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미니 쿠퍼SD…출시되자마자 베스트셀링카 등극, 왜?

[시승기] 미니 쿠퍼SD…출시되자마자 베스트셀링카 등극, 왜?

발행일 2012-03-21 16:26:10 김상영 기자

올해 초, BMW코리아는 미니 쿠퍼 디젤을 국내 출시했다. 그동안 미니의 단점으로 지적받던 연비를 크게 개선했다.

또 일반적인 1.6리터 가솔린 엔진 수준의 최고출력과 높은 최대토크까지 갖춰 미니 특유의 운전재미도 그대로 유지했다. 그래서 미니 쿠퍼 디젤은 출시되자마자 미니 브랜드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차로 당당히 이름을 올렸다.

신나게 달리는 것과 기름값이 적게 드는 것. 요즘 소비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점들을 미니 쿠퍼 디젤은 모두 충족시켜주는 듯하다. 또 디젤 차량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도 점차 바뀌고 있는 시점에서 미니 쿠퍼 디젤의 경쟁력은 더욱 높아진 듯 하다.

▲ 미니 쿠페SD

시장의 흐름을 꿰뚫고 있는 BMW코리아가 시기 적절하게 국내에 출시한 미니 쿠퍼SD를 시승했다.

◆ 미니 특유의 느낌과 BMW 디젤 엔진이 뭉쳤다

클린 디젤 차량에 오랫동안 집중했던 유럽 브랜드는 말할 것도 없고 국산 디젤차도 가솔린 못지않은 정숙성을 지녔다. 디젤차가 조용하다는 것은 얘깃거리도 되지 않을 정도다.

다른 세단들에 비해 엔진 소리가 두드러지는 듯한 느낌이 있지만, 미니는 이를 즐겁게 여기는 사람들을 위한 차다. 원초적 느낌을 느끼도록 설계됐기 때문에 어느 정도 엔진소리가 더 반갑다. 주행소음은 미니 쿠퍼 가솔린에 비해 훨씬 조용한 점이 오히려 아쉽다.

▲ 미니 쿠퍼SD에 장착된 2.0리터 디젤 엔진

공회전의 엔진 소음도 너무나 조용하다는 생각이 들어 살펴본다. 미니 쿠퍼 디젤 엔진 주변에는 엔진 소음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고무패드로 꼼꼼하게 마무리됐다. 보닛 천장에도 든든한 방음재가 붙어있으며 엔진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꼼꼼하게 빈틈을 마무리했다.

▲ 미니 쿠퍼 디젤은 보닛 방음처리도 꼼꼼하다

보닛 안에는 최고출력 143마력, 최대토크 31.1kg·m의 2.0리터 디젤 엔진이 자리 잡고 있다. 미니 쿠퍼 차체 크기에 비하면 상당히 큰 엔진이다. 지난해 디젤 수입 SUV의 베스트셀링카인 폭스바겐 티구안에 최고출력 140마력, 최대토크 32.6kg·m의 2.0리터 TDI엔진이 장착된 것을 감안하면 미니 쿠퍼SD의 엔진 성능은 오히려 과하다 할 정도다.

◆ “Torque to be with you(토크가 함께하길)”

미니 쿠퍼SD는 현대차 아반떼 수준의 무게를 가졌지만 최대토크는 아반떼의 두 배를 약간 못 미치는 수준이다. 토크만 놓고 보면 고성능 모델인 미니 쿠퍼S보다 우수하다.

▲ 미니 쿠퍼SD는 높은 최대토크 때문에 치고 나가는 맛이 일품이다

미니 쿠퍼S처럼 고회전을 이용한 아찔한 운전재미는 아니지만, 중저속에서부터 쑥쑥 치고 나가는 맛은 일품이다. 엔진회전수가 2000~3000rpm 정도에서는 반응이 더욱 민첩하고 폭발적인 힘을 느낄 수 있다.  낮은 엔진회전수에서 최대토크가 발휘되기 때문에 도심에 적합하고 손쉽게 원하는 속도까지 올릴 수 있어 스트레스도 줄어든다.

가속페달을 끝까지 밟으면 시속 200km까지 어렵지 않게 도달할 수 있다. 앞서 시승한 미니 쿠페S의 경우는 빠른 시간에 시속 200km까지 도달하지만, 엔진회전수가 급격하게 오르며 운전자를 자극하는 스타일이다. 반면 미니 쿠퍼SD는 부드럽게 속도가 붙는 스타일이며, 차체를 쭉 밀고 나가는 느낌은 BMW 520d를 연상케한다.

▲ 최고출력 143마력은 전혀 부족하지 않다

코너링도 수준급이다. 미니라면 모두 코너링시 한쪽으로 쏠리는 느낌이 적고 휠베이스도 짧기 때문에 민첩하고 과감한 코너링이 가능하다. 미니 쿠퍼SD도 이 장점을 고스란히 지니고 있다. 다만 급감속과 급가속을 계속하면 쿠퍼S에 비해 느긋한 점이 아쉽다.

◆ 지구를 생각하는 친환경 미니 쿠퍼 디젤

미니는 ‘미니멀리즘(MINIMALISM)’을 내세우고 있다. 미니멀리즘은 최적의 성능과 높은 연료효율성을 위해 미니에 적용된 개념이다. 역동적인 드라이빙 성능과 느낌은 간직하면서도 차체 경량화 기술 등을 통한 에너지 효율 증대하겠다는 의지다. 드라이빙의 즐거움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BMW와 미니의 정체성이 잘 나타나있는 부분이다.

▲ 미니 쿠퍼SD의 공인연비는 리터당 19.9km다

미니 쿠퍼SD는 뛰어난 동력성능을 발휘하면서도 리터당 19.9km의 공인연비와 135g/km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실현했다. 또 배기가스를 가능한 깨끗하게 하기 위해 디젤 미립자와 산화 촉매 변화기를 갖춰 필터 청소를 위한 추가 연료 분사를 방지했다.

▲ 묘한 매력을 가진 브리티시 그린레이싱2 외장칼라

많이 먹지도 않고, 많이 내놓지도 않으면서, 더 쏜살같이 돌아다닌다는게 놀랍기만 하다. 시승기간 동안 연비는 생각하지 않고 마음껏 달렸지만 연비는 리터당 15km 수준이었다. 고속도로에서 정속주행을 했을 때는 공인연비를 쉽게 넘기기도 했다.

◆ 높은 인기에는 이유가 있다

올해 미니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차량은 미니 쿠퍼D. 1월에는 64대, 2월에는 179대가 팔려나갔다. 출시되자마자 미니의 베스트셀러로 자리 잡았다. 또 고성능 모델인 미니 쿠퍼SD도 미니 쿠퍼S 보다 월등한 판매량을 보이고 있다.

미니 쿠퍼 SD라면, 문짝이 두개 뿐이고 뒷좌석은 성인 남성이 장시간 타기 불편할 수도 있다. 노면 충격은 고스란히 차내로 전해지고 가격은 웬만한 국산 준대형차보다 비싸다.

▲ 아기자기한 실내 디자인도 미니 쿠퍼가 사랑받는 이유 중 하나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이 차를 사는데는 분명한 이유가 있는 듯 했다.

보기만 해도 즐겁고, 운전을 하면 더 즐겁다. 또 주유소 가격표를 보며 이곳저곳을 비교하는 번거로움도 없다. 그런 차가 바로 미니 쿠퍼 디젤이다. 여러 불편함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것 또한 재미로 승화하는 개성과 돈으로 가치를 매길 수 없는 즐거움이 가득하기 때문에 미니는 5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자리를 지켜오고 여러 세대에 걸쳐 큰 인기를 얻고 있는 듯 하다.  

▲ 미니는 즐거움이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아우디 신형 Q5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6968만원

아우디 신형 Q5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6968만원

아우디는 신형 Q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1일 밝혔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가 적용됐으며, 고효율 마일드 하이브리드 플러스 시스템을 탑재했다. 또한 국내 고객 선호 사양을 기본 제공한다. 가격은 6968만원이다. 신형 Q5는 디젤 모델인 40 TDI를 시작으로 가솔린 TFSI 엔진 기반의 SUV 및 스포트백 모델과 신형 Q5 스포트백 TDI가 순차적으로 출시된다. 신형 Q5 40 TDI 가격은 콰트로 어드밴스드 6968만원, 콰트로 S-라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볼보 신형 XC60 국내 출시 예고,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기본

볼보 신형 XC60 국내 출시 예고,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기본

볼보 신형 XC60이 국내 투입된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XC60은 이르면 올해 말, 늦어도 2026년 상반기 중 공식 출시된다. 신형 XC60은 2세대 2차 부분변경으로 외관 디자인이 소폭 변경됐으며, 디지털화된 실내와 MHEV 파워트레인이 특징이다. XC60은 지난 2017년 2세대 출시 이후 전 세계적으로 150만대 이상 판매되며 볼보자동차의 베스트셀러로 자리 잡았다. 볼보자동차코리아는 XC60을 앞세워 지난해 수입차 판매량 4위에 올랐다. 신형 XC60은 2차 부분변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랜드로버 고장 걱정 끝, 원 케어 솔루션 도입..보증 5년

랜드로버 고장 걱정 끝, 원 케어 솔루션 도입..보증 5년

랜드로버코리아는 30일 '원(One) 전략'을 발표하고 원 케어(One Care) 프로그램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랜드로버코리아는 원 케어 솔루션을 통해 보증 및 서비스 패키지가 기존 3년에서 5년으로 확대했으며, 원 스토어(One Store)로 디지털 구매 경험을 제공한다. 랜드로버코리아는 수년간 축적해온 고객 만족도 조사 및 서비스 운영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두 가지 핵심 과제를 도출했다. 브랜드와의 직접 소통 과정에서 일관성과 편의성이 부족하다는 점, 애프

업계소식
혼다 CR-V 트레일스포츠 공개, 오프로더 느낌만 냈다

혼다 CR-V 트레일스포츠 공개, 오프로더 느낌만 냈다

혼다는 미국서 CR-V 트레일스포츠(TraiSport)를 1일(현지시간) 공개했다. CR-V 트레일스포츠는 2026년형 CR-V 하이브리드에 도입된 신규 트림으로 올터레인 타이어와 오렌지컬러 엠블럼, 전용 보디킷 등 오프로더 스타일로 업그레이드됐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CR-V 트레일스포츠는 2026년형 CR-V에 도입된 신규 트림이다. CR-V 트레일스포츠는 하이브리드에서만 선택할 수 있다. CR-V 트레일스포츠는 스키드 플레이트가 연상되는 전면부 및 후면부 범퍼 가니쉬,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니로 베스트 셀렉션 출시, 가격은 3206만원

기아 니로 베스트 셀렉션 출시, 가격은 3206만원

기아는 2025년형 니로를 출시한다고 2일 밝혔다. 2025년형 니로는 스티어링 휠 진동 경고와 슬림한 디자인의 전자식 룸미러가 기본 사양으로 제공되며, 하이브리드에 가성비를 높인 베스트 셀렉션 트림이 신설됐다. EV는 V2L이 기본이다. 가격은 2787만원이다. 2025년형 니로 가격은 개소세 3.5% 및 세제혜택 기준 하이브리드 트렌디 2787만원, 프레스티지 3098만원, 베스트 셀렉션 3206만원, 시그니처 3497만원, EV 에어 4855만원, 어스 5120만원이다. EV의 경우 서울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K9 2025년형 조용히 출시, 가격은 5871~8582만원

기아 K9 2025년형 조용히 출시, 가격은 5871~8582만원

기아는 2025년형 K9을 2일 조용히 출시했다. 2025년형 K9는 연식변경으로 트림에 따라 뒷좌석 시트벨트 버클 조명과 1열 전동식 헤드레스트, 동승석 에르고 모션 시트 등이 새롭게 적용됐으며, 베스트 셀렉션Ⅰ 트림의 옵션이 강화됐다. 가격은 5871만원부터다. 2025년형 K9 가격은 개소세 3.5% 기준 3.8 가솔린 플래티넘 5871만원, 베스트 셀렉션Ⅰ 6686만원, 마스터즈 7415만원, 베스트 셀렉션Ⅱ 8114만원, 3.3 가솔린 터보 플래티넘 6517만원, 베스트 셀렉션Ⅰ 7253만원,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이한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