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136마력 1.5L엔진이 즐겁고 짜릿한 미니 쿠퍼

[시승기] 136마력 1.5L엔진이 즐겁고 짜릿한 미니 쿠퍼

발행일 2014-04-11 16:13:17 김진우 기자

기자는 한 때 미니 쿠퍼를 꼭 구매하겠다는 생각을 가진 적이 있었다. 8년 전 기자가 군 제대 후 동호회에서 활동할 때 동호회 모임에서 한 회원이 1세대 미니 쿠퍼S를 가지고 나와서 북악산에서 동승 및 시승을 할 수 있었고 잊을 수 없는 충격을 선사했다.

미니 쿠퍼 특유의 독특한 익스테리어도 개성 있지만 프라이드 수준의 작은 소형차 주제에 타이트한 코너가 많은 북악스카이웨이를 마치 롤러코스터처럼 빠른 속도로 통과할 수 있다는 점과 당시 대형 세단과 스포츠카 뺨치는 강력한 가속력은 상당히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이때 처음 시승한 미니 쿠퍼S가 1세대 모델인데 1세대는 터보가 아닌 수퍼차저가 탑재된 모델이다.

소형차 그것도 튜닝 되지 않은 순정 상태로도 이런 성능을 맛볼 수 있다는 걸 몸소 체험한 후 한 동안 미니 쿠퍼S를 구매하기 위해 아르바이트 등을 밤 세우며 한 적도 있었지만 실천하지 못했다.

세월은 흘러 20대 중반이던 기자는 30대 초반이 되었고 영원히 변치 않을 것만 같았던 미니 쿠퍼는 3세대로 진화하게 되었다. 4월 10일 파주출판단지에서 미니 쿠퍼 출시 및 시승 행사가 있었으며 시승차는 고성능 모델인 미니 쿠퍼S가 아닌 미니 쿠퍼 하이 트림이다.

미니 쿠퍼에 처음 탑재된 1.5L 3기통 가솔린 엔진

3세대 미니 쿠퍼는 신형 모델 답게 구형 보다 차체 크기가 더 커졌다. 미니 쿠퍼는 136마력 1.5L 3기통 가솔린 터보 엔진이 기본이며 고성능 모델인 미니 쿠퍼S는 192마력 2.0L 4기통 가솔린 엔진이 탑재되었다. 특이한 점이 있다면 미니 쿠퍼S의 배기량은 1.6L 였지만 3세대 미니 쿠퍼S는 배기량이 2.0L로 오히려 늘어났다.

하지만 배기량은 늘어나면서도 공인 연비는 오히려 1.6L 가솔린 터보 엔진을 탑재한 구형 미니 쿠퍼S 보다 연비가 더 높아졌다. 그리고 아직 국내에서 공개되지 않았지만 복합 연비가 무려 19.4km/l나 되는 미니 쿠퍼 디젤은 올해 하반기 출시 예정이라고 한다. 참고로 미니 쿠퍼 디젤도 3기통 1.5L 엔진이 탑재되어 종전 미니 쿠퍼D 대비 실린더와 배기량이 낮아졌다.

이번에 새로 탑재한 신형 1.5L 가솔린 터보 엔진에도 높은 출력과 연비를 얻는 터보차저가 탑재되어 있다.  보통 1.5L 가솔린 엔진은 거의 대부분 4기통 엔진인데 3기통 엔진은 4기통 엔진 대비 실린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낮은 회전수에서 최대 토크를 낼 수 있다. 실제로 1.5L 가솔린 터보 엔진은 1250rpm에서 22.4kg.m라는 높은 최대 토크를 발휘한다고 한다.

4기통 엔진 대비 소음과 진동이 불리한 3기통 가솔린 터보 엔진의 정숙성은 크게 기대를 하지 않았지만 막상 시동을 걸어 보니 의외로 정숙성은 기대했던 것 보다는 괜찮았다. 정차할 때는 진동이 미세하게 느껴지긴 하지만 크게 거슬리는 수준은 아니었고 엔진음 또한 듣기 좋은 편이었다.

1250rpm 이라는 낮은 엔진 회전수에서 22.4kg.m 이라는 최대 토크가 나오는 1.5L 3기통 가솔린 터보 엔진은 1100kg을 약간 초과하는 미니 쿠퍼를 가볍게 움직인다. 낮은 엔진 회전수에서 최대 토크가 나오기 때문에 적어도 힘이 부족하다고 느껴지는 일은 없을 것이다. 다만 3기통 엔진 구조 때문인지 5000rpm 이상 높은 엔진 회전수에서는 다소 무뎌지는 느낌이 들었다.

주행 모드는 스포츠 모드, 노멀 모드, 그리고 연비 향상을 도모하는 그린 모드 세 가지 주행 모드가 있는데 스포츠 모드의 경우 서스펜션 감쇄력이 더 단단해지는 등의 변화는 없다. 그린 모드는 변속 시점이 조금 더 빠르며 운전자가 엑셀레이터 페달에 발을 떼면 변속기는 자동으로 중립 상태가 되어 탄력 주행이 용이하다.

미니 쿠퍼의 서스펜션은 예전부터 단단한 편인데 3세대 또한 크게 다르지 않다. 단단해서 요철이나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 승차감이 튄다. 서스펜션 감쇄력만 따지면 이전에 시승한 BMW 428i M 스포츠 패키지와 비슷하거나 더 단단하다고 느껴질 정도이다. 그렇지만 이런 서스펜션 덕분에 스티어링휠을 좌우도 휙휙 돌려도 미니는 칼 같은 반응을 보이며 운전자가 의도한 대로 방향을 잡는다. 미니 쿠퍼가 이 정도인데 고성능 모델 미니 쿠퍼S는 어떨까?

3세대 미니 쿠퍼의 특징은 다른 소형차에서 접하기 힘든 멀티링크 서스펜션이 탑재되어 있다는 점이다. 요즘 타사 소형 모델은 실내 공간을 확보하고 구조가 간편한 일체차축식 서스펜션 토션 빔 방식 서스펜션을 적용하고 있는데 반해 미니는 멀티링크 서스펜션이 적용되어 있다. 단체 시승이라 가혹한 주행을 제대로 하지 못했는데 만일 한번 더 시승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서킷이나 와인딩 로드에서 한번 제대로 달려보고 싶다.

스티어링휠 또한 무겁게 느껴진다. BMW 모델 대부분 서스펜션이 부드러워지고 스티어링휠도 가볍게 돌릴 수 있는데 반해 미니 쿠퍼는 고카트를 운전하는 느낌과 흡사한 미니 쿠퍼는 언제 어디서나 운전 재미를 즐길 수 있다.

더 편리해지고 운전자와의 교감을 위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돋보여

차체가 커진 만큼 실내 공간은 조금씩 더 넓어졌다고 BMW 코리아는 주장하고 있지만 체감적으로 크게 넓어졌다는 느낌은 없다. 뒷좌석은 여전히 성인이 탑승하기에는 너무나 좁다. 4명 이상 탑승할 수 있다고는 하지만 미니 쿠퍼는 혼자 혹은 두 명이 타기에 딱 적당한 모델이다.

3세대 미니 쿠퍼 인테리어의 가장 큰 변화는 센터페시아 상단에 자리잡은 원형 계기판이 운전석 대시보드 쪽으로 옮겼다는 점이다. 이런 점이 가장 마음에 들었다. 혼자서 즐기기에 적당한 미니 쿠퍼의 성격 특성상 운전자가 쉽게 볼 수 있도록 계기판 위치를 옮겨야 한다고 주장했었다. 바이크 계기판을 보는 듯한 서클 계기판의 시인성은 의외로 좋다.

구형 미니 쿠퍼에 장착되어 있던 커다란 원형 계기판은 네비게이션이나 연비 등의 주행 정보를 볼 수 있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자리잡았다. 주목할 만한 것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둘러싸는 원형 LED 램프는 운전자가 주행 모드를 변경하거나 실내 온도를 조절할 때 각기 다른 색의 LED가 점멸된다. 예를 들어 스포츠 모드 혹은 실내 온도를 올리는 경우는 붉은색, 노멀 모드는 흰색, 그린 모드는 녹색, 실내 온도를 낮추는 경우에는 푸른색의 LED 램프가 점멸 되면서 운전자의 눈을 즐겁게 해준다.

이 외에도 시승차는 스마트폰과 연동을 하며 페이스북, 트위터에서 맺은 친구와 소통할 수 있는 미니 커넥티드가 있다. 아이폰은 지금 당장 가능하고 안드로이드는 올해 하반기에 이러한 기능이 추가된다고 한다. 기자가 가지고 있는 폰이 안드로이드 폰이라 이 기능을 테스트하지 못했다.

개인적으로 3세대 미니 쿠퍼를 시승하면서 운전석 시트가 가장 마음에 들었다. 구형 미니 쿠퍼는 엉덩이 시트가 조금 짧아 조금 불편하게 느껴졌는데 3세대 미니 쿠퍼는 그런 불편함이 사라졌다. 거기에 엉덩이 시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도 상당히 마음에 들었다.

다만 뒷좌석은 여전히 성인이 탑승하기엔 고역이다. 차체가 구형 모델보다 커지고 실내 공간도 넓어졌는데 뒷좌석은 구형 모델보다 딱히 넓어졌다는 느낌이 없다. 아무래도 리어 서스펜션이 멀티링크 서스펜션 방식이어서 실내 공간을 확보하기 힘들었을 것이다. 만약 미니 쿠퍼에 세 명 이상 탑승해야 될 일이 있다면 반드시 운전은 내가 하겠다고 지원해야 할 것이다.

3세대 미니 쿠퍼 가격은?

3세대 미니 쿠퍼 가격은 기본형 2,990만원, 편의 사양과 16인치 휠 타이어가 적용된 하이 트림은 3,720만원, 그리고 고성능 모델 미니 쿠퍼S는 4,240만원 이다.

미니 쿠퍼S 기준으로 가격이 약 200만원 이상 구형 모델보다 더 비싸졌는데 배기량이 더 높고 출력과 토크도 더 높아졌으며 연비가 기존 미니 쿠퍼S 보다 복합 기준으로 1.3km/l 증가되긴 했지만 일본의 경우 가격 상승폭이 우리나라보다 적다는 점을 감안하면 다소 아쉽다.

미니 쿠퍼 기본형 트림은 2,990만원으로 구형 모델인 3,040만원보다 조금 더 저렴하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기자가 미니 쿠퍼를 구매한다면 고민 안하고 미니 기본형을 구매할 것이다. 미니 커넥티드 등의 편의사양이 빠지고 미니 쿠퍼S 에 비하면 동력 성능이 낮지만 충분히 재미가 있고 짜릿하며 3,000만원 안되는 낮은 가격에 미니를 보고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푸조 308 부분변경 공개, '송곳니' 램프 어디갔나?

푸조 308 부분변경 공개, '송곳니' 램프 어디갔나?

푸조는 신형 308을 27일 공개했다. 신형 308은 부분변경으로 푸조의 시그니처 송곳니 램프가 삭제된 새로운 패밀리룩이 적용됐다. 특히 푸조 최초로 점등되는 조명 엠블럼을 제공한다. 신형 308은 디젤과 가솔린, PHEV, 전기차로 운영된다. 국내 출시도 유력하다. 신형 308은 부분변경 모델이다. 신형 308은 올해 가을 유럽과 영국에 먼저 출시된다. 신형 308의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다. 국내 출시는 미정인데, 308이 국내에서도 판매되고 있는 만큼 신형 308 도입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롤스로이스 스펙터 스페셜 에디션 공개, 봄을 기념해 '벚꽃' 적용

롤스로이스 스펙터 스페셜 에디션 공개, 봄을 기념해 '벚꽃' 적용

롤스로이스는 스펙터 인스파이어드 바이 프리마베라(Spectre Inspired by Primavera)를 27일 공개했다. 스펙터 인스파이어드 바이 프리마베라는 봄의 아름다움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된 스페셜 에디션으로 벚꽃 장식과 꽃을 형상화한 휠, 전용 컬러 등을 제공한다. 스펙터 인스파이어드 바이 프리마베라는 이탈리아어로 봄을 뜻하는 단어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따뜻함이 돌아오는 계절을 상징하는 봄의 아름다움에서 영감을 얻어 제작됐다. 스펙터 인스파이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테슬라 사이버트럭 국내 가격부터 공개, 1억4500만원

테슬라 사이버트럭 국내 가격부터 공개, 1억4500만원

테슬라코리아가 사이버트럭 출시 확정과 함께 가격을 공개했다. '가장 튼튼한 픽업트럭'을 목표로 개발된 사이버트럭은 미래지향적인 외관 디자인, 미니멀리즘 실내가 특징이다. 사이버트럭은 국내에서 AWD와 사이버비스트로 운영되며, 가격은 1억4500만원부터다. 사이버트럭의 국내 라인업은 듀얼 모터 사양인 AWD와 3개의 모터를 갖춘 최상위 트림 사이버비스트로 운영된다. 가격은 각각 1억4500만원, 1억6000만원이다. 테슬라코리아는 8월 29일부터 9월 4일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렉서스 ES300h 2026년형, 한국에서 10만대 팔린 이유

[시승기] 렉서스 ES300h 2026년형, 한국에서 10만대 팔린 이유

렉서스 ES 300h 익스클루시브를 시승했다. ES 300h 2026년형은 전면부 그릴에 실버 컬러를 적용하고, 로커패널에 크롬 몰딩을 추가해 고급감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ES 300h는 해당 세그먼트에서 고급감, 승차감, 디자인, 연비 등 고급 세단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를 여전히 만족시킨다. 렉서스 ES는 지난 2024년 6월 누적 판매량 10만대를 돌파했다. 2001년 4세대 렉서스 ES가 한국에 선보인 이후 2022년부터 2년간 수입차 베스트셀링카, 2013~2022년 9년간 하이브리드

수입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포르쉐 카이맨 GT4 RS 한정판 공개, 화려한 오렌지 컬러 '주목'

포르쉐 카이맨 GT4 RS 한정판 공개, 화려한 오렌지 컬러 '주목'

포르쉐는 카이맨 GT4 RS 한정판을 25일 공개했다. 카이맨 GT4 RS 한정판은 네덜란드에서 '튤립'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만타이 키트가 적용됐으며, 네덜란드의 레이싱 컬러인 파스텔 오렌지로 마감됐다. 출력은 500마력으로 향상됐다. 단 한대만 특별 제작됐다. 카이맨 GT4 RS 한정판은 포르쉐 익스클루시브 매뉴팩처와 존더분쉬, 독일의 모터스포츠 전문 업체인 만타이(Manthey) 레이싱의 협업으로 탄생했다. 카이맨 GT4 RS 한정판은 단 한대만 특별 제작됐으며,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벤츠 S클래스 450 4MATIC 출시, 가격은 1억5960만원

벤츠 S클래스 450 4MATIC 출시, 가격은 1억5960만원

벤츠코리아는 S450 4MATIC을 출시한다고 26일 밝혔다. S450 4MATIC은 S클래스 스탠다드 휠베이스의 신규 트림으로 오너 드리븐에 최적화된 휠베이스 및 스포티한 디테일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파워트레인은 3.0리터 직렬 6기통 엔진이다. 가격은 1억5960만원이다. S450 4MATIC은 S클래스 스탠다드 휠베이스에 도입된 신규 트림이다. 가격은 1억5960만원이다. 벤츠코리아는 가솔린 모델인 S450 4MATIC을 새롭게 추가해 기존 S350d 4MATIC 디젤 모델 단일 트림으로 운영됐던 S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토요타 bZ 미국서 4800만원대, 현대차 아이오닉5보다 싸다

토요타 bZ 미국서 4800만원대, 현대차 아이오닉5보다 싸다

토요타는 bZ의 가격을 공개하고 미국 판매를 25일 시작했다. bZ는 토요타 라브4급 전기 SUV로 1회 완충시 EPA 기준 최대 512km를 주행할 수 있다. 14인치 터치 스크린과 최신 ADAS 등이 기본이다. 가격은 3만4900달러(약 4800만원)부터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bZ는 기존 토요타 bZ4X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차명이 변경됐다. 국내 도입은 미정이다. bZ는 스타일과 옵션, 성능 등에서 대대적인 업그레이드가 이뤄졌는데, 시작 가격은 오히려 낮아졌다. bZ 가격은 3만490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아우디 신형 Q3 스포트백 공개, 매끈한 쿠페 스타일

아우디 신형 Q3 스포트백 공개, 매끈한 쿠페 스타일

아우디는 신형 Q3 스포트백을 25일 공개했다. 신형 Q3 스포트백은 3세대 Q3 기반 쿠페형 SUV로 공기저항을 고려해 디자인된 매끈한 외관, 디지털 매트릭스 LED 헤드램프 등 아우디 최신 사양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신형 Q3 스포트백의 국내 도입은 미정이다. 신형 Q3 스포트백은 3세대 Q3 기반 쿠페형 SUV다. 신형 Q3 스포트백은 오는 11월 유럽부터 판매가 시작된다. 신형 Q3 스포트백과 신형 Q3의 국내 도입은 미정인데, 기존 Q3 스포트백과 Q3가 국내에서도 판매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혼다 CR-V 하이브리드, 실연비와 주행성능 인상적

[시승기] 혼다 CR-V 하이브리드, 실연비와 주행성능 인상적

혼다 CR-V 하이브리드 2WD를 시승했다. 6세대 모델인 CR-V 하이브리드는 중형급에 준하는 커진 차체와 적재공간, 그리고 스포티한 외관 디자인이 특징이다. 특히 2-모터 하이브리드를 통한 높은 실연비와 함께 혼다 고유의 스포티한 주행성능, 안전성, 최신 모델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혼다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효율성과 주행감성을 함께 높이는 쪽으로 진화했다. 최신 모델인 11세대 어코드 하이브리드와 6세대 CR-V 하이브리드에는 4세대 2-모터 하이브

수입차 시승기이한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