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BMW X2, 승차감과 정숙성 높여 패밀리카로

[시승기] BMW X2, 승차감과 정숙성 높여 패밀리카로

발행일 2024-04-11 00:41:46 이한승 기자

BMW 신형 X2 xDrive20i M 스포츠 패키지를 시승했다. 신형 X2(U10)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완전한 쿠페형 SUV 스타일로 변경됐다. 엔트리급 모델이지만 최신 BMW의 사양을 모두 탑재하고 있어 매력적이며, 비교적 좋은 승차감과 정숙성을 통해 패밀리카도 가능하다.

BMW의 차세대 신차 라인업이 속속 출시되고 있다. BMW는 내연기관과 배터리 전기차를 함께 수용하는 범용 플랫폼을 사용하는 것으로 신차 라인업 전략을 정했는데, 순수 배터리 전기차 판매 성장세가 주춤하고 있는 2024년 상반기 현 시점에서 옳은 선택으로 보여진다.

한 예로 BMW는 내연기관차와 전기차가 동일한 차체와 디자인을 사용한 5시리즈와 i5, 7시리즈와 i7을 판매하고 있으며, 메르세데스-벤츠는 S클래스와 EQS, E클래스와 EQE로 모델 라인업을 완전히 구분했다. 벤츠가 EQ 브랜드 전략 수정을 공표한 만큼 BMW의 우세승이다.

BMW X2는 기존 1세대 X2의 상품 전략을 수정해 2세대 모델은 시장이 원하는 쿠페형 SUV로 진화했다. 신규 플랫폼과 쿠페형 루프라인을 구현하기 위해 리어 오버행을 중심으로 전장을 195mm나 늘렸다. 전폭 5mm, 전고 65mm, 휠베이스 20mm 등 차체는 소폭 커졌다.

BMW코리아는 신형 X2 xDrive20i 이후 하반기 고성능 모델 M35i, 전기차 iX2를 선보일 예정이다. 먼저 선보인 X2 xDrive20i는 MSP(M Sport Package) 단일 트림이다. 6830만원의 가격이 다소 부담스러울 수 있는데, 풀패키지에 가까운 사양으로 옵션에서의 아쉬움이 적다.

먼저 그릴에 조명이 점등되는 아이코닉 글로우, 최신 LED 헤드램프, 커브드 디스플레이, 티맵 지원 헤드업 디스플레이, 전동식 트렁크, OS9과 티맵 기반 내비게이션, 최신 운전자보조, 그리고 완전자동주차를 지원하는 파킹 어시스턴트 플러스가 기본이다. 통풍시트는 빠진다.

내외관 디자인은 만족감이 크다. BMW가 기존 X1, X2의 디자인이나 고급감에서 프리미엄 브랜드답지 않은 모습을 보여줬다면, 이번 세대에서는 고급감을 상당히 끌어올렸다. 외관에서는 일체형 도어핸들이나 4-아이즈 어댑티브 LED 헤드램프 등 최신 패밀리룩을 담았다.

실내는 커브드 디스플레이와 새로운 디자인의 스티어링 휠이 분위기를 주도한다. 스포티한 모델인 만큼 레드컬러의 투톤시트와 일체감이 좋다. 실내 소재를 살펴보면 대시보드 상단 등 매끈한 부분은 벤츠의 경쟁차와 유사한 재질인데, 부분적으로 고급화 요소를 추가했다.

실내는 컴팩트 모델로는 비교적 여유로운 공간을 확보했다. 이제는 엔트리 모델도 패밀리카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전반적으로 대형화가 진행됐다. 2열 헤드룸은 예상보다 여유로운데, 완만한 루프라인과 함께 리어쪽 힙 포인트를 위로 끌어올려 쿠페형 스타일을 연출했다.

X2의 전장 4555mm는 X1의 4445mm와 비교해도 110mm 길다. 완만한 루프를 확보하기 위함으로 리어 오버행이 길어진만큼 전장이 길어졌다. 때문에 쿠페형 SUV 중에서는 큰 560리터다. BMW의 쿠페형 SUV, SAC 디자인에서 후면부를 완전히 다르게 가는 점은 긍정적이다.

X2 xDrive20i MSP에는 2.0리터 4기통 터보엔진과 7단 듀얼클러치 변속기, xDrive 사륜구동을 통해 최고출력 204마력(5000-6500rpm), 최대토크 30.6kgm(1450-4500rpm)다. 공차중량 1720kg, 100km/h 가속 7.4초, 최고속도 231km/h, 연비 10.8km/ℓ(도심 9.4, 고속 13.1)다.

운전석의 시트포지션은 완연한 소형 SUV 구성이다. 디자인만으로는 X2가 X1 대비 전고가 월등히 낮아보이는데, 제원상 수치는 -10mm 줄었다. M 서스펜션을 제외하면 사실상 동일해 1열 공간에서의 착좌감과 공간감은 같다. 쿠페형 스타일을 위해 희생되지 않아 반갑다.

정차시 소음과 진동은 동급에서 가장 조용한 수준이다. BMW의 20i 가솔린 엔진은 직분사 엔진 중에서도 유독 정숙성에서 좋은 느낌을 전한다. 번외로 실연비면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이는데, 자유로 기준 일상주행에서 20km/ℓ 전후를 쉽게 기록해 경험할 수록 신기하다.

중저속에서의 승차감은 부드러운 편이다. 과거의 M 서스펜션을 생각하면 전혀 다른 셋업이다. 어댑티브 M 서스펜션의 적용을 통해 컴포트 모드에서도 부드러운데, 익스트림 모드에서도 크게 단단하지 않다. 다만 댐퍼를 보다 단단하게 조율해 불필요한 움직임을 줄여준다.

204마력의 엔진은 풀가속에서도 마일드하게 속도를 높여주는데, 의외로 최고속도 부근까지 쉬지 않고 가속을 이어간다. 중고속 영역의 주행안정감은 좋은 편이지만 특별히 인상적이지는 않은데, 최고속도 부근에서도 이같은 감각이 이어져 안정적인 감각이 꾸진히 유지된다.

급격한 코너에서 한계 속도는 높지 않지만, 예측 가능한 리니어한 움직임을 보여준다. 평범한 속도에서 궤적을 벗어나기 시작하는데, 보다 좋은 그립의 타이어를 선택하면 만족감이 좋겠다. 컨티넨탈 에코콘택트6 출고용의 성격은 그립이 살짝 좋은 사계절 타이어 수준이다. 

드라이빙 어시스턴스 프로페셔널 적용으로 어댑티브 크루즈컨트롤 선택시 차선유지 면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 해상도 좋은 디스플레이와 BMW 라인업이 동일한 그래픽을 사용해 엔트리 모델의 아쉬움이 없다.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중앙 모니터는 다소 작은 버전이다.

X2의 단점을 나열해보면 블라인드만 지원되는 고정형 선루프, 1열 통풍시트 부재, 평범한 사운드 시스템, 부분적으로 보여지는 저렴한 내장재, 인조가죽시트 등 친환경을 위한 변화가 일부 포함된다. 317마력 X1 M35i와 204마력 X2 20i의 가격차이가 320만원에 불과하다.

BMW X2는 디자인과 완성도에서 높은 만족감을 전해준다. 특히 주차라인까지 인식해 완전 자동주차에 다가선 파킹 어시스턴트 플러스는 반드시 경험하길 추천한다. 수십년간 이어진 대형화로 커진 차량들 사이에서 누군가에게 베이비 X6가 필요하면 신형 X2가 솔루션이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