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월 12일부터 22일 까지 영암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개최하는 '2011 포르쉐 월드 로드 쇼'에 참가했다. '포르쉐 월드 로드 쇼'는 포르쉐 본사에서 직접 차를 가져와 전 세계를 돌며 개최하는 행사로, 포르쉐의 다양한 차종들을 경험해 볼 수 있어 매년 세계 자동차 마니아들이 참가를 꿈꾸는 행사다.
이번 행사에는 독일 본사에서 공수된 카에엔 터보, 파나메라 터보, 911 까레라 GTS 등 포르쉐의 12개 차종 총 24대가 시승 차량으로 참가했다.
◆ 가속, 브레이킹, 급회전…달릴 수록 소름이 "쫘악"
참가자들은 시트 포지션에 대한 교육을 받은 뒤 브레이킹 성능 체험 코스로 향했다. 이 코스는 시속 100km이상으로 가속한 후 풀 브레이킹을 실시하는 동시에 전방 장애물을 회피하는 코스였다. 돌발상황에 대한 대처 방법을 체험할 수 있었다. 테스트 차량은 '911 터보 카브리올레' 모델이었다.

정지 상태에서 최대 가속을 하는 동안에도 이루 말할 수가 없이 짜릿했다. 속도감에 감탄을 하다 지시에 따라 풀 브레이킹을 시도했다. ABS와 함께 포르쉐의 자세 제어기능인 PSM(포르쉐 주행안정장치)이 개입해서 급박한 상황에서도 전방을 장애물을 매끄럽게 회피하고 안전하게 정지했다.
포르쉐의 경우 급제동과 동시에 회전을 하는 경우에도 매우 부드럽게 동작했다. 브레이크의 반응도 즉각적이다. 여러 이유가 있지만, 포르쉐 전차종은 가속페달에서 발을 갑작스럽게 떼면 브레이크 시스템이 즉각 반응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압력을 높여 놓는 기능이 내장된 덕이 크다.

핸들링 체험 코스가 이어졌다. 영암 F1서킷에서 달릴 수 있다는 점도 기쁘지만 포르쉐의 스포츠 모델 4종류를 경험할 수 있다는 점이 더 가슴을 설레게 했다.
RR(후방엔진 후륜구동)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911 시리즈 세종류와 미드십(중앙엔진) 방식을 채택한 카이맨S 등이 준비되어 있었다. RR과 MR 차량이다보니 코너를 빠져 나가며 가속할 때 움직임이 FR(전방엔진, 후륜구동)이나 FF(전방엔진, 전륜구동)등에 비해 더 적극적이고 자연스러운것 처럼 느껴졌다.
미드쉽 방식의 카이맨S는 RR구동방식 차량에 비해 코너에서 한계점이 좀 더 여유로웠고, 차체가 가벼워선지 핸들링도 날카로웠다. 심장을 뒤흔드는 포르쉐의 배기음과 엔진소리가 좀 더 가까이서 들린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오후는 파나메라와 카이엔 등 포르쉐의 4도어 모델들을 타고 F1서킷을 주행했다. 물론 일부 차량들은 스포츠카 모델들보다는 약간 반응이 더뎠지만 SUV인 카이엔 터보나 4인승 모델인 파나메라4S는 스포츠 모델에 못지 않은 성능을 보였다.
특히, SUV인 카이엔 터보는 강력한 가속감과 더불어 코너에서 롤링을 거의 느낄 수 없었다. 1702mm에 달하는 높은 전고를 가진 카이엔에 롤링이 느껴지지 않는 것은 무척 놀라운 경험이었다.
이어 슬라럼 코스가 진행됐다. 운동성을 체험하는데 제격인데다 참가자별 기록측정을 통해 상품을 주기도 하기 때문에 기대가 되는 순서였다. 포르쉐는 이 세션을 위해 특별한 모델 '박스터 스파이더'를 준비했다. 박스터 스파이더는 미드쉽 스포츠카인 박스터를 기본으로, 운동성을 끌어 올리기 위해서 소프트 탑의 전동 개폐 모듈까지 제거한 경량 모델이다.
박스터 스파이더의 날카로운 핸들링과 코너에서의 안정적인 움직임 덕분에 마음 놓고 슬라럼 코스를 달려 볼 수 있었다. 하지만 과욕은 금물이다. 다른 시승회와 달리 포르쉐는 슬라럼 코스가 꽤 어렵게 짜여 있어 조금이라고 과한 욕심을 내면 파일런(원뿔)들을 치게 된다. 파일런 하나를 건드릴 때 마다 2초의 패널티가 추가되기 때문에 평정심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는 택시 드라이빙 코스가 마련돼 있었다. 포르쉐의 전문 드라이버가 직접 운전하는 차에 동승해 차량의 한계를 체험하는 시간이다. 전문 드라이버가 운전하면 포르쉐 차량의 성능이 90%에서 95% 가량 발휘돼 진가를 경험할 수 있게 된다고 했다.

운좋게 여러 차 중에도 최고 성능 차량인 911 GT3의 조수석에 동승하게 됐다. 레이싱을 위해 태어난 모델답게 피트를 벗어나는 순간부터 파워슬라이드를 통한 드리프트 주행을 시작했다. 파워슬라이드는 출력이 강한 차의 가속페달을 밟았을때 뒤가 돌아가는 현상을 이용해 차를 미끄러뜨리는 운전기법을 말한다. 이어 시트에 묻혀지는 듯한 강력한 가속과 땅에 내던져지는 듯한 감속에 정신을 차리기 힘들 정도였고, 전 코너를 드리프트를 이용해 빠져나가는 차에 타고 있으려니 마치 놀이기구에 앉은 듯 했다.
전문 드라이버의 운전솜씨는 역시 대단했다. 언뜻 보면 과격해 보이는 드리프트 주행이지만 그립 주행 상태에서 물 흐르듯 부드럽게 드리프트로 이어졌다가 코너를 탈출함과 동시에 다시 그립주행으로 돌아가는 과정이 정말 자연스럽게 이어졌다. 엄청난 속도로 드리프트 주행을 하는데도 불구하고 조수석에서 느껴지는 불안감이나 이리저리 쏠리는 느낌이 적은 것이 인상적이었다.

매년 개최되는 '포르쉐 월드 로드쇼'는 개인이 55만원 가량의 비용을 지불하고 참가하는 유료 행사다. 하지만 포르쉐 오너뿐 아니라 비 오너도 참가 기회가 주어진다. 포르쉐의 고성능 차량들을 즐겁게 체험하면서 가족 및 주변 지인과 즐거운 경험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다. 무엇보다 가족단위 참가자를 고려해 숙박 및 식사가 제공되고, 동반자를 위한 휴식 공간과 레이싱 게임기 및 컴퓨터와 아이패드 등을 비치하는 등 세심한 배려도 인상 깊었다.