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대형 세단 느낌이 가미된 혼다 신형 어코드

[시승기] 대형 세단 느낌이 가미된 혼다 신형 어코드

발행일 2015-11-26 11:05:03 김진우 기자

크고 듬직하며 믿음직하다. 라는 느낌을 주는 혼다 어코드는 개인적으로 패밀리 중형 세단 중에서 기자가 가장 좋아하는 모델이다. 경쟁 모델을 예로 들면 캠리는 너무 무난하다 못해 무언가 부족한 느낌이 있었고 알티마는 운전할 때나 조수석 또는 뒷좌석 탑승할 때 어딘가 은근히 불편한 느낌을 있었으며 쏘나타, K5는 화려하지만 이내 금세 싫증나고 말리부는 주행안전성과 묵직한 느낌이 좋았지만 차를 타는 것이 아닌 차에 갇힌 느낌이 너무 강한 것이 옥의 티였다.

그렇다면 어코드는 어떨까? 올해 초 부분변경 이전 구형 어코드 3.5 모델을 시승할 당시 처음에는 딱히 마음에 들지 안았다. 인테리어 익스테리어 디자인이 너무 무난했고 운전석에 착석 후 운전해도 특별한 감흥이 없었다.

하지만 타면 탈수록 만족스러운 승차감과 편안함에 점점 감동을 받게 되었고 특히 고속도로, 국도에서 정속 주행 시 트립 기준으로 리터당 20km/l를 넘나드는 뛰어난 연비에 한번 더 감동했다. 거기에 넓은 실내공간과 조용한 정숙성이 인상 깊었다. 다만 네비게이션과 오디오 등의 조작이 불편하고 MP3로 음악을 들을 때 한글 제목이 깨지는 부분이 옥의 티였다.

그리고 최근 부분 변경된 혼다 어코드가 국내 출시되었다. 모델 라인업은 종전과 비슷하며 파워트레인 또한 큰 변동이 없다. 다만 2.4L 엔진은 직분사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이 외에도 연소효율성을 높이고 공기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유도하며 경량화 소재가 더 많이 적용되는 등 부품 개선들이 이루어졌다.

부분 변경된 어코드 무엇이 바뀌었나?

익스테리어를 보면 가장 눈에 띄는 것이 헤드램프이다. 기존 프로젝션 방식에서 LED로 변경된 헤드램프 덕택에 전력소모가 더욱 줄어들면서도 악천후에서도 시야를 더욱 확보할 수 있으며 맞은편에서 오는 운전자의 눈부심을 최소화한다.

이 외에도 인테리어 소재가 조금 더 고급스러워지고 센터페시아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켜 네비게이션이나 오디오 조작성을 높였다. 그리고 네비게이션 정보가 표시되는 스크린 컬러가 향상되고 한글이나 일본어 한자로 표기된 음악파일이 깨지지 않고 그대로 보여주게 되었다.

주행안전성 향상을 위해 바디강성이 향상되고 리어 서스펜션의 리어 너클이 커졌으며 스티어링휠 제어 로직이 개선 및 알루미늄 합금 본넷이 적용되어 보다 더 안정적인 주행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베어링 마찰계수 감소 및 공기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하여 연비향상을 도모했다. 그리고 신규 추가된 스트레이트 드라이빙 서포트 시스템은 경사진 구간에서 운전자의 조향 유지 부담을 최소화시켜 피로도를 저감했다.

3.5L 엔진을 1.8L로 줄이는 마법의 VCM

혼다 어코드 단체 미디어 시승회에 동원된 시승차는 모두 3.5L 엔진이 탑재 되었으며 부분변경 되었지만 제어로직 그리고 부품이 변경된 CVT가 적용된 어코드 2.4 모델과 다르게 어코드 3.5의 파워트레인은 변한 거 없이 그대로 탑재 되었다. 혼다코리아는 국내 판매된 어코드 중에서 2.4 모델이 8 그리고 3.5 모델이 2 정도 비율로 판매 되었다고 하는데 어코드가 가장 많이 판매되는 북미 시장에서도 비슷한 수준이다.

따라서 개인적인 바람으로는 판매량이 많은 2.4 모델을 시승하고 싶었지만 어코드 2.4 시승차가 없다고 하니 차후 개별적으로 시승할 기회 있을 때 따로 시승해 볼 예정이다.

시승 구간은 대부분 고속도로 구간이고 와인딩 로드 구간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이번 시승회에서는 코너링 안전성이나 스티어링휠 반응 브레이크 성능 등을 테스트할 수 없었다. 대신 고속도로에서 주행안전성과 풍절음 노면에서 올라오는 소음 유입 차단 수준을 알 수 있었다.

예전부터 느낀 것이지만 어코드는 동급 모델과 비교해도 승차감이 참 좋다. 특히 경쟁 모델인 토요타 캠리가 과거와 비교해서 승차감이 점점 딱딱해지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올해 초 시승한 구형 어코드보다 승차감이 미세하게 단단한 느낌이지만 과속방지턱 등을 지날 때 쇽업쇼바 그리고 두꺼운 시트쿠션 덕택에 승차감 하나는 동급 경쟁모델과 비교해서 우위에 있다고 생각된다.

V6 3.5L 엔진 최고출력 최대토크 스펙은 구형과 동일하기 때문에 주행감각이나 가속력 등은 종전 구형 모델과 비슷하다. 하지만 정속 주행할 때 3개의 실린더만 사용하는 VCM 덕택에 급 가속을 사용하지 않으면 연비는 리터당 20km/l가까이 올라간다. 참고로 구형 어코드는 VCM 활성화 상태에서는 약간의 진동이 동반하는데 반해 이번에 시승한 신형 어코드는 진동조차 없었다. 아마 엔진 마운트 위치를 변경하거나 재질이 변경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조금 더 단단해진 서스펜션 그리고 공기 흐름 개선 등으로 고속 주행안전성은 조금 더 향상되었다. 시속 210km/h에서 속도제한에 걸리는데 속도제한 없었다면 250km/h 이상 자력으로 낼 수 있을 거라 생각되지만 어코드는 엄연한 뒷좌석을 배려한 패밀리 세단이지 고속주행용 모델은 아니다.

신형 어코드는 구형 대비 섀시 및 편의사양이 보강되고 LED 헤드램프가 적용 되면서 조금 더 화려해졌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언제 어느 상황에서도 편안함에 우선한 패밀리 세단이고 북미에서 내구성 1위를 차지한 모델인 만큼 내구성은 검증 받은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승차감은 구형 대비 단단하지만 그래도 동급 모델과 비교해서 우위에 있고 실내공간이 넓다는 점도 어코드의 장점이라고 볼 수 있겠다.

혼다 어코드 국내 판매가격은 2.4 모델이 3,490만원 3.5 모델이 4,190만원 이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르노4 2인승 밴 공개, 스타일까지 갖춘 전기 상용차

르노4 2인승 밴 공개, 스타일까지 갖춘 전기 상용차

르노는 르노4 2인승 밴을 22일 공개했다. 르노4 2인승 밴은 르노 콤팩트 전기차 르노4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심형 상용차로 1회 완충시 WLTP 기준 최대 413km 주행거리와 1405ℓ의 트렁크 공간, 최대출력 150마력 전기모터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르노4 2인승 밴은 르노 차세대 전기차 르노4를 기반으로 한다. 르노4는 1960년대 오리지널 르노4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콤팩트 모델이다. 르노4는 르노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AmpR 스몰 플랫폼을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크라이슬러 퍼시피카 그리즐리 피크 공개, 오프로드 캠핑카

크라이슬러 퍼시피카 그리즐리 피크 공개, 오프로드 캠핑카

크라이슬러는 퍼시피카 그리즐리 피크(Pacifica Grizzly Peak)를 22일 공개했다. 퍼시피카 그리즐리 피크는 오프로드 주행과 차박에 최적화된 콘셉트카로 전용 서스펜션과 보디킷, 루프랙 등을 갖췄다. 실내는 평평한 트렁크 공간이 구현됐다. 양산은 미정이다. 퍼시피카 그리즐리 피크는 크라이슬러의 대표 미니밴 퍼시피카 기반 콘셉트카다. 퍼시피카 그리즐리 피크는 미니밴으로 가족과 함께 오프로드 주행과 차박을 함께 즐기는 고객의 피드백을 받기 위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BYD코리아, BYD Auto 김포 전시장 오픈..서비스 강화

BYD코리아, BYD Auto 김포 전시장 오픈..서비스 강화

BYD코리아가 김포시 풍무동에 BYD Auto 김포 전시장을 새롭게 오픈하며 경기 서부권 고객을 위한 서비스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BYD Auto 김포 전시장은 437㎡(약 132평) 규모로, 최대 6대의 BYD 차량을 동시에 전시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추고 BYD 모델들을 한눈에 비교하고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올해 1월 승용 브랜드 출범 이후 브랜드 신뢰도 제고 및 고객 편의성 향상을 최우선 과제로 고객의 브랜드 경험 확대에 노력해 온 BYD코리아는 이번 김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지프 신형 체로키 공개, 1.6 터보 하이브리드 탑재

지프 신형 체로키 공개, 1.6 터보 하이브리드 탑재

지프는 신형 체로키를 22일 공개했다. 신형 체로키는 6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과거 1980년대 체로키에서 영감을 얻은 각진 실루엣과 전면부 디자인이 특징이며, 1.6리터 4기통 가솔린 터보 엔진 기반 풀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이 도입됐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신형 체로키는 6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체로키는 올해 말 미국에서 리미티드와 오버랜드 트림 판매가 시작된다. 2026년 엔트리 트림이 도입된다. 신형 체로키의 국내 투입은 미정인데, 구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폴스타4 2026년형, 승차감과 2열 거주성 인상적

[시승기] 폴스타4 2026년형, 승차감과 2열 거주성 인상적

폴스타 2026년형 폴스타 4를 시승했다. 2026년형 모델은 가격을 동결하고, 나파 가죽 옵션 가격을 내려 실구매가를 내린 것이 특징이다. 또한 물리 버튼 스티어링 휠과 감광형 글래스 루프를 도입한는 등 기존 고객들의 목소리에 귀기울인 개선을 통해 완성도를 높여 상품성을 개선했다. 폴스타 4 2026년형은 지난 7월부터 출고가 시작됐다. 제원상 특이점으로는 기존 폴스타 4 듀얼모터의 22인치 휠 기준 인증 주행거리(395km)를 20~21인치(455km)와 22인치(395km)

수입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제네시스 GV60 마그마 출시 임박, 고급스러운 드라이빙 머신

제네시스 GV60 마그마 출시 임박, 고급스러운 드라이빙 머신

제네시스 GV60 마그마의 개발 방향성이 공개돼 주목된다. 해외 자동차 전문매체 탑기어에 따르면 GV60 마그마는 현대차 아이오닉5 N보다 더욱 정교하고 고급스러움이 강조된다. GV60 마그마는 제네시스의 고성능 '마그마'의 첫 양산차로 올해 하반기에 공개된다. 제네시스 마그마는 제네시스의 고성능 영역 브랜드 확장 의지를 담았다. 제네시스 마그마는 퍼포먼스와 럭셔리를 지향한다. 제네시스 마그마는 현재 라인업을 기반으로 품질과 성능이 극대화된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PV5 보조금 최대 '1150만원' 확정, 카고 실구매 2700만원대

기아 PV5 보조금 최대 '1150만원' 확정, 카고 실구매 2700만원대

기아 PV5 국고보조금이 확정됐다. EV 누리집에 따르면 PV5 국고보조금은 패신저 468만원, 카고 최대 1150만원으로 책정됐다. PV5는 브랜드 최초의 전동화 전용 PBV로 넓은 실내 공간 및 화물 공간과 1회 완충시 주행거리 최대 377km, PBV 특화 사양을 갖췄다. PV5 가격은 친환경차 세제혜택 후 기준 패신저 5인승 베이직 4540만원, 플러스 4820만원이다. PV5 카고 롱은 베이직 스탠다드 4200만원, 롱레인지 4470만원이다. 국고보조금은 패신저가 승용으로 분류돼 468만원, 카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포르쉐 신형 911 GT3 출시, 가격은 2억7170만원

포르쉐 신형 911 GT3 출시, 가격은 2억7170만원

포르쉐코리아는 신형 911 GT3를 출시한다고 22일 밝혔다. 신형 911 GT3는 911 부분변경의 고성능 버전으로 4.0리터 자연흡기 박서 엔진을 탑재해 최고출력 510마력을 발휘한다. 특히 일상 주행에 최적화된 투어링 패키지가 처음으로 도입됐다. 가격은 2억7170만원이다. 신형 911 GT3와 신형 911 GT3 투어링 패키지의 가격은 2억7170만원으로 같다. 신형 911 GT3 투어링 패키지는 국내에는 처음 도입되는 트림으로 고성능 퍼포먼스와 일상 속 라이프스타일의 완벽한 결합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신형 셀토스 램프류는 이런 모습, 대대적인 변신 '주목'

기아 신형 셀토스 램프류는 이런 모습, 대대적인 변신 '주목'

기아 신형 셀토스 테스트카가 포착됐다. kindelauto가 인스타그램(Instagram)에 게재한 신형 셀토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독특하게 디자인된 전면부 주간주행등과 기아 EV5와 유사한 리어램프, 하이브리드 등이 특징이다. 신형 셀토스는 내년 상반기에 출시된다. 셀토스는 2019년 국내에 출시된 소형 SUV로 동급 대비 큰 차체와 상품성을 앞세워 최다 판매량 기록을 세우는 등 흥행에 성공했다. 특히 셀토스는 지난해 미국에서 약 6만대가 판매되는 등 미국과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