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소형 SUV 열풍이 불면서 주머니가 얇은 2030 고객들도 첫차를 소형차가 아닌 소형 SUV를 구매하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 엑센트, 프라이드 등의 소형차 그리고 2도어 스포츠카는 판매량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2013년 4월 2일에 출시한 아반떼 쿠페는 2015년 4월 1일에 단종되면서 딱 2년만 생산되었다. 연간 5,000대를 목표로 판매하겠다는 현대차 하지만 연간 5,000대는 커녕 생산된 기간 동안 국내에서 500대도 채 판매되지 못하고 단종되었다. 아반떼 쿠페와 달리 소형차 세금을 내는 K3 쿱은 아반떼 쿠페 보다는 상황이 낫지만 2013년 하반기 출시 이후 지금까지 약 1,100대 정도만 판매된 상황이다.
지금까지 출시된 K3 쿱, 아반떼 쿠페 등 세단형 쿠페는 특성상 세단을 기반으로 한 변형 가지치기 모델이기 때문에 헤드램프와 범퍼 형상 등의 디자인 변화를 크게 준다고 해도 디자인 변화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나마 과거에 출시했던 기아 포르테 쿱 그리고 현재 판매하고 있는 K3 쿱은 범퍼와 디자인에 큰 변화를 주고 프레임리스 도어를 적용하여 2030 젊은 소비자들의 눈높이를 맞추고 있다.
그러나기아차가 신형 K5와 함께 출시한 컨셉카 노보(NOVO)는 준중형급 컨셉 모델이고 역동적인 주행성이 가미되고 합리적이고 세련된 현대인들에게 잘 어울릴 수 있는 디자인이며 카메라타입 아웃사이드미러가 적용되어 사이드미러가 매우 얇고 날렵해졌다.
'새롭게 하다, 새롭게 만들다'라는 의미의 'NOVO'는 수많은 물질적인 자극 속에서 매일같이 피로감을 느끼며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아날로그적 감성을 미래지향적으로 재해석해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한결 같은 가치’를 선사하고자 하는 컨셉 모델이다.
수어사이드 도어는 뒷좌석 승하차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B 필러가 없기 때문에 좌우 공간이 좁은 상태에서 도어를 조금만 연 상태에서도 승하차가 편리하다. 그리고 카메라타입 사이드미러는 기존 사이드미러 자리에 카메라 렌즈가 적용되었으며 사이드미러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공기저항을 더욱 줄일 수 있고 더 날렵한 자동차 디자인이 구현 가능하다.
이 외에도 3차원 디지털 홀로그램 클러스터, 지문인식을 통한 차량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인터렉티브 컨트롤러 블라인드 컨트롤(시선을 고정시키지 않고도 편하게 손동작으로 각종 기능을 조작할 수 있는 기술)이 가능한 터치패드가 적용되었다.
K3 후속 모델은 노보의 신기술과 디자인이 얼마나 가미될까?
기아 노보 제원을 보면 전장 4,640mm, 전폭 1,850mm, 전고 1,390mm 그리고 휠베이스가 2,800mm이며 파워트레인은 1.6 가솔린 터보 엔진, 7단 DCT가 적용되어 최고출력 200마력의 강력한 동력성능을 구현한다. 현재 판매되는 K3 대비 더 크고 기아차 측에서 준중형 컨셉 모델이라고 소개한 점을 감안할 때 노보는 향후 K3 후속 모델을 개발할 때 디자인 근간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출시할 예정인 아반떼 후속 모델과 다르게 K3 후속 모델은 아직 소식조차 없다. 그리고 K3는 출시된 지 3년 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후속모델이 출시하려면 신차 출시 기준인 5년 기준으로 2017년이 되어야 가능할 것이다.
관건은 노보가 공개한 디자인과 신기술들이 향후 K3 후속 모델에 어느 정도 가미될지 궁금하다. 최근 자동차 업계는 컨셉카 디자인을 거의 그대로 양산차에 접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노보의 디자인이 K3 후속 모델에 상당 부분 반영될 것이다.
기아 K3가 실내 공간을 최대한 넓히고 엔진룸을 최대한 작게 설계한 캡포워드 디자인이 적용되었지만 노보는 본넷이 길고 트렁크가 짧은 스포츠백 스타일이 적용되었다. 그리고 A 필러를 최대한 눕힌 K3와 다르게 노보는 A 필러 각도를 K3 대비 약간 세워 운전석에 착석해 운전할 경우 좌측 코너를 돌 때 A 필러가 시야를 방해하는 단점이 해소될 것으로 생각된다.
BMW가 2도어 쿠페의 날렵한 라인과 4도어 세단의 공간활용성을 접목한 4도어 그란 쿠페, 아우디 A7, A5 등의 스포트백 스타일 디자인이 양산 판매하고 있다. 기아 노보는 단순히 전시용 컨셉카가 아닌 향후 양산차에 접목할 신기술이나 디자인에 대한 미래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K3 후속 모델이 노보 디자인에 근간 두고 개발할 경우 스포츠백 쿠페 라인이 적용되지 않을까? 하는 조심스러운 예상을 해 본다.
기존 2도어 쿠페는 세단과 다른 날렵한 디자인이 장점이지만 반대로 공간활용성 등 실용성이 매우 떨어진다. 또한 지금은 다목적으로 활용 가능한 SUV를 점점 선호하고 있는 추세다. 기아 노보는 2도어 쿠페의 약점을 없앤 진화된 4도어 쿠페이며 향후 K3 후속 모델 등 미래에 출시할 기아차의 디자인에 기대치를 높여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