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세대 쉐보레 볼트 국내에서 성공하기 위한 조건은?

2세대 쉐보레 볼트 국내에서 성공하기 위한 조건은?

발행일 2015-05-30 18:11:36 김진우 기자

전기차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순수하게 플러그를 통해 전기를  충전하는 순수 전기차가 있으며 또 하나는 동력을 전달하는 전기모터 뿐만 아니라 엔진이 탑재되었는데 동력 전달이 아닌 순수 전기 발전용도로 사용되는 엔진이다. 이러한 전기차는 EREV(Extended Range Electric Vehicle)로 구분된다.

지난 5월 4일에 개최된 EVS 28(28회 세계 전기자동차 학술대회 및 전시회)에서 한국지엠 세르지오 호샤 사장은 내년에 미국에서 생산된 2세대 쉐보레 볼트를 국내 출시한다고 발표했으며 세르지오 호샤 사장은 "한국은 아직 전기차 충전소 인프라가 많이 보급되지 않아 어떻게 보면 전기차 충전 시설이 미비한 한국은 순수 전기차보다 EREV가 더 현실적인 답안."이라고 설명했다. 기자도 그 부분에 대해서는 동의하는 편이다.

하지만 쉐보레 볼트는 미국과 다르게 국내에서는 전기차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이유는 단 하나 엔진이 있기 때문에 비록 동력전달목적이 아닌 발전용 엔진이지만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전기차로 인정 받으려면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엔진 자체가 없어야 정부와 지자체의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

한국에서 전기차 구매 시 지원받는 보조금은 먼저 정부보조금이 1,500만원이며 지방자치단체별로 별도의 보조금이 300-900만원 정도 추가로 지급된다. 한국지엠이 2016년에 2세대 쉐보레 볼트가 출시된다고 공언했는데 정부보조금을 지원받지 못하는 경우 타사 전기차 모델들과 비교해서 2,000만원 이상 차이가 나게 되어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크게 불리하다.

2세대 볼트 출시까지 1년 이라는 기간이 남았지만 남은 1년은 결코 길지 않다. 한국지엠은 정부와 지자체와 빠른 협의를 통해 2세대 쉐보레 볼트를 국내 소비자들이 구매할 때 전기차 구매보조금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1세대 쉐보레 볼트 시승 후 느낀 단점

2011년 덥고 습한 장마철에 1세대 쉐보레 볼트를 서울 근교에서 시승했었다. 1세대 쉐보레 볼트는 4도어 세단 디자인이지만 리어 글라스까지 통으로 열리는 해치가 적용된 5도어 구조이며 일반적인 승용차는 5인승 시트가 적용되지만 1세대 쉐보레 볼트는 가운데 뒷좌석 자리에 리튬 이온 배터리가 적용되어 4명이 탑승할 수 있다.

1세대 쉐보레 볼트는 150마력의 힘을 내는 전기모터 그리고 최고출력 80마력의 힘을 내는 1.4L 발전용 가솔린 엔진이 탑재되었다. 특이한 점이 있다면 1세대 쉐보레 볼트는 주유 시 고급휘발유를 권장하는데 효율적인 측면에서 고급휘발유 주유를 권장하는 듯 하다.

볼트는 쉐보레 크루즈와 플랫폼을 공유하기 때문에 주행감각은 크루즈와 유사하다. 하지만 몇 가지 단점도 있었는데 1번째 배터리 전력이 떨어져 엔진이 가동될 때 소음과 진동이 가솔린 엔진 답지 않게 크게 유입되었고 2번째는 일반휘발유 대신 고급휘발유를 권장하며 3번째는 배터리 전력이 소진된 상태에서 가파른 언덕길에서 정지 후 다시 올라갈 때 상당히 힘겹게 출발한다. 일부 배기량이 낮은 일부 하이브리드 모델들이 가파른 오르막 구간에서 버겁게 올라가거나 아예 올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볼트 또한 가파른 언덕 구간에서는 힘겹게 출발하는 단점이 있다.

2세대 쉐보레 볼트는 배터리 효율성이 좋아지면서 순수 전기로 주행할 수 있는 거리가 1세대 대비 약 10% 늘어났고 발전용 엔진 배기량이 1.4L에서 1.5L 가솔린 엔진으로 증대되면서 최고출력 101마력으로 1세대 볼트와 비교해서 약 20마력 늘어났다. 그리고 1세대 볼트와 달리 옥탄가 87 이상의 레귤러 휘발유 즉 일반휘발유 주유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2세대 볼트는 기자가 나열한 1세대 볼트의 단점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아우디 신형 Q5 국내 사양 살펴보니, 에어 서스펜션은 최상위 트림만

아우디 신형 Q5 국내 사양 살펴보니, 에어 서스펜션은 최상위 트림만

아우디코리아가 신형 Q5 트림별 사양을 공개했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고효율 마일드 하이브리드 플러스 시스템 등을 탑재했다. 특히 최상위 트림은 에어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가격은 6968~7950만원이다. 아우디코리아는 지난 6일 신형 Q5 사전계약을 시작했다. 신형 Q5 사전계약은 디젤 40 TDI로 가격은 콰트로 어드밴스드 6968만원, S-라인 7557만원, S-라인 블랙 에디션 7950만원이다. 아우디코리아는 추후 가솔

오토칼럼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마세라티 그레칼레 10대 한정판 출시, 가격은 1억5190만원

마세라티 그레칼레 10대 한정판 출시, 가격은 1억5190만원

마세라티코리아는 그레칼레 네로 인피니토(Nero Infinito)를 출시한다고 16일 밝혔다. 그레칼레 네로 인피니토는 브랜드 인기 컬러 네로 템페스타와 레드의 조화로 세련미와 다이내믹함이 강조된 것이 특징이다. 10대 한정 판매되며, 가격은 1억5190만원이다. 그레칼레 네로 인피니토는 이탈리아어로 '끝없는 흑색'을 의미한다. 마세라티는 절제된 품격과 대담한 존재감을 동시에 추구하는 안목 높은 고객을 위한 맞춤 제작 프로그램 푸오리세리에를 통해 무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마이바흐 SL 모노그램 실물 첫 선, 3억원대 럭셔리 오픈카

마이바흐 SL 모노그램 실물 첫 선, 3억원대 럭셔리 오픈카

메르세데스-마이바흐는 15일(현지시간) SL680 모노그램 실차를 미국서 공개했다. 마이바흐 SL 680 모노그램은 AMG SL을 기반으로 외관과 실내 곳곳에 마이바흐 디테일이 적용됐으며, 전용 서스펜션과 배기 시스템 등이 적용됐다. 올해 하반기 국내 출시될 예정이다. 마이바흐 SL 680 모노그램은 AMG SL63을 기반으로 마이바흐 역사상 가장 스포티함이 강조된 모델이다. 마이바흐 SL 680 모노그램은 올해 하반기 국내 출시가 확정됐다.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