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신형 캠리 2025년형, 완성도와 거주성 향상

[시승기] 신형 캠리 2025년형, 완성도와 거주성 향상

발행일 2024-12-18 02:59:26 이한승 기자

토요타 2025년형 캠리 하이브리드 XLE 프리미엄을 시승했다. 신형 캠리는 9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새로운 내외관 디자인과 출력을 높인 파워트레인이 특징이다. 특히 강력해진 주행성능과 개선된 승차감, 2열 전동 리클라이닝을 제공해 렉서스에 한발 다가선 느낌이다.

토요타는 지난해 11월 9세대 신형 캠리를 글로벌 시장에 공개했다. 국내에는 공개 1년만에 선보였다. 기존 캠리의 TNGA-K 플랫폼을 기반으로 언더보디를 보강해 측면 충돌 안전성을 높였으며, 기존 내연기관 버전을 삭제, 하이브리드와 전기모터 기반 사륜구동을 지원한다.

캠리는 연간 30만대가 판매되는 베스트셀링카다. SUV의 인기로 미국내에서 라브4에 판매량이 역전되기 전까지 오랜 시간 사랑받았다. 시장내 판매 비중이 축소되긴 했지만, 여전히 타사 경쟁차를 압도하는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는 미국내 베스트셀링 중형 패밀리카다.

국내에 선보인 모델은 하이브리드 2WD 모델인 XLE(4800만원), XLE 프리미엄(5360만원) 2가지 트림이다. 기존 캠리 하이브리드는 LE, XLE, 그리고 XSE로 판매됐는데, 풀체인지 이후 신규 고급화 트림인 XLE 프리미엄을 전면에 내세웠다. 또한 엔트리 트림 LE가 삭제됐다.

신형 캠리의 외관 디자인은 토요타의 새로운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프리우스에서 시작된 귀상어(hammerhead) 스타일의 전면부는 스포티하고 세련된 분위기를 연출한다. 윈도우 그래픽을 비롯해 기존 캠리와 유사한 면이 있지만, 동시에 비교하면 디자인 차이가 상당하다.

외부 패널은 여러 캐릭터라인을 통해 심심한 곳이 없다. 해가 비추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음영을 연출하는데, 시승차의 프레셔스 브론즈 컬러는 이런 패널의 고급감을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외장 컬러는 화이트, 블랙, 다크블루, 레드, 브라운, 실버, 그레이의 7종으로 구성된다.

실내는 변화의 폭이 상당하다. 기존 캠리는 불안정한 곡선 중심으로 다소 투박했는데, 신형 캠리는 수평형 레이아웃의 단정한 분위기다. 부분적으로 크림 컬러 인조가죽을 더한 화사한 분위기에, 렉서스와 유사한 공조장치 조작부, 가로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고급감을 더했다.

실내공간은 기존과 큰 차이가 없지만 시트백의 볼륨을 줄여 체감 공간이 소폭 늘어났다. 다만 1열 시트포지션이 다소 높아진 점은 아쉽다. 반면 2열 거주성은 상당히 만족스럽다. 작은 각이지만 전동 리클라이닝을 제공해 편안함이 남다르다. ES300h에도 없는 편의사양이다.

XLE 프리미엄과 XLE 옵션 차이를 살펴보면, 휠을 비롯한 외관 디자인은 동일하다. XLE 프리미엄에는 파노라마 선루프, 디지털 리어뷰 미러, 운전석 메모리, 2열 열선 및 리클라이닝, 측면 선쉐이드, HUD, JBL 오디오, 3존 공조, 조수석 요추조절, 파노라믹뷰 모니터가 더해진다.

파워트레인은 5세대 THS로 2.5리터 4기통 D-4S 가솔린엔진과 2개의 전기모터가 조합된다. 합산 최고출력 227마력, 전기모터 132마력, 엔진 최고출력 187마력(6000rpm), 최대토크 22.5kgm(3600-5200rpm)다. 공차중량 1625kg, 복합연비 17.1km/ℓ(도심 17.5, 고속 16.7)다.

정차시 소음과 진동은 일부 개선됐다. 하이브리드 모델이라도 추운 겨울철 냉간 시동시 엔진 구동으로 인한 진동이 전달되기 마련인데, 신형 캠리는 한번 더 걸러진 느낌이다. 4포인트 엔진마운트와 경량화 타이밍 체인, 크로스 멤버에 브래킷 추가, 방음재 확대가 이유다.

일상주행에서는 토요타 하이브리드 고유의 고급스러운 주행질감이 인상적이다. 발진 가속시 전기모터를 통해 매끄러운 주행을 시작하며, 엔진 가동시에도 진동을 만들어내는 양이 적은 편이다. e-CVT 기반 무단변속기로 인해 가감속 과정에서의 매끄러움이 강조된다.

가속페달을 강하게 다루는 상황에서는 엔진이 적극적으로 개입해 힘을 더한다. 엔진과 전기모터의 출력이 소폭 증가해 시스템 출력은 227마력, 기존 211마력 대비 16마력 강화됐다. 반면 공차중량은 기존 캠리와 유사해 가속시 속도를 높여가는 모습이 한결 경쾌하다.

눈에 띄는 부분 중 하나는 제동감각이다. 하이브리드 특유의 어색한 제동감이 90% 이상 사라졌다. 여기에 액티브 하이드롤릭 부스터-G를 통한 전후방 제동력을 독립적으로 배분, 제동시 차량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회생제동과 유압제동의 구분이 이제는 어렵다.

적극적인 가감속이 반복되는 상황에서도 배터리 충전량이 꾸준히 유지되는 점은 토요타 2-모터 하이브리드의 강점이다. 스포츠모드에서는 오히려 전력량이 남아돈다. 중저속에서의 승차감은 부드럽고 안정적이다. 요철이나 과속방지턱을 넘는 동작에서도 큰 불만이 없다.

고속주행시에는 탄탄한 주행질감을 유지하는데, TNGA 플랫폼이 사용된 이후 캠리의 고속주행 안정감은 이제 업계 평균을 상회한다. 최고속도는 GPS 기준 190km/h 부근, 해당 속도에서도 NVH 성능을 비롯해 안정적인 움직임이다. 하체 셋업은 패밀리카로는 최상급이다.

신형 캠리에는 TSS 3.0이 기본으로 탑재되는데, 토요타의 가장 최신 ADAS 시스템이다. 어댑티브 크루즈컨트롤을 비롯해 능동형 주행 어시스트(PDA), 차선 추적 어시스트(LTA)를 통해 차로내 주행 실력이 향상됐다. 조작 편의성도 우수해 고속화도로에서 자주 사용하게 된다.

XLE 프리미엄에는 JBL 9-스피커가 기본으로 음질이 꽤나 좋아졌다. 주정차가 아닌 주행 중에는 블루투스 연결을 비롯해 다양한 설정이 지원되지 않는 점은 기억할 필요가 있다. 인포테인먼트 통합 티맵오토는 계기판과 HUD 연동까지 지원한다. 편의성은 국산차 수준이다.

신형 캠리 하이브리드는 기본기와 구성에서 완성형 모델에 가까워졌다. 풀체인지를 거치며 5천만원대를 넘어선 가격이 부담스럽지만 환율 상황이 그렇다. 하이브리드 SUV가 대세로 자리잡은 국내 시장에서, 비교적 저렴한 하이브리드 세단에 눈길이 가는 것도 사실이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폭스바겐 아틀라스 내주 출시, 가격은 6700만원대

폭스바겐 아틀라스 내주 출시, 가격은 6700만원대

폭스바겐 아틀라스 가격대가 내주 국내 출시에 앞서 공개됐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국내에서 6인승과 7인승으로 운영되며, 가격은 6700만원대부터다. 아틀라스는 폭스바겐 보급형 대형 SUV다. 아틀라스는 2.0 가솔린 터보 엔진과 국내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이다. 아틀라스는 폭스바겐의 대형 SUV다. 아틀라스는 폭스바겐 플래그십 투아렉과 다르게 3열 시트를 갖춘 것이 특징이며, 가격은 소폭 저렴하다. 아틀라스는 국내에서 6인승과 7인승 사양으로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샤오미 YU7 SUV 공개, 2열에서 누워서 갈 수 있다

샤오미 YU7 SUV 공개, 2열에서 누워서 갈 수 있다

중국 전자 제품 브랜드 샤오미(Xiaomi)는 23일 YU7을 공식 공개했다. YU7은 샤오미의 두 번째 전기차이자 준대형 SUV로 세련된 외관 디자인과 실내가 특징이다. 특히 2열 시트 등받이는 최대 135도까지 눕힐 수 있다.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으며, 7월에 출시된다. YU7은 SU7 세단에 이은 샤오미의 두 번재 전기차다. YU7 차체 크기는 전장 4999mm, 전폭 1996mm, 전고 1600mm, 휠베이스는 3000mm다. 테슬라 모델X와 비교해 전장은 58mm 짧지만, 휠베이스는 35mm 더 길다. YU7 외관은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인피니티 QX60 부분변경 공개, 제네시스 GV80 정조준

인피니티 QX60 부분변경 공개, 제네시스 GV80 정조준

인피니티는 신형 QX60을 공개했다. 신형 QX60은 부분변경으로 외관 디자인이 소폭 변경됐으며, 실내 고급감이 개선됐다. 신형 QX60에 도입된 스포츠 트림은 20인치 휠과 전용 디자인 등으로 스포티함이 강조됐다. 신형 QX60은 올해 여름 미국 판매가 시작된다. QX60은 7인승 대형 SUV다. QX60의 주력 판매 시장은 미국인데, 제네시스 GV80이 대표적인 경쟁 모델이다. 신형 QX60은 2세대 부분변경이다. 인피니티는 향후 신형 QX60을 기반으로 실용성을 희생하고 스타일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BMW M FEST 2025 기대되는 이유, 한국 최초의 M 페스티벌

BMW M FEST 2025 기대되는 이유, 한국 최초의 M 페스티벌

BMW 고성능 차 페스티벌, BMW M FEST(페스트)가 국내 최초로 개최돼 주목된다. BMW코리아(대표 한상윤)는 오는 5월 31일부터 6월 1일까지 인천 영종도 BMW 드라이빙센터에서 고성능 차를 즐기는 모든 팬들을 위한 축제 'BMW M FEST 2025'를 개최한다. BMW M FEST는 BMW M 팬은 물론 고성능 차 마니아들을 위한 세계적 축제로, 지난 2017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처음 열렸다. BMW M 브랜드의 깊은 유산과 고유 문화를 경험하고 강력한 주행성능을 만끽할 수 있

뉴스이한승 기자
쉐보레 실버라도 EV 트레일 보스 공개, 1억원대 오프로드 픽업

쉐보레 실버라도 EV 트레일 보스 공개, 1억원대 오프로드 픽업

쉐보레는 실버라도 EV 트레일 보스(Trail Boss)를 22일 공개했다. 실버라도 EV 트레일 보스는 업그레이드된 서스펜션과 새로운 터레인 모드, 18인치 휠과 35인치 올터레인 타이어 등 오프로드 주행에 최적화됐다. 주행거리는 최대 720km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실버라도 EV 트레일 보스는 2026년형 실버라도 EV에 신규 도입된 트림이다. 실버라도 EV 트레일 보스는 오프로드에 특화됐다. 실버라도 EV 트레일 보스는 기본형과 맥스로 운영되는데, 가격은 각각 7만2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닛산 마이크라 공개, 르노5 형제차..408km 주행 전기차

닛산 마이크라 공개, 르노5 형제차..408km 주행 전기차

닛산은 신형 마이크라(Micra)를 21일 공개했다. 신형 마이크라는 6세대로 풀체인지를 거치면서 전기차로 전환됐으며, 1회 완충시 WLTP 기준 최대 408km를 주행할 수 있다. 신형 마이크라는 독특한 외관 디자인이 특징이다. 올해 하반기 유럽부터 판매가 시작된다. 신형 마이크라는 6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르노의 차세대 전기차 르노5 E-테크를 기반으로 제작됐다. 신형 마이크라는 런던에 위치한 닛산 디자인 유럽 스튜디오에서 유럽 고객을 고려해 디자인됐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포르쉐 타이칸 GTS 출시, 가격은 1억7990만원

포르쉐 타이칸 GTS 출시, 가격은 1억7990만원

포르쉐코리아는 타이칸 GTS를 출시한다고 22일 밝혔다. 타이칸 GTS는 타이칸 부분변경의 고성능 버전으로 듀얼 모터를 탑재해 최대 700마력의 오버부스트 출력을 발휘하며, 제로백 3.3초의 성능을 갖췄다. 425km를 주행할 수 있다. 가격은 1억7990만원이다. 타이칸 GTS는 1963년 공개된 포르쉐 904 카레라 GTS 이후 브랜드를 상징하는 퍼포먼스 모델로 자리매김한 GTS 레터링을 계승한 파생 모델이다. 타이칸 GTS는 타이칸 부분변경 라인업 내에서 주행 성능과 일상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토요타 신형 라브4 공개, 가솔린 단종..하이브리드 전용 SUV

토요타 신형 라브4 공개, 가솔린 단종..하이브리드 전용 SUV

토요타는 신형 라브4를 21일 공개했다. 신형 라브4는 6세대 풀체인지로 외관에 브랜드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으며, 실내에는 대형 디스플레이 등이 적용됐다. 특히 차세대 소프트웨어와 ADAS가 도입됐다. 신형 라브4는 하이브리드와 PHEV로만 운영된다. 신형 라브4는 6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라브4는 국내에서도 꾸준하게 판매되고 있는 만큼 신형 라브4도 국내에 투입될 전망이다. 신형 라브4는 올해 말 미국부터 판매가 시작된다. 신형 라브4는 구조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토요타 bZ5 공개, 모델Y 반값..패스트백 스타일 전기차

토요타 bZ5 공개, 모델Y 반값..패스트백 스타일 전기차

토요타는 bZ5를 20일 공개했다. bZ5는 토요타와 중국 FAW의 합작 법인에서 개발한 패스트백 스타일 크로스오버다. BYD의 LFP 배터리를 탑재해 최대 630km를 주행할 수 있다. bZ5는 중국에서만 판매될 예정이며, 가격은 테슬라 모델Y 절반 수준으로 책정됐다. bZ5는 중국내에서 합리적인 가격을 목표로 토요타와 중국 FAW의 합작 법인이 개발한 차세대 전기차다. bZ5는 중국에서만 판매될 예정이다. bZ5 가격은 13만위안(약 2500만원)로 경쟁 모델 중 하나인 테슬라 모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