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서스 뉴 GS 시승기, "타보고도 믿기 힘든 도요타의 변화"

렉서스 뉴 GS 시승기, "타보고도 믿기 힘든 도요타의 변화"

발행일 2012-03-20 14:31:02 김한용 기자
"음.. 믿어지지 않는 정도다"

전라남도 영암에 위치한 F1 서킷. 운전석에 앉은 한 선배는 GS350 F 스포트를 잠시 운전하더니 낮은 신음소리를 냈다. 이렇게 비가 내리는데도 핸들의 반응이 믿어지지 않을 정도로 민첩하다고 했다. BMW나 벤츠와 비교했는데, 이 차만 유독 노면에 달라붙은 것 같다고도 말했다.

설마 그렇게까지 대단할까. 운전석에 직접 앉아 시승을 해보기로 했다.

▲ 전남 영암 F1 서킷에서 렉서스 GS 350 F SPORT의 뒤로 메르세데스-벤츠 E300이 따라오고 있다.
◆ 완전히 새로운 렉서스. 새로운 디자인과 플랫폼

렉서스 GS는 새로운 디자인과 플랫폼으로 모든 것을 새롭게 만든 차다. 렉서스 브랜드가 그리 큰 인기를 끌지 못하는 일본 본토에서도 이 차는 판매를 개시한지 얼마 되지 않아 당초 계획을 훌쩍 뛰어넘는 판매고를 올렸다.

차에 앉자 마자 그 이유를 알 수 있었다. 이 차는 어떤 면으로 보나 그동안의 도요타나 렉서스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과감해진 겉모양은 물론, 실내 내장의 고급감도 기존 렉서스와는 차원을 달리하는 수준이었다.

금속, 가죽, 우레탄이 절묘하게 둘러진 실내는 클래식하면서도 모던한 느낌이다. 디자인이 과감하면서도 탁월해 '렉서스는 미국사람들이나 좋아할 차'라는 낡은 관념을 깨뜨리는데 충분했다. 운전석에서 왼발을 놓는 번쩍거리는 풋레스트는 이 차가 달리기 위한 차라는 것을 보여주는 듯 했다. 센터터널이 넓고 다리 공간의 폭이 비교적 좁은데, 이는 스포츠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타일이다.
▲ 렉서스 IS-F SPORT의 실내

출발하자마자 신형 GS의 주행 감성도 이전 렉서스와 전혀 다른 방향으로 달리고 있다는 것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다. 이전 렉서스는 지나치게 조용하고 부드러움을 추구하는 쪽이었다. 하지만 이 차는 배기음을 풍부하게 했을 뿐 아니라 일부러 소리를 키우는 사운드 제너레이터까지 적용해 박진감 넘치는 소리를 낸다.

이번에 시승한 차는 GS350과 GS350 F 스포트(SPORT) 등 2개 모델이다. 렉서스는 여기에 BMW 528i와 메르세데스-벤츠 E300을 경쟁차로 가지고 왔다. 독일 최고의 세단과 다른 곳도 아니고 F1 서킷에서 직접 맞붙는다니, 도요타의 배짱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 믿어지지 않는 핸들링…뒷바퀴를 꺾어?

급가속을 할 때 엔진 사운드는 렉서스 GS가 E300이나 528i에 비해 오히려 더 크고 강력한 느낌이다. 하지만 실제 가속 감각은 메르세데스-벤츠나 BMW를 몰았을 때 더 든든한 느낌이 들었고, 여전히 더 나은 인상을 받았다. 독일차 주행의 기분 좋은 느낌은 단순히 기술적이나 숫자로 앞선다고 해서 풀리는 문제가 아니고, 뭔가 미스터리한 영역인 듯 하다.

정말 놀라운 것은 GS350 F스포트의 핸들링이었다. 중형차로 믿어지지 않는 수준의 기민한 핸들 감각이다. BMW 528i나 벤츠 E300으로는 이와 비슷한 정도의 핸들링도 불가능할 정도였다.

GS350 F스포트는 운전대를 돌리면 앞바퀴와 동시에 뒷바퀴도 함께 조향을 한다. 렉서스는 이를 LDH(렉서스 다이내믹 핸들링 시스템)이라고 표현한다. 고속에서는 뒷바퀴가 앞바퀴와 같은 방향으로, 저속에서는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며 노면을 추종하는 능력을 크게 증가 시킨다. 그 효과가 대단해 고속에서 핸들을 돌려보면 깜짝 놀랄 정도다.
▲ 영암 서킷에서 출발을 기다리고 있는 렉서스 뉴 GS F 스포트의 뒷모습

LDH는 핸들을 급격하게 돌리는 상황, 즉 장애물 회피시에는 저속에서와 마찬가지로 핸들의 방향과 거꾸로 뒷바퀴를 꺾어 기민하게 회피할 수 있도록 돕는다. 기존 기계식 4WS(4 Wheel Steering)와 달리 모든 것이 전자적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이같은 다양한 조치가 가능해진 것이다. 경쟁 브랜드 BMW에도 뒷바퀴를 꺾는 기능이 있긴하다. 7시리즈의 일부 모델에만 이 기능이 내장되는데, LDH와 비교하면 효과가 확연히 떨어진다.

GS350에는 이 시스템이 장착되지 않아 조향능력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일반 GS350은 벤츠 E300에 비하면 월등히 우수하고, BMW 528i와 비교하면 비슷하거나 약간 부족한 정도다.

◆ 달려보니 장점과 아쉬움도

렉서스 GS는 호쾌한 가속감이나 강력한 사운드, 19인치 타이어를 장착했음에도 불구하고 승차감은 굉장히 부드러운 편이다. VDIM(전자자세제어장치)의 스위치를 꺼도 차체가 안정적으로 움직인다.

노면과 엔진의 잔진동이 실내에 들어오는 수준만 놓고 보면 오히려 벤츠나 BMW쪽이 더 크게 느껴진다. 그런데 그 잔진동의 느낌이 나쁘지 않고, 오히려 더 안심하고 달릴 수 있게 해주는 느낌도 든다. 어느쪽을 선호하는지는 순전히 소비자의 취향 문제다.

주행모드는 조그셔틀을 돌려 노말, S, S+ 등 총 3가지로 선택 할 수 있다. S모드는 변속기 모드가 스포티하게 바뀌고, S+ 모드에서는 핸들의 특성과 서스펜션의 강도까지 바뀌게 된다.

S+ 모드라고는 하지만 BMW의 스포트+ 모드처럼 ESP의 동작을 줄여줘 뒷바퀴 미끄러짐을 약간씩 즐길 수 있게 하는 등의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 어디까지나 안전한 상황에서 더 재미있게 주행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 렉서스 GS 350이 영암 서킷을 달리고 있다

변속기는 총 6단 자동변속기로 경쟁 차종인 BMW가 8단 변속기를, 메르세데스-벤츠가 7단 변속기를  장착한 것에 비해 아쉬움도 있다. 연비가 떨어지고, 변속을 자주하지 못한다는 점이 가장 아쉽다. 렉서스는 일찌감치 렉서스 LS용으로 8단 변속기를 장착해왔지만, 무게가 다소 무겁다는 이유로 여기 장착되지는 못했다.

◆ 실내 공간, 뒷좌석에서도 만족할 듯

기존 렉서스 GS는 렉서스의 가장 고급스런 스포츠세단이면서도 정착 판매 포지션은 애매했다. ES에 비해 비싼 차이면서도 IS에 비해 그리 크지 않은 실내 공간을 내놨기 때문이다.(GS는 IS와 플랫폼을 공유해왔다) 뒷좌석 공간의 부족과 주행성능의 아쉬움으 더해져 지난해 GS는 국내서 1년 내내 52대 밖에 팔리지 않은 비인기 차종이었다.

하지만 GS는 프리미엄 자동차 회사의 허리격인 '프리미엄 중형세단'이다. 즉 BMW 5시리즈와 메르세데스-벤츠의 E클래스와 같은 존재다. 그러다 보니 렉서스가 세계적으로 다시 부활하려면 반드시 이 시장에서 성공해야한다는 절체절명의 심정으로 차를 만든듯 하다. 그러다보니 이전의 GS와는 단 한가지도 공유하지 않고, 나사 하나까지 새롭게 개발했다는게 도요타 측의 설명이다.

실제 실내 공간은 비약적으로 늘었다. 이번 GS의 실내 공간은 뒷좌석에 앉아서도 무릎공간이 좁지 않고 차에 타고 내릴때 머리가 천장에 닿을 걱정 없는 수준이 됐다. 하지만 이날 경쟁한 독일 세단들에 비하면 머리공간은 좁은 편이다. 독일 세단들은 대체로 아시아권보다 키가 훨씬 큰 자국 국민들을 기준으로 차를 만들다보니 당연한 결과라 하겠다.

▲ 렉서스 GS 350이 영암 서킷을 달리고 있다.

달리는 느낌은 조금 과하다는 정도다. 이 정도라면 패밀리세단이라기 보다는 스포츠세단이라는 느낌으로 타게 된다. 타보지는 않았지만 GS250이라도 그리 스트레스 받지 않고 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GS에 장착되는 2.5리터 엔진은 V6로 4기통 엔진이 장착된 528i에 비해 오히려 정숙하게 여겨질지도 모른다. 19인치 타이어보다 노면의 잔 충격도 훨씬 잘 흡수한다는 점에서 패밀리세단으로는 더 적합할 수도 있겠다.

렉서스 GS F 스포트 모델의 가격은 7730만원, GS350모델은 6580~7580만원이다. GS250은 5980만원이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아우디 신형 Q5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6968만원

아우디 신형 Q5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6968만원

아우디는 신형 Q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1일 밝혔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가 적용됐으며, 고효율 마일드 하이브리드 플러스 시스템을 탑재했다. 또한 국내 고객 선호 사양을 기본 제공한다. 가격은 6968만원이다. 신형 Q5는 디젤 모델인 40 TDI를 시작으로 가솔린 TFSI 엔진 기반의 SUV 및 스포트백 모델과 신형 Q5 스포트백 TDI가 순차적으로 출시된다. 신형 Q5 40 TDI 가격은 콰트로 어드밴스드 6968만원, 콰트로 S-라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볼보 신형 XC60 국내 출시 예고,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기본

볼보 신형 XC60 국내 출시 예고,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기본

볼보 신형 XC60이 국내 투입된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XC60은 이르면 올해 말, 늦어도 2026년 상반기 중 공식 출시된다. 신형 XC60은 2세대 2차 부분변경으로 외관 디자인이 소폭 변경됐으며, 디지털화된 실내와 MHEV 파워트레인이 특징이다. XC60은 지난 2017년 2세대 출시 이후 전 세계적으로 150만대 이상 판매되며 볼보자동차의 베스트셀러로 자리 잡았다. 볼보자동차코리아는 XC60을 앞세워 지난해 수입차 판매량 4위에 올랐다. 신형 XC60은 2차 부분변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랜드로버 고장 걱정 끝, 원 케어 솔루션 도입..보증 5년

랜드로버 고장 걱정 끝, 원 케어 솔루션 도입..보증 5년

랜드로버코리아는 30일 '원(One) 전략'을 발표하고 원 케어(One Care) 프로그램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랜드로버코리아는 원 케어 솔루션을 통해 보증 및 서비스 패키지가 기존 3년에서 5년으로 확대했으며, 원 스토어(One Store)로 디지털 구매 경험을 제공한다. 랜드로버코리아는 수년간 축적해온 고객 만족도 조사 및 서비스 운영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두 가지 핵심 과제를 도출했다. 브랜드와의 직접 소통 과정에서 일관성과 편의성이 부족하다는 점, 애프

업계소식
혼다 CR-V 트레일스포츠 공개, 오프로더 느낌만 냈다

혼다 CR-V 트레일스포츠 공개, 오프로더 느낌만 냈다

혼다는 미국서 CR-V 트레일스포츠(TraiSport)를 1일(현지시간) 공개했다. CR-V 트레일스포츠는 2026년형 CR-V 하이브리드에 도입된 신규 트림으로 올터레인 타이어와 오렌지컬러 엠블럼, 전용 보디킷 등 오프로더 스타일로 업그레이드됐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CR-V 트레일스포츠는 2026년형 CR-V에 도입된 신규 트림이다. CR-V 트레일스포츠는 하이브리드에서만 선택할 수 있다. CR-V 트레일스포츠는 스키드 플레이트가 연상되는 전면부 및 후면부 범퍼 가니쉬,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니로 베스트 셀렉션 출시, 가격은 3206만원

기아 니로 베스트 셀렉션 출시, 가격은 3206만원

기아는 2025년형 니로를 출시한다고 2일 밝혔다. 2025년형 니로는 스티어링 휠 진동 경고와 슬림한 디자인의 전자식 룸미러가 기본 사양으로 제공되며, 하이브리드에 가성비를 높인 베스트 셀렉션 트림이 신설됐다. EV는 V2L이 기본이다. 가격은 2787만원이다. 2025년형 니로 가격은 개소세 3.5% 및 세제혜택 기준 하이브리드 트렌디 2787만원, 프레스티지 3098만원, 베스트 셀렉션 3206만원, 시그니처 3497만원, EV 에어 4855만원, 어스 5120만원이다. EV의 경우 서울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K9 2025년형 조용히 출시, 가격은 5871~8582만원

기아 K9 2025년형 조용히 출시, 가격은 5871~8582만원

기아는 2025년형 K9을 2일 조용히 출시했다. 2025년형 K9는 연식변경으로 트림에 따라 뒷좌석 시트벨트 버클 조명과 1열 전동식 헤드레스트, 동승석 에르고 모션 시트 등이 새롭게 적용됐으며, 베스트 셀렉션Ⅰ 트림의 옵션이 강화됐다. 가격은 5871만원부터다. 2025년형 K9 가격은 개소세 3.5% 기준 3.8 가솔린 플래티넘 5871만원, 베스트 셀렉션Ⅰ 6686만원, 마스터즈 7415만원, 베스트 셀렉션Ⅱ 8114만원, 3.3 가솔린 터보 플래티넘 6517만원, 베스트 셀렉션Ⅰ 7253만원,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이한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