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자동차를 구매할 때 디자인 다음으로 연비를 따지는 시대가 되었다. 비록 2014년 하반기부터 국제 유가가 크게 하락하면서 수도권 기준으로 리터당 2,000원에 육박한 휘발유가격이 1,500원 미만으로 하락할 정도로 가격이 떨어지며 운전자의 부담을 덜었지만 이런 저유가시대가 오랫동안 지속된다는 보장은 없다.
2004년 우리나라가 승용차에 디젤 엔진을 허용하면서 소형차와 일부 수입차에 디젤 모델이 판매되기 시작했는데 진동과 소음이 크지만 월등하게 높은 연비 덕택에 디젤 승용차 판매량이 가파르게 상승하기 시작했다. 특히 수입차는 유럽 브랜드 중심으로 소형차부터 SUV, 대형세단까지 거의 대부분 디젤 엔진을 선택할 수 있거나 아예 기본적으로 디젤 엔진만 탑재 판매되고 있으며 국산차 브랜드 또한 디젤 엔진을 선택할 수 있는 모델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디젤 엔진보다 연비가 열세인 가솔린 엔진
가솔린 엔진은 디젤 엔진과 비교해서 절대적으로 연비가 불리하다. 경유가 휘발유보다 열량이 더 많으며 또한 가솔린 엔진은 점화플러그에 의해 강제 점화되면서 폭발하지만 디젤 엔진은 압축행정이 완료될 때 스스로 폭발한다.
또한 가솔린 엔진은 특별한 기술이 적용되지 않는 이상 14.7:1 이하의 공연비를 유지해야 하지만 디젤 엔진은 기본적으로 100:1 이상의 희박 연소가 가능하기 때문에 연소효율성 측면에서도 차이가 크다. 이 외에도 디젤과 가솔린 엔진은 많은 차이점이 있지만 디젤과 가솔린 엔진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주제가 아니기 때문에 마무리 짓도록 하겠다.
연소효율성에서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같은 모델 같은 배기량 디젤, 가솔린 모델의 연비 차이는 크다. 아반떼의 경우 1.6L 오토 복합연비 기준으로 가솔린 14.1km/l 디젤 16.2km/l의 공인연비를 인증 받았다.
특히 디젤 모델은 희박연소가 가능하기 때문에 엔진에 부하를 거의 주지 않는 고속도로 정속주행에서 가솔린보다 크게 우위를 보인다. 따라서 주행거리가 많다면 주저 없이 디젤 모델을 구매하는 것이 좋다
아반떼 쿠페 2.0L GDI 수동 SK 엔카직영몰 연비대회에 참여하다.
기자가 소유한 자동차는 아반떼 쿠페 2.0L 수동 모델이며 공인연비는 복합 12.8km/l, 시내 11.1km/l, 고속도로 16km/l이다. 공차중량이 1216kg에 그쳐 공차중량이 가벼워 쏘나타 K5 등의 중형세단보다 연비가 조금 더 높다. 하지만 말리부 디젤 등 같은 배기량의 중형세단 2.0L 디젤 모델과 비교하면 연비가 낮고 특히 폭스바겐 골프 등 수입 디젤 모델과는 더더욱 격차가 벌어진다.
SK 엔카직영몰에서 주최하는 연비대회는 참가자들의 연비를 비교해서 등수를 매기는 상대평가가 아닌 참가자들의 자동차 모델의 공인연비에 실제주행 연비상승률로 비교하는 절대평가로 등수를 측정하는 연비대회다. 아반떼 쿠페는 평균적으로 시내 고속 합쳐서 실제연비가 약 15km/l가 나오기 때문에 철저하게 연비운전을 하면 연비가 얼마나 나오는지 궁금해서 연비대회에 참여하게 되었다.
아반떼 쿠페 핸디캡 18인치 휠, 타이어 + 0w-40 엔진오일
기자의 아반떼 쿠페는 순정상태는 아니다. 18인치 벨로스터 순정 휠 그리고 한국타이어 벤투스 V2 컨셉 225/40/18 타이어가 장착되어 있으며 튜익스 바디킷을 장착했다. 또한 2014년 신차 출고부터 지금까지 고급휘발유만 주유했다.
아반떼 쿠페는 16인치 205/55/16, 17인치 215/45/17 휠, 타이어가 순정인데 순정보다 더 큰 휠과 광폭타이어를 장착한 이유는 1번째 디자인 때문이고 2번째는 서킷, 와인딩 주행에서 16인치보다 18인치가 접지력이 더 좋기 때문이다. 휠, 타이어를 교체했지만 서스펜션은 순정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다.
16인치 순정휠보다 더 크고 무거우며 타이어 접지면적이 20mm 더 늘었기 때문에 아무래도 16인치 순정보다는 연비가 하락할 것이다. 또한 엔진오일의 경우 순정 엔진오일 점도는 연비에 유리한 5w-20인데 기자는 0w-40 엔진오일이 주입된 상태이다. 순정 엔진오일보다 고점도 엔진오일이 주입되었기 때문에 순정 엔진오일을 주입할 때보다 연비가 낮을 것이다.
대회 참가하기 직전 타이어 공기압은 앞, 뒤 모두 40psi를 주입했다.
1,500rpm 넘는 순간 바로 다음 단으로 변속하면서 연비향상을 도모
연비를 높이기 위한 상식은 오래 전부터 인터넷과 뉴스 매체를 통해 소개되었고 대부분 독자들도 알고 있기 때문에 이번 기사에서는 생략하겠다.
요즘 자동변속기는 에코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최대한 낮은 rpm에서 변속되고 변속기 단수가 늘어나면서 동력 손실이 크게 줄었기 때문에 과거와 다르게 자동변속기를 탑재한 승용차의 시내 연비가 비약적으로 상승했다.
그렇다면 수동변속기는 자동변속기 대비 어떤 이점이 있을까? 수동변속기는 운전자 의도대로 변속할 수 있는데 자동변속기가 변속하기 힘든 구간에서도 변속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동변속기는 대략 1,800rpm을 넘어야 변속이 가능한데 반해 수동변속기는 1,500rpm 이하에서도 변속이 가능하다.
자동차는 이론적으로 낮은 rpm에서 주행하게 되면 연비가 상승된다. 따라서 기자는 1,500rpm이 살짝 넘어가면 바로 다음 단으로 변속했고 내리막 구간에서는 1,300rpm에서도 다음 단으로 변속하면서 때때로 1,000rpm 이하에서도 주행했다.
경기도 파주 임진각 근처의 주유소에서 가득 주유 후 경기도 하남 미사리 경정장까지 신호등이 없는 간선도로 구간이 대부분이지만 토요일 낮에 연비대회가 열린 탓에 마곡대교부터 청담대교까지 지체와 정체가 반복되면서 연비가 떨어졌다. 다행히 청담대교 이후부터 하남 미사리 경정장까지는 원활한 교통흐름을 보였다.
미사리 경정장에서 점심식사 이후 다시 임진각으로 돌아갈 때 동호대교부터 성산대교까지 서행과 지체 구간이 있었지만 미사리 경정장으로 갈 때보다는 교통흐름이 훨씬 수월했다. 이후 처음에 가득 주유한 주유소에 다시 가서 휘발유를 가득 주유했다. 위 영상은 기자가 출발 후 경기도 하남 미사리 경정장을 거쳐 다시 주유소로 되돌아오는 주행과정 그리고 휘발유를 가득 주유해서 연비를 구한 영상이다.
교통체증이 없는 구간에서는 시속 60-80km/h 사이를 유지하면서 주행했으며 신호대기로 정차할 때는 시동을 끄기도 했다.
아반떼 쿠페 공인연비 12.8km/l에 불과하지만 실제연비 24.46km/l를 달성하다.
아래 연비결과표를 보면 공인연비 대비 실제연비 상승률을 비교해서 순위를 매겼으며 기자는 3위를 차지했다. 만약 휠, 타이어가 16인치가 적용되었고 엔진오일 점도가 낮았다면 연비는 약 2km/l정도 더 높아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파주 임진각-하남 미사리 경정장을 왕복하는데 7.194L의 휘발유가 소요되었으며 트립에 표기된 평균속도는 49km/h, 주행시간 3시간47분, 176.5km를 주행했다고 표기되었으며 트립 평균연비는 리터당 23.9km/l라고 표기되어 트립 평균연비보다 실제 연비가 더 나왔다. 아래 주행시간과 트립 주행시간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트립 주행시간은 순수 주행시간만 표기된 것이고 아래 주행시간은 미사리에서 식사하고 휴식을 취한 시간까지 포함한 것이다.

일반적인 주행에서 가솔린 엔진이 디젤 엔진보다 연비가 좋지 않은 건 사실이지만 급 가속과 감속을 하지 않고 흐름에 맞춰 탄력적으로 운행한다면 가솔린 승용차 또한 만족스러운 연비를 얻을 수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