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메르세데스-벤츠 G클래스, 최고차의 매력

[시승기] 메르세데스-벤츠 G클래스, 최고차의 매력

발행일 2012-11-30 00:45:32 김한용 기자

"풍덩~" "이 정도 개천은 아무것도 아니라니까요. 차를 믿고 밟으세요"

말이 쉽지, 폭설로 코앞도 안보이는데 보닛까지 빠져들 것 같은 물을 지나라고 하니 영 불안했다. 굵은 얼음까지 깨부수며 지나야 했다. 느낌은 마치 강을 지나는 것 같아 중간에 엔진이 서버리면 어쩌나 우려도 됐다.

폭설이 내려 하얀 눈천지로 변한 강원도 삼양목장에서 메르세데스-벤츠 G350 블루텍 모델을 시승했다. 

▲ 메르세데스-벤츠 G350 블루텍 모델이 개천을 건너고 있다. /사진=카리포트 임재범기자

메르세데스-벤츠 최고차라면 막연히 S클래스를 떠올리는 사람도 많지만, 실상 G클래스(겔랑데바겐)를 빼놓고는 벤츠를 얘기할 수 없다.

우선 메르세데스-벤츠에서 가장 오랫동안 만들어진 차가 바로 G클래스로 1979년부터 지금까지 디자인이 크게 바뀌지 않고 계속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가장 비싼차도 G65 AMG로 물경 3억이 훌쩍 넘어 S65 AMG나 슈퍼카 SLS AMG보다 비싸다. 어느면에서건 최고라 할 수 있다. 

이렇게 사실상 벤츠의 상징이라 할만한 G클래스가 이제야 국내 출시된 이유가 오히려 궁금 할 정도다.

▲ 폭설로 10미터 앞을 분간하기 힘든 정도의 산길을 달렸다./사진=김한용기자

G클래스는 어떤 면에선 좀 이상한 차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라는건 세월이 지나면 더 이상 인기를 끌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출현과 단종을 거듭하기 마련이지만 이 차는 33년이나 꾸준히 인기를 끌고 있다. 

이상한 점은 또 있다. 이 차는 1억이 넘는 G350에 비해 2억이 넘는 G63 AMG등 2억 넘는 고가 모델 판매가 더 많다는 점이다. 막대한 개발비를 투입하지 않고도 계속 인기를 끌고 있는데다, 비싼 모델일수록 더 잘팔리고 있으니 회사 입장에선 이런 효자차종이 또 없겠다.

◆ G클래스는 결코 죽지 않는다

사실 G클래스는 원래 70년대 자동차 회사 오스트로다임러와 무기회사 슈타이어, 자동차회사 푸후가 합작해 만든 회사인 슈타이어-다임러-푸후(Styer-Daimler-Puch)社에서 세계 최고의 군용 차량을 목표로 개발한 차량이다.

30년이라는 긴 세월은 G클래스를 만드는 이 회사를 무너뜨렸고, 캐나다의 마그나社가 인수해 지금은 다임러와 관계 없는 마그나-슈타이어社가 됐다. 하지만 세월도 매력적인 G클래스의 생명은 끊지 못했다. 이 업체는 아직도  오스트리아 그라츠에서 외주 생산을 받아 G클래스를 생산하고 있다. 

더구나 당초 군용으로 만들어진 이 차가, 냉전이 끝나고 장벽이 무너지면서 아이러니 하게도 벤츠 최고의 럭셔리 차로 바뀌는 운명이 됐다.

이날 행사에는 G63 AMG도 전시됐는데 이 차는 가솔린 V8 5.5리터 트윈터보를 장착해 544마력을 낸다.  포르쉐 카이엔 터보(500마력)은 물론 BMW X5M이나 X6M(555마력)까지 멀찌감치 따돌릴만한 성능이다. 

G350이 눈길을 달리고 있다. /사진=김한용기자

◆ 주요부품 70% 이상 군용 그대로

우선 문을 여는 방식부터 시작해 모든게 색다르다. 일반적인 승용차처럼 손잡이를 당기는게 아니라 엄지손가락으로 동그란 버튼을 세게 누르면서 손잡이를 당기는 옛방식 그대로다. 닫을 때도 사뿐하게 닫히는 식이 아니라, "철커덕"하는 소리를 내면서 닫히는 철제문과 같은 방식이다. 더구나 문의 안쪽을 보면 걸쇠 부품이 그대로 드러나 있어 이물질이 쉽게 끼지 않을 뿐더러 위급시 수리도 쉽게 만들어져 있다.

이 차에 들어 앉으면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단연 '디퍼런셜 락' 버튼이다. 보통 다른 차라면 내비게이션이 있어야 할만한 곳. 가장 눈에 띄는 위치에 가장 고급스럽게 만들어져 있다. 주행중에도 기어가 N인 상태에서 이 버튼들을 누르면 후륜 좌우, 앞뒤의 센터 디퍼런셜은 물론 전륜 좌우의 디퍼런셜도 잠글 수 있다. 전륜 디퍼런셜을 잠글 수 있는 양산차는 세계에서 이 차가 유일하다. 이 버튼이 바로 이 차의 성격을 웅변하는 듯 하다.

디퍼런셜을 잠그지 않더라도 G클래스는 4ETS라는 브레이크를 이용한 트랙션 시스템을 통해 풀타임 4륜 구동을 지원하고 있다. 또, 토크가 더 필요하면 로기어를 이용해 바퀴로 전달되는 토크를 더 늘릴 수도 있다.

실제로 어느정도나 되는지 상상하기조차 어렵지만 이 차는 무려 60도의 언덕을 오를 수 있고, 40도로 기울어진 도로를 달려도 넘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60cm의 물에 들어가도 달릴 수 있다. 이보다 훨씬 깊은 1미터 물속에 들어가도 침수되지 않도록 설계 돼 있지만 그 정도 깊이에선 차가 배처럼 물에 둥둥 뜨기 때문에 바퀴가 바닥에 닿지 않아 전진이 불가능한게 문제라고 한다. 

▲ 30도 정도의 경사로를 달리고 있다./사진=카리포트 임재범기자

차를 일단 출발시켜 보면, 핸들 조작감이 매우 독특해 위화감마저 느껴진다. 서스펜션이나 스티어링 관련 부품들에 모두 방수처리가 돼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핸들의 조향 방식이 완전히 달라서기도 하다. 요즘 SUV라면 대부분 당연히 승용차와 같은 랙앤피니언식 스티어링을 사용흐는데, 이 차는 아직도 웜기어식을 고수하고 있어 오프로드의 반동이 핸들로 그리 심하게 전달되지 않는다.

서스펜션도 독특하게 전후륜모두 리지드액슬(Rigid axle) 방식이다. 이 방식은 양측 바퀴의 서스펜션이 직접 연결 돼 있어 한쪽 바퀴가 기울어지면 반대편 바퀴도 영향을 받게 된다는 단점이 있지만, 오프로드에선 이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 특히 이 차에선 차체 하부의 공간을 적게 사용해 지상고가 넉넉해지는 장점도 크다.

차체는 외부까지 모두 강철판이다. 오프로드를 주행해보니 강성도 어마어마하지만, 보닛에 사람 몇명이 올라가도 전혀 찌그러지지 않으니 이걸 과연 자동차라 불러도 좋을까 싶다. 이 차는 '전차'라거나 '갤랑데바겐'(G클래스의 80년대 이름)이라 불러야 제맛일 듯 하다.

◆ '갤랑데바겐'에 놀라운 발전을 더하다

직각으로 깎아지른 듯한 전면 유리나 전반적 디자인은 구시대 것을 그대로 물려받았지만 현대적인 맛을 가미하는데도 인색하지 않았다.

우선 실내 디자인을 보면 매우 고급스러워 과거의 G클래스를 떠올리기 어렵다. 리모컨이 편리하게 자리잡은 핸들 느낌이나 가죽시트의 질감도 무척 고급스럽고 편안하다. 공기를 이용해 곳곳이 부풀어 올라 몸에 딱 맞춰지는 시트도 유용하다. 외관에서는 작은 변경이 있었을 뿐이지만, 이 차에서 냉전시대의 유물이라는 느낌은 더 이상 찾기 힘들다. 특히 AMG 모델의 에어인테이크나  헤드 라이트에 LED주간주행등이 무장하고 있는 모습에서 오히려 미래적 이미지를 풍긴다. 

▲ 오프로드 주행 능력과 별개로 실내는 매우 고급스럽다./사진=김한용기자

이번에 시승한 G350은 AMG 만큼은 아니어도 사운드가 대단하다. 우르릉 하고 메아리를 만들며 산을 치고 올라가는 느낌이 매력적이다.

숲속에서는 물론 고속도로에서도 존재감이 대단할 것 같다. 하지만 이 차를 일찌감치 시승해 본 기자들의 말에 따르면 출력이 강한 G63 AMG도 시속 200km 가량의 속도를 내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한다. 조향에 직결감이 적어 고속에서 차선을 변경하는게 쉽지 않고, 적응기간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차체가 높은 것에 비해 실내 공간이 그리 넓은 편이 아니다. 공간 넓히는 것이야 그리 어려운 일도 아니었겠지만 이 차 특유의 감성과 주행성능을 그대로 살리기 위해서 유지한 듯 했다. 성능이나 디자인도 매력적이지만 이 차에서 그보다 더 큰 가치는 바로 전통이기 때문이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마이바흐 SL 모노그램 실물 첫 선, 3억원대 럭셔리 오픈카

마이바흐 SL 모노그램 실물 첫 선, 3억원대 럭셔리 오픈카

메르세데스-마이바흐는 15일(현지시간) SL680 모노그램 실차를 미국서 공개했다. 마이바흐 SL 680 모노그램은 AMG SL을 기반으로 외관과 실내 곳곳에 마이바흐 디테일이 적용됐으며, 전용 서스펜션과 배기 시스템 등이 적용됐다. 올해 하반기 국내 출시될 예정이다. 마이바흐 SL 680 모노그램은 AMG SL63을 기반으로 마이바흐 역사상 가장 스포티함이 강조된 모델이다. 마이바흐 SL 680 모노그램은 올해 하반기 국내 출시가 확정됐다.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모닝 2025년형 깜짝 출시, 가격은 1395~1870만원

기아 모닝 2025년형 깜짝 출시, 가격은 1395~1870만원

기아는 2025년형 모닝을 15일 출시했다. 2025년형 모닝은 연식변경으로 전방 충돌방지 보조와 차로 유지 보조, 지능형 속도 제한 보조 등 최신 ADAS 시스템이 기본 탑재됐으며, 프레스티지 트림부터는 풀오토 에어컨이 추가됐다. 가격은 1395~1870만원이다. 2025년형 모닝 세부 가격은 1.0 가솔린 트렌디 1395만원, 프레스티지 1575만원, 시그니처 1775만원, GT-라인 1870만원이다. 2025년형 모닝 가격은 기존 2024년형과 비교해 트렌디 70만원, 프레스티지 75만원, 시그니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DS4 부분변경 공개, 프랑스식 럭셔리 해치백

DS4 부분변경 공개, 프랑스식 럭셔리 해치백

DS는 DS N°4를 14일(현지시간) 공개했다. DS N°4는 기존 DS4의 부분변경으로 외관과 실내 디자인이 소폭 변경됐으며, 다양한 고급 사양이 추가됐다. DS N°4는 승차감과 핸들링 성능도 개선됐다. DS N°4는 전기차와 하이브리드로 운영된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DS는 최근 차명 체계를 DS N°(Number)로 변경했다. DS N°4는 기존 DS4의 부분변경 모델이다. DS는 현재 국내 시장에서 판매가 중단된 상태인데, 스텔란티스코리아는 완전히 철수하는 것은 아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토요타 C-HR 공개, 300마력대 소형 전기 SUV

토요타 C-HR 공개, 300마력대 소형 전기 SUV

토요타는 C-HR을 14일(현지시간) 미국에 공개했다. C-HR은 e-TNGA 2.0 플랫폼 기반 소형 전기 SUV로 77kWh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완충시 EPA 기준 467km를 주행할 수 있다. 또한 듀얼 모터 단일 사양으로 총 출력 343마력을 발휘한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C-HR은 소형 전기 SUV다. C-HR 북미형은 유럽형과 다르게 전기차 단일 라인업으로 운영되는데, 2026년 미국부터 판매가 시작된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C-HR은 e-TNGA 2.0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특히 휠베이스는 2750m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포드 신형 익스페디션 국내 출시 임박, 에스컬레이드 정조준

포드 신형 익스페디션 국내 출시 임박, 에스컬레이드 정조준

포드 신형 익스페디션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포드코리아는 최근 신형 익스페디션 인증을 완료, 본격적인 출시 준비에 돌입했다. 신형 익스페디션은 풀체인지 모델로 세련된 외관과 디지털화된 실내 등이 특징이다. 3분기 중 출시될 예정이다. 익스페디션은 포드 풀사이즈 SUV로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쉐보레 타호 등이 대표적인 경쟁 모델이다. 신형 익스페디션은 5세대 풀체인지다. 신형 익스페디션은 국내에 최상위 트림인 플래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토요타 bZ 공개, 505km 주행..라브4급 전기차

토요타 bZ 공개, 505km 주행..라브4급 전기차

토요타는 bZ를 13일(현지시간) 미국에서 공개했다. bZ는 토요타가 유럽에서 판매하고 있는 전기차 bZ4x의 북미 버전이다. 다만 bZ는 bZ4x와 외관 디자인, 사양 등에서 일부 차이가 있으며, 1회 완충시 EPA 기준 최대 505km를 주행할 수 있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bZ는 토요타가 유럽 등 일부 시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bZ4x의 북미 버전이다. bZ는 단순한 리브랜딩이 아니라 스타일과 옵션, 성능 등에서 bZ4x 대비 업그레이드가 이뤄졌다. bZ는 e-TNGA 플랫폼을 기반으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아우디 e-트론 GT 기본형 공개, 타이칸보다 비싸다고?

아우디 e-트론 GT 기본형 공개, 타이칸보다 비싸다고?

아우디는 e-트론 GT 기본형을 13일(현지시간) 공개했다. e-트론 GT 기본형은 듀얼 모터를 탑재해 총 출력 503마력을 발휘하며, 105kWh 배터리로 1회 완충시 WLTP 기준 622km를 주행할 수 있다. 초급속 충전, 스포츠 시트 등이 기본 사양이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e-트론 GT 기본형은 S e-트론 GT, RS e-트론 GT, RS e-트론 GT 퍼포먼스 등 다양한 라인업을 갖춘 e-트론 GT의 엔트리 트림이다. e-트론 GT 기본형 유럽 가격은 10만8900유로(약 1억7200만원)로 S보다 대폭 저렴해졌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롤스로이스 블랙 배지 스펙터 국내 첫 선, 가격은 7억1900만원

롤스로이스 블랙 배지 스펙터 국내 첫 선, 가격은 7억1900만원

롤스로이스는 13일 블랙 배지 스펙터를 국내에서 공개했다. 블랙 배지 스펙터는 롤스로이스의 2도어 전기차 스펙터의 고성능 버전으로 듀얼 모터를 탑재해 총 출력 659마력을 발휘하며, 대담한 외관과 선명한 인테리어 요소가 특징이다. 가격은 7억1900만원부터다. 블랙 배지 스펙터는 브랜드 첫 전기차 스펙터의 고성능 모델이다. 블랙 배지 스펙터 가격은 7억1900만원부터다. 블랙 배지 스펙터는 오는 3분기부터 순차적으로 국내 고객에게 인도될 예정이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로터스 에미라 60대 한정판 공개, 비대칭 레이스카 스타일

로터스 에미라 60대 한정판 공개, 비대칭 레이스카 스타일

로터스는 에미라 클라크 에디션을 13일 공개했다. 에미라 클라크 에디션는 전설적인 레이싱 드라이버 짐 클라크를 기리기 위한 스페셜 모델로 짐 클라크가 몰았던 로터스 레이스카의 디자인 요소가 적용됐다. 에미라 클라크 에디션은 60대 한정으로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에미라 클라크 에디션은 전설적인 레이싱 드라이버 짐 클라크를 기리기 위해 짐 클라크 트러스트와 협업한 특별 모델이다. 짐 클라크는 1959년 로터스 엘리트로 르망 24시 레이스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