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혼다 어코드&CR-V, 하이브리드가 주는 운전재미

[시승기] 혼다 어코드&CR-V, 하이브리드가 주는 운전재미

발행일 2024-04-22 01:40:48 이한승 기자

혼다 11세대 어코드 하이브리드와 6세대 CR-V 하이브리드를 시승했다. 혼다의 독자적인 4세대 2-모터 시스템이 탑재된 이들 모델은 타사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달리 효율성과 함께 적극적인 운전재미를 연출하는 것이 특징으로, 본격적인 전동화 시대에 주목할 만 하다.

혼다는 최근 신차를 발표하며 상위 트림에만 하이브리드 구동계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동일한 차종에서 중하위 트림은 내연기관으로, 상위 트림에는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을 적용한 것으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완성도가 내연기관을 앞선다는 것에 대한 자신감이기도 하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모델 라인업에서도 하위 트림에는 내연기관이, 상위 트림에는 하이브리드가 적용된다. 상위 트림에서는 다양한 옵션과 하이브리드 구동계가 함께 적용된다. 미국내 트림 전략과 동일한 방식인데, 이런 이유로 하이브리드 모델 가격대가 다소 높아졌다.

혼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2013년 1세대 기본 기술 확립과 함께 어코드에 탑재된 것을 시작으로 누구보다 빠르게 발전을 이어왔다. 고출력, 패키징, 고효율화를 방향성으로, 현재 탑재되는 4세대 시스템은 조건에 따라 직렬식과 병렬식을 자동 전환해 완성도를 높였다.

4세대 2-모터 시스템은 EV 드라이브와 하이브리드 드라이브의 2가지 모터 주행을 통해 전기차와 유사한 주행감각을 전한다. 반면 고속 크루즈 주행시에는 엔진과 구동축이 클러치로 직접 연결돼 내연기관차처럼 가속하는 감각이다. 여기에 전기모터는 터보처럼 힘을 더한다.

이같은 혼다의 하이브리드 구동계는 일상주행에서는 전기모터를 통해 매끄러운 주행감각을, 적극적인 주행에서는 내연기관차의 스포티한 감각을 함께 전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혼다 특유의 견고한 저중심 섀시 설계와 낮은 시트포지션, 조향감은 운전재미를 살려준다.

먼저 시승한 모델은 혼다 11세대 어코드 하이브리드다. 어코드는 지난 2008년 8세대 어코드가 수입차 판매 1위를 기록하는 등 국내에서 무척이나 친숙한 모델이다. 11세대 어코드는 낮고 와이드한 외관 디자인이 인상적이다. 마치 유럽산 후륜구동 세단과 같은 비율이다.

면과 선을 강조한 외관 디자인은 오랜 시간이 지나도 질리지 않는 멋을 만들어낸다. 경쟁 모델인 토요타 캠리가 과감한 선을 강조한 것과는 다른 표현 방식이다. 신형 어코드는 전장 4970mm, 전폭 1860mm, 전고 1450mm, 휠베이스 2830mm의 대형급 차체로 진화했다.

실내에서는 낮고 안정적인 시트포지션과 여유로운 2열 레그룸이 인상적이다. 최근 유럽산 세단조차 1열 시트포지션이 높아지고 있는데, 어코드는 동급에서 가장 낮은 편으로, 장거리 주행시 안정적이다. 2열은 적당한 등받이 기울기와 넓은 공간으로 거주성이 좋은 편이다.

파워트레인은 2.0리터 4기통 직분사 앳킨슨 엔진을 통해 최고출력 147마력, 최대토크 18.4kgm, 2개의 전기모터는 최고출력 184마력, 최대토크 34.0kgm를 발휘한다. e-CVT는 변속기 역할을 대신한다. 공차중량 1605kg, 국내 복합연비 16.7km/ℓ(도심 17.0, 고속 16.2)다.

일상주행에서의 승차감은 부드럽지만 탄탄한 감각이다. 과속방지턱이나 도로 요철을 넘는 감각이 고급스러운 최신 모델다운 모습이다. 발진시 전기모터로 구동돼 중저속에서는 전기차같은 모습이다. 엔진이 가동돼도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아 진동이 전달되지 않는다.

적극적인 주행에서는 엔진이 가동되며 내연기관차 같은 면모를 드러낸다. 특히 풀가속시에는 인위적인 변속감과 엔진 회전 상승감을 연출하는데, 사전 정보가 없었다면 알아채기 어려운 완성도다. 저중심 섀시와 하이브리드 유닛은 스포츠세단의 감각을 제대로 살려냈다.

테스트 주행을 위한 가감속을 포함해도 예상주행거리는 930km 수준을 기록한다. 48.5리터의 연료탱크를 고려하면 대단한 수치다. 운전자 보조장치는 어댑티브 크루즈컨트롤과 차선유지보조, 정차와 재출발을 지원하는 타입, 트래픽 잼 어시스트를 통해 정체시도 유용하다.

혼다 CR-V 하이브리드는 6세대로 진화한 최신 모델이다. CR-V 역시 국내에서 대단한 판매량을 기록했던 모델로, 현재에도 도로에서는 2000년대 3세대 모델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6세대 CR-V는 직선과 면을 강조해 단단한 분위기와 함께 젊고 스포티한 인상이다.

전면부는 수평으로 길어진 보닛과 수직으로 떨어지는 그릴, 그리고 슬림한 LED 헤드램프를 통해 상어 코가 연상되는 날렵한 분위기를 전한다. 전장 4705mm, 전폭 1865mm, 전고 1690mm, 휠베이스 2700mm의 차체는 전작 대비 차체를 키워 2열 레그룸이 꽤나 여유롭다.

실내는 수평형 대시보드를 중심으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됐다. 스티어링 휠이 운전자 가슴 방향으로 향하는 시트포지션은 SUV 고유의 운전시야를 확보하면서도 세단처럼 안정적이다. 장거리 운전시 피로감을 낮춰주는 요소다. 시트포지션은 혼다가 잘하는 부분 중 하나다.

신형 CR-V 하이브리드에는 2.0리터 4기통 앳킨슨 사이클 엔진으로 최고출력 147마력, 최대토크 18.6kgm, 전기모터는 184마력, 34.1kgm, e-CVT와 조합된다. 합산 최고출력은 204마력이다. 19인치 휠 기준 공차중량 1740kg, 국내 복합연비 15.1km/ℓ(도심 15.8, 고속 14.4)다.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과 진동은 효과적으로 차단됐다. NVH 성능 향상을 위해 흡차음재를 확대하고, 액티브 노이즈 컨트롤을 통해 소음에 대한 역위상 소리로 상쇄한다. 신형 CR-V는 가속력이 상당히 좋아졌다. 강화된 전기모터와 리드미컬한 변속감으로 정지가속은 8초대다.

승차감은 부드럽지만 탄탄한 유럽산 SUV의 감각을 보여준다. 신형 CR-V의 가장 인상적인 부분으로 여유로운 한계 성능의 섀시와 댐퍼로 구성된 럭셔리 브랜드의 주행감을 연출한다. 고속주행시 안정감은 물론 고속으로 코너를 주파하는 상황에서의 로드 홀딩도 뛰어났다.

어코드 하이브리드와 CR-V 하이브리드의 상품성은 정점에 도달했다. 2-모터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견고한 섀시와 함께 효율성은 물론 스포티한 주행감각까지 챙겼다. 직선을 강조한 디자인과 신뢰성 높은 구동계를 통해 오랜 시간 소유해도 만족감이 좋을 모델로 생각된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아우디 신형 Q5 국내 사양 살펴보니, 에어 서스펜션은 최상위 트림만

아우디 신형 Q5 국내 사양 살펴보니, 에어 서스펜션은 최상위 트림만

아우디코리아가 신형 Q5 트림별 사양을 공개했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고효율 마일드 하이브리드 플러스 시스템 등을 탑재했다. 특히 최상위 트림은 에어 서스펜션을 제공한다. 가격은 6968~7950만원이다. 아우디코리아는 지난 6일 신형 Q5 사전계약을 시작했다. 신형 Q5 사전계약은 디젤 40 TDI로 가격은 콰트로 어드밴스드 6968만원, S-라인 7557만원, S-라인 블랙 에디션 7950만원이다. 아우디코리아는 추후 가솔

오토칼럼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마세라티 그레칼레 10대 한정판 출시, 가격은 1억5190만원

마세라티 그레칼레 10대 한정판 출시, 가격은 1억5190만원

마세라티코리아는 그레칼레 네로 인피니토(Nero Infinito)를 출시한다고 16일 밝혔다. 그레칼레 네로 인피니토는 브랜드 인기 컬러 네로 템페스타와 레드의 조화로 세련미와 다이내믹함이 강조된 것이 특징이다. 10대 한정 판매되며, 가격은 1억5190만원이다. 그레칼레 네로 인피니토는 이탈리아어로 '끝없는 흑색'을 의미한다. 마세라티는 절제된 품격과 대담한 존재감을 동시에 추구하는 안목 높은 고객을 위한 맞춤 제작 프로그램 푸오리세리에를 통해 무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마이바흐 SL 모노그램 실물 첫 선, 3억원대 럭셔리 오픈카

마이바흐 SL 모노그램 실물 첫 선, 3억원대 럭셔리 오픈카

메르세데스-마이바흐는 15일(현지시간) SL680 모노그램 실차를 미국서 공개했다. 마이바흐 SL 680 모노그램은 AMG SL을 기반으로 외관과 실내 곳곳에 마이바흐 디테일이 적용됐으며, 전용 서스펜션과 배기 시스템 등이 적용됐다. 올해 하반기 국내 출시될 예정이다. 마이바흐 SL 680 모노그램은 AMG SL63을 기반으로 마이바흐 역사상 가장 스포티함이 강조된 모델이다. 마이바흐 SL 680 모노그램은 올해 하반기 국내 출시가 확정됐다.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