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현대차 ST1, 실주행거리 400km..승차감도 좋아 

[시승기] 현대차 ST1, 실주행거리 400km..승차감도 좋아 

발행일 2024-05-29 03:13:35 이한승 기자

현대자동차 상용 전기차 ST1 카고를 시승했다. ST1(Service Type1)은 모델명을 제외하면 승용 전기차 기준으로도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350kW 급속 충전시 20분만에 80% 충전이 가능하며, 실주행거리는 400km 이상, 승차감이 좋아 피로감이 낮다.

현대차는 지난 4월 상용 전기차 ST1을 출시했다. ST1은 일명 택배차로 불리는 포터나 봉고를 대체할 소형 상용차로, 박스형 적재함을 기본으로 적용해 낙하물 사고를 방지한다. 또한 생계형 차량이라는 이유로 충돌 안전성이 취약한 1톤 트럭의 생존성 향상을 고려했다.

현대차는 ST1에는 비즈니스 플랫폼이라는 설명이 함께 한다. 적재함을 고객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꾸밀 수 있는 샤시캡 기반의 확장 가능성과 함께 오픈 API를 통한 개별 고객의 앱 설치, 이를 통한 차량 정보 제공이 핵심인데, 자영업 중심의 국내 택배 환경과는 거리가 있다.

기본적인 차량 콘셉트는 대량의 물류 차량을 운영하는 미래 물류 환경까지 충족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둘 수 있겠다. 하지만 차량의 완성도 측면에서 바라보면 상용 전기차가 아니라, 승용 전기차로 설명해도 좋은 파워트레인 완성도, 효율성을 보여주는 점이 특징이다.

먼저 가격을 살펴보면 ST1 카고 5980~6360만원, 카고 냉동 6815~7195만원이다. 시승차는 카고 프리미엄에 빌트인캠이 추가된 6405만원이다. 포터2 일렉트릭이 4395~4554만원, 포터2 슈퍼캡 LPG 터보 2039~2260만원이다. 서울시 기준 ST1 세후 가격은 4480만원부터다.

포터2 일렉트릭이 보조금 적용시 내연기관 포터와 약 800만원 전후의 가격차를 보이는 것과 달리, 내연기관 포터와 ST1 카고와는 2200만원 가량 차이를 보여 비교 대상은 아니다. 하지만 포터2 전기차와 ST1의 1400만원 차이를 활용성 기준으로 비교하면 얘기가 다르다.

포터2 일렉트릭은 주행거리 211km, 100kW 충전시 80%까지 47분, ST1은 주행거리 317km, 350kW 충전시 80%까지 20분이다. 특히 ST1은 시승간 실주행시 공차 상태로 75% 충전상태에서 300km, 100% 충전시 450km 주행거리를 보여줘 승용 전기차와도 유사한 성능이다.

시승차는 ST1 카고 모델이다. 전장 5625mm, 전폭 2015mm, 전고 2230mm, 휠베이스 3500mm다. 포터2 초장축이 전장 5175mm, 전폭 1740mm임을 고려하면 꽤나 차이를 보이지만 운전이 크게 어렵지는 않다. 특히 유턴시 회전반경은 중형 SUV와 유사한 수준이다.

ST1은 기획 단계부터 적재함에 공을 들였는데, 대부분의 지하주차장 전고 상한선 2.3미터를 준수하면서도 적재함내 전고를 170cm 확보해 작업 편의성을 고려했다. 또한 저상 설계를 통해 적재함을 오르내리는 것이 편하다. 전동식 슬라이딩 도어는 투머치 장비에 가깝다.

다만 승차시 시동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시동이 걸리고, 차에서 내리면 시동이 꺼진다. 차에서 멀어지면 슬라이딩 도어가 닫히는 동작은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설정이다. 또한 어라운드뷰는 물론 측면 거리감지, 탑 상단부에도 거리감지 센서를 추가한 점은 칭찬할 부분이다. 

하지만 상용차로 접근하면 내비게이션, 운전보조장치, 슬라이딩 도어, 측후방 감지, 오토 에어컨 등 편의장비를 800만원 정도 덜어내 포터EV와의 가격차를 600만원 수준으로 좁히는 선택을 하겠다. 사실상 통풍, 열선 시트만 필요하다. 또한 실내에 거울은 달아주면 좋겠다.

ST1은 승차감과 정숙성이 꽤나 좋은 편이다. 후륜 서스펜션이 리프 스프링으로 구성돼 과속방지턱을 넘는 마지막 동작이 다소 튀는 경향이 있을 뿐, 전반적인 승차감은 스타리아에 가까운 수준이다. 후륜 서스펜션에는 유압식 리바운드 스토퍼(HRS)가 추가돼 충격을 줄였다.

특히 캐빈룸에 흡차음재를 폭 넓게 적용하고 윈드실드와 1열 윈도우에는 이중접합 차음유리를 적용했다. 실제 정숙성은 중형세단 쏘나타에 근접한다. 회생제동은 패들 시프트를 통해 3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데, 현대차의 설정은 회생제동 1단계가 가장 내연차에 가깝다.

파워트레인은 싱글 전기모터가 전륜을 구동하는 방식이다. 최고출력 160kW(217마력), 최대토크 350Nm(35.7kgm), 공차중량 2365kg, 76.1kWh 배터리팩을 통해 1회 충전 주행거리는 317km(도심 367, 고속 256)다. 350kW 급속 충전을 지원해 10->80% 충전시간은 20분이다.

주행모드는 노멀과 에코를 지원하는데, 노멀 모드가 여러가지로 편하다. 가속페달을 밟는 양에 따라 리니어하게 가속력이 증대되는 타입인데, 풀가속시에는 휠스핀을 동반할 정도로 힘은 충분하다. 정지에서 100km/h 가속은 8초대, 순간적인 추월 가속은 전기차답게 빠르다.

일상적인 주행에서의 코너링은 안정적인 편에 속한다. 저중심 설계와 함께 일정 속도 이상에서 횡풍이 감지될 경우, 계기판에 횡풍제어 기능이 표시되며,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VDC 기능이 동작한다. 전방 에어백과 커튼 에어백은 충돌시 생존성을 높이는 장비다.

실내공간은 스타리아와 동일한 디자인인데, 시트 뒤에 여유가 있어 등받이를 다소 눕힐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다. 계기판 주변은 선반처럼 꾸며져 있고, 미끄럼 방지도 부분적으로 가능해 스마트폰을 계기판에 기대 놓고 사용할 수 있다. 빌트인캠 영상은 삭제가 되지 않는다.

ST1은 구성면에서 고급 상용차 시장을 노리는 것으로 보여진다. 상용차 수준에서는 상당한 정숙성과 승차감, 고급 편의장비를 갖췄다. 오디오도 좋은 편이다. 차량 완성도 면에서는 흠을 잡기 어렵다. 상용차는 가격에 민감한 만큼 옵션을 덜어낸 깡통 패키지 출시가 기대된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