 낮추어 자동차세 부담도 한결 낮아졌다. 하지만 7월 제원상 최고출력 최대토크는 종전과 동일하지만 엔진 배기량이 1.8L에서 2.2L로 늘어나면서 후처리장치를 추가하여 질소산화물을 크게 저감한 새로운 파워트레인이 탑재되었다.
유로 6 배기가스 규제를 만족시키면서도 종전 유로 5 대비 더 나은 성능을 위해 기존 엔진 최고출력과 최대토크를 더 높이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메르세데스-벤츠는 배기량을 늘려 질소산화물을 저감하는 후처리장치로 인해 배기저항이 커져도 1,400rpm부터 30.6kg.m에 달하는 최대토크가 나오도록 셋팅했다. 구형 1.8L 디젤은 1,600rpm부터 30.6kg.m의 최대토크가 나오기 때문에 수치만 따지면 신형 B 200모델이 구형 대비 낮은 rpm에서도 여유로운 힘을 느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세계적인 추세인 다운사이징을 역행한 업사이징 파워트레인 이지만 연비 좋아지고 낮은 rpm에서 힘이 좋아졌으니 올바른 업사이징이라고 볼 수 있겠다.
새로운 파워트레인과 함께 디자인도 변경되어 정식 명칭은 The new generation B 200 CDI이며 줄여서 B 200 이라고 하겠다. 부분 변경된 B 200은 디자인 파워트레인 뿐만 아니라 신체가 작은 어린이들을 위한 어린이 보조 시트 그리고 충돌 위험이 있으면 운전자에게 경고를 하는 충돌방지 어시스트 플러스 등의 안전장비가 추가되었다.
주행성능, 파워트레인은 기존과 큰 차이 없어
B 200은 배기량이 커지면서도 최고출력, 최대토크 수치는 종전 모델과 동일하며 이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7단 듀얼클러치 변속기는 빠른 변속과 함께 각 단 간격을 촘촘하게 설계하여 계단을 빠르게 달리는 듯한 가속감각을 운전자에게 전달한다.
배기량이 커지면서 구형 B 200 대비 연비주행 시 변속 시점이 더 낮아졌으며 때로는 1,500rpm 이하에서도 언제든지 변속이 가능했다. 특히 시속 40-60km/h 서행 시 6단 또는 7단 고단이 맞물려 있을 때 1,000rpm 이하로도 가속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저rpm 토크가 좋아진 걸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 외 나머지는 구형 B 200 대비 큰 차이가 없다. 그럴 일은 거의 없겠지만 만에 하나 1.8L 디젤 엔진을 소유한 오너가 현재 판매되는 B 200을 구매하게 되면 구형과 별 차이 없는 가속력에 실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왜 출력과 토크를 구형과 동일하게 셋팅했는지 알 수 없지만 기자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변속기 허용 토크 여유가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스포츠주행을 하지 않는다면 시내 주행부터 고속도로까지 여유 있는 운전을 할 수 있으며 특히 70-80km/h로 정속 주행할 경우 트립 기준이지만 리터당 30km/l를 오르내리는 높은 연비에 크게 만족할 것이며 40km/h 이하 저속 주행 위주가 아니면 소음이나 진동 문제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정차 시 시동이 꺼지고 출발할 때 시동이 다시 걸리는 에코 스타트/스탑 기능이 활성화되면 시동이 걸릴 때 큰 진동과 소음은 감안해야 한다.
공인연비 복합 기준으로 15.7km/l에서 16.5km/l로 상향되었으며 비록 트립 기준이지만 고속도로에서 과속하지 않는다면 20km/l 내외를 유지하는 연비에 만족할 것이다.
서스펜션이 비교적 단단해 고속도로 주행안전성의 경우 나쁘진 않다. 다만 아무래도 전고가 높은 MPV 모델이어서 그런지 고속으로 코너를 돌거나 횡풍이 심한 경우 불안감이 느껴지며 스티어링휠 쥐는 힘이 강해진다. B 200 구조상 어쩔 수 없다. 서스펜션 그리고 스티어링휠 반응 자체는 나쁘지 않지만 중 저속 코너가 반복되는 와인딩 로드에서 B 200에 탑재된 205/55/16 에코타이어는 그립이 낮아 언더스티어를 쉽게 허용하기 때문에 욕심 내면서 코너를 도는 건 금물이다.
MPV 모델 다운 다양한 수납 공간, 488L 트렁크 공간 어린이용 보조시트

MPV는 기본적으로 같은 크기의 세단이나 해치백 승용차보다 더 넓은 공간 그리고 더 극대화된 공간활용성이 필요로 하는데 B 200 또한 센터페시아 시트 아래쪽 등에 작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들이 마련되어 있다.
뒷좌석 6:4 폴딩은 기본이며 뒷좌석에 신체가 작은 어린이가 탑승하는 경우 안전에 도움이 되는 어린이용 보조시트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백 뒤쪽에 작은 테이블을 펼칠 수 있어 휴식을 취할 때 테이블 위에 음료수나 간식 등을 올려놓을 수 있다.
트렁크 용량은 488L이며 2열 시트를 모두 폴딩할 경우 1,547L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B 클래스 전장이 4.4m에 불과하지만 전장 4.5-4.6m 수준의 SUV 보다도 더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능력이며 이는 B 200의 공간활용성이 높다는 증거라고 볼 수 있다.
전장 4.4m에 불과하면서도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B 클래스는 혼자 운전하는 젊은 운전자부터 자녀 1,2명 있는 30-40대 부부까지 만족할 수 있는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2.2L에 달하는 배기량 때문에 B 200 구매 후 3년까지 연간 55만7천원에 달하는 세금을 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