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시승기]시내 주행이 하이브리드 대형세단 렉서스 ES300h

[간단시승기]시내 주행이 하이브리드 대형세단 렉서스 ES300h

발행일 2015-09-09 00:42:31 탑라이더

렉서스 ES는 아직 독일 럭셔리 3사 브랜드의 자동차 모델을 구매하기 부담스러운 시기였던 2010년 이전만 해도 렉서스는 성공한 중산층과 부유층을 상징한 브랜드였고 특히 ES는 서울 강남 일대에서 흔하게 보이면서 렉서스 ES는 '강남쏘나타'라는 별명이 붙었다.

한국토요타가 렉서스 ES 모델을 두고 '강남쏘나타'라는 별명을 좋아하는지 알 수 없지만 그만큼 렉서스는 과거 우리나라에서 럭셔리 브랜드로 인정 받았고 지금도 조용하면서 편안한 드라이빙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브랜드이다.

하지만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차 업체들이 연비가 뛰어난 디젤 승용차를 전면에 배치하면서 높은 연비를 원하는 소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고 렉서스에 만족 못하는 사람들이 브랜드 밸류가 더 높은 독일 3사 업체들의 자동차 모델 판매량을 적극적으로 구매하기 시작하면서 렉서스는 상대적으로 소외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렉서스는 국내에서 선호도가 높은 디젤 엔진 도입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가솔린 그리고 시내 주행에서도 디젤을 능가하는 하이브리드 모델 라인업을 확대하면서 최근 다시 렉서스의 판매량이 높아지고 있다. 렉서스는 2015년 1월부터 8월 까지 렉서스는 국내에서 4,519대를 판매 3,871대를 판매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판매량이 소폭 증가했다.

2016년형 렉서스 ES 300h

2012년 하반기에 출시된 6세대 렉서스 ES가 올해 9월 페이스리프트 모델을 국내 도입했다. 2016년형 ES는 더 커진 스핀들 그릴, 알파벳 L을 형상화한 리어램프가 적용되고 탑승자가 고급감을 더욱 느낄 수 있도록 인테리어 디자인과 재질을 개선했다. 또한 구조용 접착제를 더 많이 적용해 바디강성을 강화했는데 보통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구조용 접착제 도포 등을 포함해서 기본적인 바디구조 설계는 변경하지 않는 점을 감안하면 렉서스 ES 변화폭은 크다고 볼 수 있다.

렉서스가 한참 많이 판매되었던 2010년 이전 ES는 주로 V6 3.0-3.5L 엔진을 탑재한 가솔린 모델이 주로 판매되었지만 자동차 연비가 자동차를 구매하는 결정적인 요소로 올라가면서 렉서스 하이브리드 모델들이 국내에서 주목을 받게 되었고 이번 미디어 시승회에서도 하이브리드 모델인 ES 300h 시승차들이 준비되었다.

ES 300h 파워트레인은 예전 모델의 것을 그대로 가져왔다. 최고출력 158마력 2.5L 가솔린 엔진 그리고 최고출력 143마력을 내는 전기모터가 결합되어 총 시스템 출력 203마력을 낸다. 구형모델과 비교 시 시스템 출력은 3마력 높아졌지만 엔진과 전기모터가 내는 파워는 구형과 동일한 걸 봐서 하이브리드 로직 시스템이 약간 변경된 듯 하다.

연비는 구형과 동일한 복합기준 16.4km/l이며 토요타 고유의 THS 하이브리드 시스템 특성상 시내 주행에서 높은 연비를 내지만 ES 300h는 도심 기준으로 16.1km/l 고속도로 주행연비 16.7km/l를 인증 받아 고속도로 연비가 근소하게 높다. 이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은 렉서스 NX, 토요타 캠리 등에도 탑재된다.

파워트레인 변경이 없기 때문에 연비가 구형보다 특별히 뛰어나진 않다. 개선점이 없는 것이 아니고 구형 ES 300h 연비가 워낙 뛰어나기 때문이다. 하이브리드 모델이기 때문에 국도, 고속도로 위주 구간에서 전기모터 개입시기와 연비 등을 신경 쓰면서 발끝을 조절하며 시승하기도 했지만 엑셀레이터 페달을 끝까지 밟으며 힘과 가속력을 체크하는 등 가혹한 운전도 했지만 연비는 트립 기준으로 17.6km/l를 기록했다.

2016년형 렉서스는 디자인 변경 및 소재를 고급스럽게 적용한 것 이외에 구조접착제 확대 적용으로 바디강성이 향상 되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 몸으로 체감하기 힘든 요소이다. 다만 개선된 쇽업쇼버 덕택에 과속방지턱과 요철 구간에서도 승차감을 최대한 살리는 편안함은 ES 300h의 또 다른 장점이라 생각된다.

스포츠주행을 고려한 GS와 다르게 ES는 부드러운 주행감각과 편안함에 치중한 모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서스펜션이 부드럽다. 따라서 시내주행이 많다면 편안하고 시내 연비가 뛰어난 ES 300h가 확실히 메리트 있다고 본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시승기] 렉서스 ES300h 2026년형, 한국에서 10만대 팔린 이유

[시승기] 렉서스 ES300h 2026년형, 한국에서 10만대 팔린 이유

렉서스 ES 300h 익스클루시브를 시승했다. ES 300h 2026년형은 전면부 그릴에 실버 컬러를 적용하고, 로커패널에 크롬 몰딩을 추가해 고급감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ES 300h는 해당 세그먼트에서 고급감, 승차감, 디자인, 연비 등 고급 세단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를 여전히 만족시킨다. 렉서스 ES는 지난 2024년 6월 누적 판매량 10만대를 돌파했다. 2001년 4세대 렉서스 ES가 한국에 선보인 이후 2022년부터 2년간 수입차 베스트셀링카, 2013~2022년 9년간 하이브리드

수입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포르쉐 카이맨 GT4 RS 한정판 공개, 화려한 오렌지 컬러 '주목'

포르쉐 카이맨 GT4 RS 한정판 공개, 화려한 오렌지 컬러 '주목'

포르쉐는 카이맨 GT4 RS 한정판을 25일 공개했다. 카이맨 GT4 RS 한정판은 네덜란드에서 '튤립'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만타이 키트가 적용됐으며, 네덜란드의 레이싱 컬러인 파스텔 오렌지로 마감됐다. 출력은 500마력으로 향상됐다. 단 한대만 특별 제작됐다. 카이맨 GT4 RS 한정판은 포르쉐 익스클루시브 매뉴팩처와 존더분쉬, 독일의 모터스포츠 전문 업체인 만타이(Manthey) 레이싱의 협업으로 탄생했다. 카이맨 GT4 RS 한정판은 단 한대만 특별 제작됐으며,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벤츠 S클래스 450 4MATIC 출시, 가격은 1억5960만원

벤츠 S클래스 450 4MATIC 출시, 가격은 1억5960만원

벤츠코리아는 S450 4MATIC을 출시한다고 26일 밝혔다. S450 4MATIC은 S클래스 스탠다드 휠베이스의 신규 트림으로 오너 드리븐에 최적화된 휠베이스 및 스포티한 디테일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파워트레인은 3.0리터 직렬 6기통 엔진이다. 가격은 1억5960만원이다. S450 4MATIC은 S클래스 스탠다드 휠베이스에 도입된 신규 트림이다. 가격은 1억5960만원이다. 벤츠코리아는 가솔린 모델인 S450 4MATIC을 새롭게 추가해 기존 S350d 4MATIC 디젤 모델 단일 트림으로 운영됐던 S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토요타 bZ 미국서 4800만원대, 현대차 아이오닉5보다 싸다

토요타 bZ 미국서 4800만원대, 현대차 아이오닉5보다 싸다

토요타는 bZ의 가격을 공개하고 미국 판매를 25일 시작했다. bZ는 토요타 라브4급 전기 SUV로 1회 완충시 EPA 기준 최대 512km를 주행할 수 있다. 14인치 터치 스크린과 최신 ADAS 등이 기본이다. 가격은 3만4900달러(약 4800만원)부터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bZ는 기존 토요타 bZ4X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차명이 변경됐다. 국내 도입은 미정이다. bZ는 스타일과 옵션, 성능 등에서 대대적인 업그레이드가 이뤄졌는데, 시작 가격은 오히려 낮아졌다. bZ 가격은 3만490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아우디 신형 Q3 스포트백 공개, 매끈한 쿠페 스타일

아우디 신형 Q3 스포트백 공개, 매끈한 쿠페 스타일

아우디는 신형 Q3 스포트백을 25일 공개했다. 신형 Q3 스포트백은 3세대 Q3 기반 쿠페형 SUV로 공기저항을 고려해 디자인된 매끈한 외관, 디지털 매트릭스 LED 헤드램프 등 아우디 최신 사양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신형 Q3 스포트백의 국내 도입은 미정이다. 신형 Q3 스포트백은 3세대 Q3 기반 쿠페형 SUV다. 신형 Q3 스포트백은 오는 11월 유럽부터 판매가 시작된다. 신형 Q3 스포트백과 신형 Q3의 국내 도입은 미정인데, 기존 Q3 스포트백과 Q3가 국내에서도 판매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혼다 CR-V 하이브리드, 실연비와 주행성능 인상적

[시승기] 혼다 CR-V 하이브리드, 실연비와 주행성능 인상적

혼다 CR-V 하이브리드 2WD를 시승했다. 6세대 모델인 CR-V 하이브리드는 중형급에 준하는 커진 차체와 적재공간, 그리고 스포티한 외관 디자인이 특징이다. 특히 2-모터 하이브리드를 통한 높은 실연비와 함께 혼다 고유의 스포티한 주행성능, 안전성, 최신 모델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혼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효율성과 주행감성을 함께 높이는 쪽으로 진화했다. 최신 모델인 11세대 어코드 하이브리드와 6세대 CR-V 하이브리드에는 4세대 2-모터 하이브

수입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르노4 2인승 밴 공개, 스타일까지 갖춘 전기 상용차

르노4 2인승 밴 공개, 스타일까지 갖춘 전기 상용차

르노는 르노4 2인승 밴을 22일 공개했다. 르노4 2인승 밴은 르노 콤팩트 전기차 르노4를 기반으로 제작된 도심형 상용차로 1회 완충시 WLTP 기준 최대 413km 주행거리와 1405ℓ의 트렁크 공간, 최대출력 150마력 전기모터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르노4 2인승 밴은 르노 차세대 전기차 르노4를 기반으로 한다. 르노4는 1960년대 오리지널 르노4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콤팩트 모델이다. 르노4는 르노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AmpR 스몰 플랫폼을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크라이슬러 퍼시피카 그리즐리 피크 공개, 오프로드 캠핑카

크라이슬러 퍼시피카 그리즐리 피크 공개, 오프로드 캠핑카

크라이슬러는 퍼시피카 그리즐리 피크(Pacifica Grizzly Peak)를 22일 공개했다. 퍼시피카 그리즐리 피크는 오프로드 주행과 차박에 최적화된 콘셉트카로 전용 서스펜션과 보디킷, 루프랙 등을 갖췄다. 실내는 평평한 트렁크 공간이 구현됐다. 양산은 미정이다. 퍼시피카 그리즐리 피크는 크라이슬러의 대표 미니밴 퍼시피카 기반 콘셉트카다. 퍼시피카 그리즐리 피크는 미니밴으로 가족과 함께 오프로드 주행과 차박을 함께 즐기는 고객의 피드백을 받기 위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BYD코리아, BYD Auto 김포 전시장 오픈..서비스 강화

BYD코리아, BYD Auto 김포 전시장 오픈..서비스 강화

BYD코리아가 김포시 풍무동에 BYD Auto 김포 전시장을 새롭게 오픈하며 경기 서부권 고객을 위한 서비스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BYD Auto 김포 전시장은 437㎡(약 132평) 규모로, 최대 6대의 BYD 차량을 동시에 전시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추고 BYD 모델들을 한눈에 비교하고 체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올해 1월 승용 브랜드 출범 이후 브랜드 신뢰도 제고 및 고객 편의성 향상을 최우선 과제로 고객의 브랜드 경험 확대에 노력해 온 BYD코리아는 이번 김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